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착 강도

검색결과 1,413건 처리시간 0.197초

강섬유 혼입률과 피복두께에 따른 GFRP 보강근의 부착특성 (Bond Properties of GFRP Rebar with Cover Thickness and Volume Fraction of Steel Fiber)

  • 최윤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761-768
    • /
    • 2012
  • 이 연구는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피복두께와 GFRP 보강근의 부착특성을 부착응력-미끌림 관계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변수로는 강섬유 혼입률을 0%, 1%, 2%로 하였고 피복두께는 보강근 직경($d_b$)의 $1.5d_b$$5.4d_b$로 하였다. GFRP 보강근의 직경은 D13과 D16 두 가지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실험을 위하여 이형철근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피복두께에 따 상이한 파괴형태를 취했으며, 작은 피복두께를 갖는 $1.5d_b$의 경우 쪼갬파괴 형태를 취했고 충분한 피복두께인 $5.4d_b$를 갖는 경우 뽑힘파괴 형태를 취했다. 이에 강섬유 혼입률을 증가시켰음에도 파괴형태에는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강섬유 혼입률의 증가에 따라 최대부착응력 도달 후 급작스런 부착응력 감소폭이 감소하였다. 또한, 작은 피복두께를 갖는 경우 최대부착응력에 도달 전에 파괴되면서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부착응력의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충분한 피복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최대부착응력에 도달 하면서 강섬유 혼입률 증가에 따라 부착응력이 증가하였다. 이는 강섬유의 가교작용으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의 미소균열 및 쪼개짐 균열의 성장을 억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St/BA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 및 인장강도 특성 (Bon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Polymer-Modified Mortar Using Styrene and Butyl Acrylate)

  • 유기표;형원길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820-8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styrene(St)와 butyl acrylate(BA)를 단량체로 폴리머를 합성하여 폴리머 필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로 제작하여 세공구조와 부착강도, 그리고 인장강도와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St/BA 폴리머 필름의 인장강도는 St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와 인장강도는 폴리머 필름의 인장강도가 클수록, 미세공극량이 많을수록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다.

콘크리트 내에 표면매입 보강된 FRP 판의 부착강도 (Bond Strength of Near Surface-Mounted FRP Plate in RC Member)

  • 서수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15-422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FRP 부재를 이용한 표면매입 보강에서, FRP의 부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총 78개의 기존실험 결과를 분석하고,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식들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FRP부재의 형상계수(폭-두께비)와 강성을 반영한 Seracino의 식이 부착내력을 가장 근사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eracino의 식은 실험 결과를 다소 과소평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특히 부착길이가 작을수록 그 경향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착길이 증가에 따른 영향이 Seracino의 식에는 전혀 반영되어있지 않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기존 실험 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부착길이와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찾고 또한 여러 개의 FRP부재를 인접하여 배치시 발생하는 무리효과를 고려하여 Seracino 식을 수정 제안하였다. 이 제시된 식을 이용하여 기존 실험체에 대한 내력을 계산하고 평가한 결과, 제안된 식으로서 표면매입 보강된 FRP의 부착강도를 매우 근사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이애시 치환율 및 압축강도에 따른 콘크리트의 부착 거동 (Bond Behavior of Concrete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Fly Ash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 이형집;서정인;유성원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9-24
    • /
    • 2016
  • 현재까지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연구는 슬럼프, 강도 및 내구성 등 기본적인 재 료성질에 대해서 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구조부재에의 적용을 위해서는 철근의 사용이 필수적이므로 그 부착특성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는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를 구조부재에 적용하기 위한 정확한 기준이나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 특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직접 인발 시험을 수행하여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시멘트 콘크리트의 부착특성을 파악하고, 실험결과와 기존 연구결과를 비교하여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시멘트 콘크리트의 부착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시멘트 콘크리트의 부착거동은 일반콘크리트와 유사하게 거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하면,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부착강도는 묻힘길이가 클수록 부착강도를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FRP 보강근의 부착강도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Bond Strength of AFRP Rebar in Normal Strength Concrete)

  • 최준호;박경찬;이영학;김희철;이재삼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9-16
    • /
    • 2009
  • 철근 콘크리트 부재에서 부착강도는 콘크리트와 보강근 사이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인발실험을 통해 AFRP 보강근의 부착강도에 대하여 실험하고, AFRP 보강근과 이형철근의 부착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묻힘 길이와 보강근의 직경이 실험의 변수로 사용되었으며, 실험을 통해서 AFRP 보강근의 부착응력-미끌림 관계 및 파괴양상을 평가하였다. AFRP 보강근의 부착응력-미끌림 관계는 이형철근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보강근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인발하중은 증가하나 부착응력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AFRP 보강근의 부착강도는 이형철근의 약 5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량콘크리트의 부착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Bond Strength of Deformed Bars in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조장세;나성준;김민숙;이영학;김희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43-53
    • /
    • 2011
  • 철근 콘크리트 부재에서 부착강도는 콘크리트와 보강근 사이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실험에서는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한 경량콘크리트와 이형철근의 부착강도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발실험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이형철근의 직경과 묻힘길이를 변수로 하는 144개의 인발실험 시험체가 사용되었다. 보통콘크리트와의 비교를 위하여 물/시멘트 비 50%의 보통콘크리트의 인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을 통해서 부착응력-미끌림 관계와 파괴형상을 평가하였다. 물/시멘트 비에 따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부착강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인발실험을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경량 콘크리트의 부착응력에 대한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동결융해 및 부착재료 변화에 따른 GFRP-구조물 경계면의 최대 부착강도 및 유효부착길이 평가 (Investigation of Maximum Strength and Effective Bonding Length at the Interface Between Structure and GFRP Material Under Freeze-thaw Cycles and Applied Different Bonding Materials)

  • 최현규;정우영;안미경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07-115
    • /
    • 2011
  • 본 연구는 부착재료의 변화 및 동결융해에 따른 FRP-콘크리트구조물 경계면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실험 시 고려된 연구변수로는 부착경계면의 부착강도, 경계면 유효부착길이 등을 조사하였다. 경계면 부착재료에 따른 거동변화 실험체의 경우 FRP-구조물 부착경계면에 사용되는 에폭시의 종류를 각각 3가지로 분류하며 FRP-콘크리트간 다양한 부착길이를 고려하여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동결융해에 따른 경계면 거동조사의 경우 0 cycle에서 300cycle까지 계속적으로 증가되는 주기에 대하여 실험체들을 제작, 장기거동 부착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결과, 적용 부착재료의 종류에 따라 최대 유효부착길이는 5~7% 차이가 있었으며 동결융해 주기증가에 따른 최대부착하중 및 유효부착길이의 경우 초기에 나타난 급격한 거동변화 이후 상대적으로 불규칙한 변화를 장기적으로 나타내었다.

횡보강근이 없는 40, 60 MPa 콘크리트에서 철근 압축이음의 거동과 강도 (Behavior and Capacity of Compression Lap Splice in Unconfined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40 and 60 MPa)

  • 천성철;이성호;오보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91-302
    • /
    • 2009
  • 현행 기준식에 따르면 초고강도콘크리트에서는 철근 인장이음길이보다 압축이음길이가 더 길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초고강도콘크리트의 경제적 실용화를 위해 합리적인 압축이음강도의 평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압축이음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고 영향인자를 도출하였으며, 설계강도 40, 60 MPa 콘크리트에 대한 압축이음 실험을 수행하였다. 압축이음강도는 부착과 지압으로 구성되고, 부착과 지압의 복합 거동에 의해 발현되므로, 압축이음 거동특성 및 강도평가를 위해서는 부착과 지압이 함께 존재하는 상태에서의 연구가 수행되어야한다. 인장이음과 달리 압축이음은 이음길이가 짧고 지압의 존재로 인해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이 크다. 실험결과 압축이음강도는 콘크리트의 제곱근에 비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부착과 지압 모두 주변 콘크리트의 응력상태에 따라 결정되는데, 콘크리트의 축방향 응력이 높기 때문에 철근 순간격 증가에 따른 이음강도 증가는 거의 없다. 지압강도는 이음길이와 철근 순간격에 무관하며, 콘크리트 강도의 제곱근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파괴양상이 측면파열파괴와 유사하므로 지압강도는 앵커의 측면파열파괴 강도식을 활용하여 평가가 가능하다. 부착에 의해 발현되는 강도는 인장이음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인장이음강도에 비해 향상된 압축이음강도는 단부 지압효과로 설명될 수 있다.

직접 인발 시험을 이용한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의 부착 특성 실험 (An Experiment on Bond Behaviours of Reinforcements Embedded in Geopolymer Concrete Using Direct Pull-out Test)

  • 김지상;박종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454-462
    • /
    • 2016
  •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안의 하나로 고려되는 새로운 건설재료이다.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의 재료 개발 및 재료 특성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의 구조부재 적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에 매입된 철근의 부착특성에 대한 것으로 압축강도 수준 20, 30 및 40MPa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에 대하여 공칭지름 10,16 및 25mm 철근을 매입한 실험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27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여 EN10080의 규정에 따라 부착강도 및 부착-슬립 관계를 계측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압축강도 증가에 따라 부착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일반 콘크리트와 유사하게 철근의 지름이 증가함에 따라 부착강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이 실험의 결과에 근거하여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에 매입된 철근의 기본 정착길이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콘크리트 휨부재 보강용 FRP의 부착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방법 연구 (Experimental Method for Evaluating Debonding Strength of FRPs Used for Retrofitting Concrete Structures)

  • 우투이 나디아;김희선
    •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36-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표준에서 제시하는 콘크리트 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강용 FRP의 부착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방법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FRP의 부착성능을 평가해 보도록 한다. 따라서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FRP를 두 겹으로 보강하여 양생한 철근 콘크리트 보에서 보강재의 탈락이 유도될 수 있도록 실험체를 설계하고, 3점 재하 시 적절한 파괴형상 및 부착강도가 나타나는 지를 실험을 통해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보강재의 탈락으로 인한 파괴가 유도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실험방법을 통하여 크기가 작은 일반강도 콘크리트 실험체에서 FRP의 부착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