• 제목/요약/키워드: 부피팽창률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지반침하 거동특성 분석을 위한 암반의 부피팽창률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ulking Factor of Rock Mass for Subsidence Behavior Analysis)

  • 이희중;정용복;최성웅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1호
    • /
    • pp.33-43
    • /
    • 2008
  • 지반침하 대상지역 암반의 부피팽창률에 대한 측정방법은 국 내외적으로 아직까지 규정된 바는 없으며, 그동안 현장에서 화약발파에 의한 암반의 부피증가율로써 부피팽창률을 적용하여 시용하여 왔다. 하지만 이렇게 제시된 부피팽창률은 일정한 기준으로 분류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각각에서 제시된 값들은 암종에 따라 부피팽창률 범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반침하 대상지역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마암, 석회암 및 셰일을 대상으로 붕락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쇄암의 적재 형태에 따른 부피팽창률과 응력에 따른 부피팽창률을 산정하기 위해 파쇄암이 적재된 상태에서 일정한 하중을 가하여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지반침하 거동특성 분석을 위한 암반의 부피팽창률에 관한 연구 II (A Study on the Volumetric Expansion Ratio of Rock Mass for Subsidence Behavior Analysis II)

  • 이승중;정용복;최성웅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6호
    • /
    • pp.436-446
    • /
    • 2008
  • 지반침하 지역의 지표침하량은 지하 채굴적의 높이보다 작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암반의 부피팽창률이며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피팽창률 산정을 위해 3차원 입체 모델을 이용하여 지표침하량과 침하영향범위를 고려한 이론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수치해석 시 부피 팽창률의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개별요소 프로그램인 UDEC(Universal Distinct Element Code)을 이용하여 측압계수의 변화에 따른 지표침하의 변화 양상과 점착력의 변화에 따른 부피팽창률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방화용 실란트의 내화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로서 팽창흑연의 개질 (Reforming of Expanded Graphite for Improving Fire Resistance of Fireproof Sealant)

  • 홍인권;이원재;임현석;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28권4호
    • /
    • pp.437-4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방화용 실란트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팽창흑연의 부피팽창률과 경도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팽창흑연에 다양한 수지를 코팅한 후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수지의 코팅률을 나타내는 평균코팅두께는 수지의 건조속도와 점도의 영향으로 초산비닐계수지 > 아크릴수지 > 우레탄수지 > 수용성라텍스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지의 종류에 따라 코팅된 팽창흑연의 부피팽창률은 우레탄수지 > 수용성라텍스 > 아크릴수지 > 초산비닐계수지의 순으로 컸으며, 경도는 초산비닐계수지 > 아크릴수지 > 수용성라텍스 > 우레탄수지의 순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코팅처리를 하지 않은 팽창흑연에 비해 부피팽창률은 감소하나 경도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방화첨가제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최적화실험 결과 아크릴수지의 최적코팅 조건은 수지의 첨가량 37.6 wt%과 코팅 교반속도 441.4 rpm이었다.

오미자 발효액을 이용한 호밀 사워반죽(sourdough)의 발효 특성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rye sourdough containing Omija extracts)

  • 변종범;이진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68-172
    • /
    • 2017
  • 본 연구는 오미자 발효액을 이용하여 호밀 사워반죽을 제조하여 발효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제빵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시도되었다.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과 호밀 사워반죽의 pH와 총산도, 효모와 젖산세균수, 팽창률을 측정하였다.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과 호밀 사워반죽 모두 발효 시간이 경과할수록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총산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에 존재하는 젖산세균수는 대부분의 발효기간 중에 호밀 사워반죽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의 팽창률은 최고치가 183%로 호밀 사워반죽의 최고치인 129%보다 47% 이상 팽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효모와 젖산세균이 풍부한 오미자 발효액을 호밀가루에 첨가하여 사워반죽을 제조할 경우 pH가 낮아져 발효 초기 부패균 억제 및 항진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풍부한 효모와 젖산세균들로 인해 높은 팽창률을 보인 것으로 보아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을 이용해 빵을 제조할 경우 부피 증가, 풍미향상 등 제빵 품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수슬러지와 페촉매를 원료로한 경량골재의 제조 (Fabrication of Lightweight Aggregates Using Sewage Sludge and RFCC)

  • 박일문;오준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8권4호
    • /
    • pp.3-10
    • /
    • 1999
  • 생활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연소재(SA)에 정유공장의 폐촉매(RFCC)를 첨가시켜 제조하려는 실험.연구를 행하였다. SA만의 경우에는 $1250^{\circ}C$에서 열처리하였을 때 비중이 1.67인 골재를 얻을 수 있었으며, 부피팽창률은 승온속도에 큰 영향이 없었고 소성시간에 따라서는 다소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SA에 RFCC를 10 wt% 첨가한 경우에 $1250^{\circ}C$에서 비중이 1.07인 경량골재를 얻을 수 있었으며 소성시간에 따라 부피팽창율이 다소 증가하였다. 경량골재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 RFCC 첨가량은 10 wt%이었으며 최대 부피팽창율을 보인 조건은 승온속도; $20^{\circ}C/min$, 소성온도; $1250^{\circ}C$, 유지시간; 50분의 경우였다. RFCC의 첨가량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압축강도는 30 wt% RFCC>SA>20 wt% RFCC>10 wt% RFCC의 경향을 보였다.

  • PDF

마이크로 전자패키지용 Printed Wiring Board의 솔더레지스트공정에 따른 열적특성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PWB for Microelectronic Packages with Solder Resist Coating Process)

  • 이효수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73-82
    • /
    • 2003
  • 최근 인쇄회로기판(printed wiring board, PWB)은 마이크로 전자패키지분야에서 디자인 또는 제조측면에서 핵심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PWB는 열적특성이 다른 여러 재료가 적층되어 있는 구조이고 제조공정을 지나는 동안에 각 층의 재료는 서로 다른 열팽창률을 나타나게 되어 워피지, 수축, 크기 등의 많은 불량을 발생시킨다. PWB의 열변형 특성은 제조공정 변수 중 솔더레지스트의 부피변화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각각 2층, 4층 PBGA 및 CSP의 열변형 특성을 솔더레지스트 공정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솔더레지스트의 부피분율이 30%이상일 경우, 2층 PWB의 열변형이 4층 PWB보다 최대 40%로 높게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는 4L PWB는 고인성 특성을 지닌 프리프레그와 동박이 추가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므로 솔더레지스트의 열변형을 상쇄시키기 때문이다. 반면에 솔더레지스트의 부피분율이 30%이하일 경우, PWB의 층수 및 디자인에 관계없이 유사한 열변형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탄소 피복된 SnO2-SiO2 음극활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rbon Coated SnO2-SiO2 Anode Materials)

  • 정구현;나병기
    • 청정기술
    • /
    • 제19권1호
    • /
    • pp.44-50
    • /
    • 2013
  • 리튬이온전지에서 음극활물질의 저장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석산화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주석산화물은 기존의 흑연 음극활물질보다 충방전 용량이 높다. 하지만 충방전이 진행되는 동안에 부피팽창률이 높아서 활물질이 파괴되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과도한 비가역용량이 문제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리적 완충역할을 하는 물질이 첨가된 복합산화물을 제조하였다. $SnO_2-SiO_2$ 복합산화물을 솔-젤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10 vol% 프로필렌기체를 이용하여 탄소피복을 하여 전기전도성을 증가시켰다. TG/DTA, XRD, SEM과 FT-IR을 이용하여 제조된 물질의 물성을 분석하였으며, CR2032 코인셀을 제조하여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300^{\circ}C$로 열처리한 후에 탄소피복한 $SnO_2-SiO_2$ 활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기존 케틀 분석 및 가열 시스템 연구를 통한 16oz 팝퍼 케틀 국산화 기술 개발 (Loca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16oz Popper Kettle through Existing Kettle Analysis and Heating System Study)

  • 이정훈;김경철;오영섭;유범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773-7780
    • /
    • 2015
  • 팝퍼 케틀의 국산화 개발을 위하여 기존 케틀을 분석하고, 열선 배치에 따른 열전달 해석을 통하여 케틀 국산화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케틀 재료 분석을 위한 시편을 제작하고 Polishing 및 Etching을 수행하였다. SEM을 이용하여 시편의 표면을 관찰하여 페라이트 퍼얼라이트 재질을 디프 드로잉 방식으로 제작하였음을 파악하였다. 도금층 재질 및 두께 분석을 통해 Ni(16%)도금이 $16{\sim}49{\mu}m$임을 파악하였다. 또한 열선 배치에 따른 열전달 특성을 파악하고, 최적 열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케틀의 장시간 작업 시간 중에 발생하는 케틀 과열 시 작동을 중지하는 제어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케틀 개발 이후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부피팽창률에 대한 평가 규격 KS G3602를 만족하였다.

부피팽창률법을 이용한 활엽수 열처리 목재의 섬유포화점 측정 (FSP Mesurement of Heat-treated Hardwoods Using Volumetric Swelling Method)

  • 이승진;강석구;강춘원;강호양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3-168
    • /
    • 2012
  • Specimens of seven hardwood species were heat-treated at three temperature levels of 170, 190 and $210^{\circ}C$. Their FSP's were measured by the volumetric swelling method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s. Within a species the FSP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of heat treatment increases. The FSP's of the controls range from 26.1 to 29.6%, while those of the specimens heat-treated at $210^{\circ}C$ from 16.9 to 21.8%. There were no difference of basic density between the heat-treated and control specimens. The color indexes of ash and beech specimens were measured using a colorimeter. It was revealed that the temperature of heat treatment affected on the color more than the treatment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