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착상실 측정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mparison of Radiographic Measurement and Clinical Parameters of Periodontal Condition on Premolars and Molars (소구치 및 대구치의 치주임상지수와 방사선학적 측정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Lim, Hyun-Sook;Choi, Seong-Ho;Cho, Kyoo-Sung;Chai, Jung-Kiu;Kim, Chong-Kwa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8 no.1
    • /
    • pp.161-175
    • /
    • 1998
  • 치주상태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치주탐침과 같은 임상적 검사와 보조적으로 방사선 검사를 이용한다. 방사선학적인 검사가 치주조직의 파괴정도와 골 흡수를 진단하는데 유용하지만 실제적인 골 흡수를 정확하게 나타나는데는 한계가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임상적 측정과 방사선 사진을 비교연구하여 이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방사선이 임상에서 참고사항으로는 중요하지만 절대적 신뢰를 주는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왔다. 방사선학적 측정과 임상지수 측정간의 상관관계에대하여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저자는 연세대학교 치과 대학병원 치주과를 내원한환자중 연령 및 성별에 관계없이 전신질환이 없는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소구치의 원.근심부, 대구치의 원.중.근심부에서 치주낭의 깊이와 (P.D), 부착상실 (A.L)을 측정하였다. 방사선 사진상의 원.근심부에서 백악 법랑질 경계부에서 치조골능 상부까지의 치조골 수준 (Rx.B.L)을 측정하였고 이개부 부위에서는 이개부의 천정으로부터 나타나는 골 흡수의 방사선 투과상을 측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임상지수와 방사선학적 측정간에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원·근심부의 P.D와 Rx.B.L을 비교 했을 때 상관관계는 모든 치아에서 높게 나타났다(r=0.897$\sim$r=0.725, p<0.01). 2. 원·근심부의 A.L와 Rx.B.L을 비교 했을 때 상관관계는 모든 치아에서 높게 나타났다 (r=0.915$\sim$r=0.732, p<0.01 ). 3. 대구치 769개가 실험 대상인었다. 상악 대구치중(356개) 40%가 이개부 병소를 나타냈고 (146개), 하악 대구치중(413개) 41%가 이개부 병소를 나타냈다(170개). 4. 대구치의 이개부 병소의 중앙부에서 측정한 P.D와 Rx.B.L을 비교 하였을 때 상관관계는 상악 제1대구치를 제외한 모든 치아에서 높게 나타 났다(r=0.811$\sim$r=0.435, p<0.01). 5. 대구치의 이개부 병소의 중앙부에서 측정한 A.L와 Rx.B.L을 비교 하였을 때 상관관계는 상악 제1대구치를 제외한 모든 치아에서 높게 나타 났다(r=0.906$\sim$r=0.479,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임상지수와 방사선학적 측정을 비교한 바, 이들의 상관관계는 모든 치아에서 밀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방사선학적 측정은 임상지수와 더불어 치주질환의 진단과 치료계획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nges in occlusal force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adjacent and opposing teeth after loss of lower first molar: comparative study by using a strain gauge (하악 제1대구치 상실 시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이동양상에 따른 교합력 변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비교 연구)

  • Song, Myoung-Ja;Park, Ji-Man;Chun, Youn-Sic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2 no.1
    • /
    • pp.47-59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cclusal force after loss of the lower first molar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and extrusion of the adjacent and opposing teeth by using a strain gauge. Materials and Methods: Anatomic teeth were used to reconstruct the normal dental arch with loss of the lower right first molar. A uniformly thick layer of silicone was applied to the root to mimic the periodontal ligament. Four stages of dies with varying degrees of inclination and extrusion of the adjacent and opposing teeth were constructed and attached to master model interchangeably by using a CAD/CAM fabricated customized die system. The strain gauges were attached to teeth and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occlusal force. A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lpha}=.05$). Results: While simulating chewing food, the upper first, second premolar and lower second molar showed greater occlusal force than before extraction. When the change of adjacent teeth's occlusal force with their progressive movement after molar loss was evaluated, the difference among four die models was significant and was in the decreasing aspect (P < 0.05). Conclusion: When the lower first molar was lost and the adjacent teeth did not move yet, the occlusal force in adjacent teeth was higher than that when the lower first molar still existed. In addition, the occlusal force in the upper premolars and lower second molar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progressive movement of adjacent teeth.

저점착 코팅의 접합특성 평가방법 개발

  • Kim, Yu-Seop;Jo, Hui-Jae;Lee, Hak-Yeong;Jeong, Yong-Chan;Lee, Su-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42.2-42.2
    • /
    • 2018
  • 신도시 및 대규모 도시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다수의 지상 배전함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불법 광고물 및 스티커의 부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기관 및 산업체에서는 부착 방지용 코팅 도료 및 시트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장에 적용 된 다수의 제품이 존재한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제품들은 약 1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부착 방지 기능을 상실하며, 도료와 기판 또는 시트와 기판 사이의 박리가 일어나 도시의 미관을 더욱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부착력(Peel resistance, N/cm)을 측정하는 기존의 제시된 방법(KS T 1028, Peel test)으로는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제품 선별에 어려움이 있다. 일반 기판의 경우 규격에서 요구하는 각도($90^{\circ}$, $180^{\circ}$)가 잘 유지되어 정밀한 부착력 측정이 가능하지만, 저점착 기능성 코팅소재(Anti-adhesion coating)의 경우 부착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요구 각도를 유지하기 어려워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압입자(Probe)를 이용한 새로운 평가 장치와 방법(Tack test)을 개발 및 제시하였다. 평가 지표로는 최대 점착력(Adhesive force, N), 최대 점착력일 때 점착제가 늘어난 총 길이(Extension of adhesive, mm), 탈착 에너지(Energy, J)가 있으며, 인가하는 힘(N)이 커질수록, 탈착 속도(Velocity)가 빨라질수록 평가 지표 모두 값이 상승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각 시험방법(Peel test, Tack test)에 대한 테이프류 점착제와 기판과의 결합이 끊어지는(Debonding, 탈착) 메커니즘(Mechanism)은 점착제 기공(Cavity)의 형성, 결합이 끊어지는 힘(Debonding force, N), 힘의 평형(Force balance)로 설명 가능하며, 상호간의 관계성을 도출한다. 이와 같은 평가 지표를 활용하여 저점착 기능성 코팅소재에 대해 정밀한 평가를 하는 것으로, 향후 개발될 다양한 제품에 대한 성능 분별력을 높이고, 현장에 적용 될 제품들의 성능을 끌어 올려 기존에 발생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 할 수 있다.

  • PDF

Comparison of electric and manual toothbrushes on periodontal health in fixed orthodontic patients (고정식 교정환자에서 치주건강 유지에 대한 전동치솔의 효과)

  • Park, Seong-Joon;Lee, Ki-Heon;Hwang, Hyeon-Shi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5 no.4 s.111
    • /
    • pp.286-29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n electric toothbrush, with a specially designed orthodontic brush head, compared to a manual toothbrush on the periodontal health of patients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Forty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lectric and the manual toothbrush groups, 1 month after attachment of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Periodontal status was measured using a plaque index, a gingival index. a bleeding index, a pocket depth and a relative attachment loss, at baseline and after 3 months. 6 months, 9 mouths. and 12 mouths. The Braun Oral-B Plak Control with Ortho OD 15-1 brush head was used as the electric toothbrush while the Butler G.U.M 124 was given as the manual toothbrush. In the manual toothbrush group, the giugival and bleeding indic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plaque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and pocket depth as well as relative attachment lo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In the electric toothbrush group. the bleeding index, pocket depth and relative attachment los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plaque and gingival indic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In the case of the plaque. giugival and bleeding indice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lectric and the manual toothbrush groups.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pocket depth and relative attachment los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lectric and the manual toothbrush groups: an increase in the manual toothbrush groups unlike the electric toothbrush group which kept the same state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 electric toothbrush is useful for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s.

부착방지 기능성 도료의 탈착 특성 평가 및 고찰

  • Lee, Hak-Yeong;Kim, Yu-Seop;Jeong, Yong-Chan;Lee, Su-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41-41
    • /
    • 2018
  •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번화가 대로변 주변에 다수의 지상 변압기 및 개폐기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불법 부착물로 인한 도시의 미관 훼손, 변압기 및 개폐기의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각 산업체 및 연구 기관에서는 부착 방지용 코팅 도료 및 시트에 대해 다양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사례도 있다. 하지만 현재 현장에 적용된 대부분의 제품들은 약 1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고유의 기능을 상실하며, 도료 및 시트와 기판 사이의 박리가 일어나 우수한 성능을 보이지 않아, 결과적으로 도시에 더욱더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도료 및 시트의 성능 평가를 위한 다양한 규격들이 존재하지만, 테이프류 탈착 시 영향을 주는 인자(Factor)들이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고, 이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한 자료가 없으며,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시험 방법이 고려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좋은 제품을 선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제품들의 비교평가 및 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면테이프(Duct tape)를 이용하여 기판(Substrate)에 대해 다양한 인자를 기준으로 탈착 특성을 측정 및 평가하였다. 현재 지상 배전함 및 개폐기는 분체도장(Powder coating)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모재는 탄소강(Carbon steel)으로 이루어져 있고, 소수의 경우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를 사용하기 있기 때문에 분체도장(Powder coating), 탄소강(Carbon steel),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를 기판으로 선정하여 탈착 특성을 평가했다. 탈착 특성에 관여하는 요인으로는 탈착 각도(Peeling angle), 탈착 속도(Peeling speed),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 등이 있고, 상대 습도(Relative humidity)의 경우 탈착 특성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탈착 시 각도가 클수록, 속도가 빠를수록, 조도가 작을수록 부착력(Peel resistance, N/cm)과 탈착 에너지(Energy, J)가 커지며, 탈착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바탕으로 95% 신뢰도 구간을 적용한 탈착특성 모델링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링을 이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각도($90^{\circ}$, $180^{\circ}$)와 속도 범위(100 ~ 1500mm/min)에서의 탈착 특성을 추정하는 것으로, 좋은 성능 및 내구성을 가진 제품을 효과적으로 선별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Tooth Mobility and other Periodontal Clinical Parameters of Teethhaving Periodontal Regenerative Treatment (치주재생 치료를 받은 치아의 동요도와 다른 치주임상적 지표 간의 상관관계)

  • Son, Byung-Chan;Kim, Sung-Jo;Choi, Jeom-Il;Lee, Ju-You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8 no.1
    • /
    • pp.37-46
    • /
    • 2012
  • The ultimate goal of periodontal therapy is the regeneration of supporting tissues. It is recommended to avoid probing until 6~9 months following the regenerative therapy because the probing may jeopardize the newly formed tissues. We can measure tooth mobility objectively using Perio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eriotes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treatment results alternatively, and whether there ar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hanges of Periotest value (PTV) and other clinical parameters. Regenerative treatments have been performed on 29 teeth of twenty five patients, at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measured the tooth mobility by Periotest and other parameters at the baseline, 6 and 12 months after regenerative treatment. Compared to the baseline, there we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the parameters at 6 months and 12 month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probing depth, attachment level, gingival recession and PTV at baseline, 6 months, and 12 months. Also there was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PTV and in the attachment level at each time of observation period. We may conclude that regenerative therapy would improve the clinical parameters and periodontal status and PTV would be an alternative index to evaluate the healing process after regenerative surgery.

THE EFFECTS OF TETRACYCLINE-CONTAINING GEL ON GINGIVAL CREVICULAR ENZYME ACTIVITY (치근활택술 및 테트라사이클린 젤의 부가적 사용시 치은 열구액내 효소활성도에 관한 연구)

  • Chang, Mee-Khyoung;Han, Soo-Boo;Kim, Kack-Kyun;Son, Seong-Heui;Shim, Chang-K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4 no.3
    • /
    • pp.443-457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외과적 치주치료시에 부가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테트라싸이클린 젤의 효과를 임상지수, 치은 열구액양 및 치은열구액내 효소활성도 측정을 통해 평가함에 있다. 치주낭 깊이가 4mm 이상 6mm이하인 구치가 편악당 적어도 2개 이상 존재하는 중등도 치주염에 이환된 환자 23명을 선택하여, 한 편악에서는 치근활택술 만을 시행하였고, 다른 한 편악에는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치은연하로 주입한 뒤 치근면 처리하였다. 사용된 임상검사 지수는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주낭 깊이, 치은부착 상실도 및 탐침시 출혈로, 각각 치료시작 전과 치료 후 4, 12주에 검사하였으며, 치은열구액내 효소활성도 검사를 위해 치은열구액을 치료시작 전과 치료 후 1, 2, 4, 12주에 각각 채취하고 치은열구액 양을 조사한 뒤 Lactate dehydrogenase(LDH)와 Beta-glucuronidase(BG)의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효소활성도는 LDH는 340nm에서, BG는 550nm에서 각각 흡광도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상지수를 측정 비교한 결과 치근활택술 만으로 치료한 군과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병용한 군 모두에서 임상적으로 치은건강의 현저한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통계상 두 군간의 유의성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2. 치은열구액 양은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병용한 군이 치근활택술만 시행한 군보다 치료 후 2주와 4주에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3. LDH와 BG 효소 활성도는 두 군 모두 현저히 감소하였고, 비록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병용한 군에서 감소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Mechanism by which periodontitis may contribute to atherosclerosis (치주염이 동맥경화에 기여하는 기전에 관한 연구)

  • Han, Seung-Hee;Kim, Kyung-Hwa;Yang, Seung-Min;Chung, Hyun-Ju;Choi, Yoon-Sik;Han, Soo-Boo;Chung, Chong-Pyoung;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2 no.4
    • /
    • pp.837-846
    • /
    • 2002
  • 그람 음성균의 감염에 의한 만성 염증질환인 치주염이 동맥경화를 동반한 허혈성 심장질환 (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그 기전에 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작용기전의 하나로서, 치주염에 의해 치주조직에서 국소적으로 생긴 염증성 싸이토카인(IL-1${\beta}$, IL-6, $PGE_2$, TNF-${\alpha}$)이 혈행을 따라 이동하여 심혈관에서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가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 가설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서울대학교 병원 순환기 내과에 불안정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으로 입원한 환자 및 과거 이 질환의 병력을 갖고 있거나 검진 목적으로 내원하여 관상동맥 조형술을 받은 환자들 중 동맥경화로 진단받은 사람을 실험군(24명)으로 하고, 동맥경화로 진단받지 않은 사람을 대조군(12명)으로 하였다. 치주질환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치은 지수, 치태 지수, 치주낭 깊이, 부착 상실을 측정하였다. Paper strip을 실험대상 치아(Ramfjord's teeth)들 중에서 가장 깊은 치주낭을 가진 두 개의 치아를 택하여 각 치아의 가장 깊은 치주낭에 30초간 삽입한 후 밀폐된 plastic tube에 넣고 ELISA kit를 이용하여 IL-1${\beta}$, IL-6, TNF-${\alpha}$, $PGE_2$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환자의 plasma에서도 동일한 싸이토카인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동맥경화의 위험 인자로 간주되어온 고혈압, 당뇨, 가족력, 심근경색이나 협심증의 기왕력, 흡연의 유무를 기록하였다. 혈액검사를 하여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LD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WBC, CRP (C-reactive protein)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치주조직에 대한 임상 검사 결과 치은의 염증상태를 나타나는 지표인 치은 지수에서만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할 정도 (p=0.0174)로 높게 나타났고, 만성적인 염증의 결과로 인한 치조골의 사실 정도를 나타내는 치주낭 깊이나 부착 상실에서는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주낭에서 측정한 염증성 싸이토카인 중 IL-1${\beta}$, $PGE_2$가 실험군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 (p=0.005, 0.022)를 보이며, 더 높은 농도로 나타났고, TNF-${\alpha}$는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게 (p=0.009)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plasma의 싸이토카인이나, serum lipid/lipoprotein, C-reactive Protein, WBC는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치은열구액내의 싸이토카인과 이에 상흥하는 싸이토카인 간에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치은열구액내의 IL-1${\beta}$와 TNF-${\alpha}$ 만이 동맥경화와 유의성 있는 관련성을 보였고, 특히 IL-1${\beta}$와 교차비는 273으로 상당한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치주조직에서 국소적으로 생긴 염증성 싸이토카인이 그대로 혈행으로 이동하여 혈장내의 싸이토카인 농도를 높이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치주염으로 인해 치은열구내액내에 국소적으로 증가된 염증성 싸이토카인은 동맥경화와 상당한 관련성을 가진다.

Vacuum Web-coater with High Speed Surface Modification Equipment for fabrication of 300 mm wide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FCCL) (초고속 대면적 표면 처리 장치가 부착된 300 mm 폭 연성 동박적층 필림 제작용 진공 웹 코터)

  • Choi, H.W.;Park, D.H.;Kim, J.H.;Choi, W.K.;Sohn, Y.J.;Song, B.S.;Cho, J.;Kim, Y.S.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6 no.2
    • /
    • pp.79-90
    • /
    • 2007
  • Prototype of $800{\ell}$ vacuum web coater (Vic Mama) consisting of ion source with low energy less than 250 eV for high speed surface modification and 4 magnetron sputter cathodes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through fabricating the adhesiveless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FCCL). Pumping speed was monitored in both upper noncoating zone pumped down by 2 turbo pumps with 2000 l/sec pumping speed and lower surface modification and sputter zone vacuumed by turbo pumps with 450 1/sec and 1300 1/sec pumping speed respectively. Ion current density, plasma density, and uniformity of ion beam current were measured using Faraday cup and the distribution of magnetic field and erosion efficiency of sputter target were also investigated. With the irradiation of ion beams on polyimide (Kapton-E, $38{\mu}m$) at different fluences, the change of wetting angle of the deionized water to polyimide surface and those of surface chemical bonding were analyzed by wetting anglometer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fter investigating the deposition rate of Ni-Cr tie layer and Cu layer was investigated with the variations of roll speed and input power to sputter cathode. FCCL fabricated by sputter and electrodeposition method and characterized in terms of the peel strength,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y.

Ultrasonographic study on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of adult Korean (한국인 성인의 교근 두께에 관한 초음파검사적 연구)

  • Cha, Bong-Kuen;Park, In-Woo;Lee, Yeun-Hee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1 no.2 s.85
    • /
    • pp.225-236
    • /
    • 2001
  •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 shape and structure of bone are closely related to the activity of attached muscle. Numerous clinical and animal experimental studies indicated the significant effects of masticatory muscle function on maxillofacial morphology. Recently, the development of ultrasonography has spread throughout different fields of medicine. In the clinical examinations, ultrasonography is a convenient, inexpensive technique to apply with accurate and reliable resul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thickness of the masseter muscle and its correlation to maxillofacial skeleton by examining 35 male and 15 female dental students at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by ultrasonographic scanning with a 7.5MHz linear probe, and their maxillofacial morphology were investigated by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and maxillofacial morphology of normal adult was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average thickness of male masseter muscle was 13.8${\pm}$1.71mm in the relaxed state and 14.8${\pm}$1.77mm at maximal clenching state, while that of female was 11.6${\pm}$1.58mm and 12.4${\pm}$1.47mm, respectively. Ethnic difference in thickness of the masseter muscle and maxillofacial skeleton was found when the results of many researcher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is study. 2. The thickness of the masseter muscle in both sexes increased significantly at maximal clenching state than in relaxed state(P<0.05). 3.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of male was greater than that of female both in the relaxed state and maximal clenching states(P<0.05). 4. In males, the thickness of the masseter musc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mandibular plane angle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andibular ramus height and anterior cranial base length(P<0.05). It may suggest that the male with thicker masseter muscle has smaller facial divergence. 5.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and maxillofacial morphology in females(P<0.05).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ultrasonography can add valuable information to the conventional examinations of masseter muscle fun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