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착물질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55초

해조류 추출물로부터 홍합(Mytilus edulis)의 부착 저해물질 정제

  • 조지영;홍용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55-156
    • /
    • 2000
  • 연안 해역에서 해조류와 부착패류는 양식장 시설 뿐만아니라 수취구 어선바닥 등에서 그 피해는 심각한 실정이다. 해조류에 의한 부착은 잎파래 가시파래 등이 주가 되고 패류로는 홍합과 따개비가 주를 이룬다 이들의 부착방지를 위해서 염소살균, TBTO (Tributyltin oxide), CuSO$_4$등의 처리를 하고 있지만 이러한 처리에 의해서는 또다른 환경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같은 부착방지 물질 탐색의 일환으로 흥합을 탐색 대상종으로 선택하여 각종 해조류 추출물들로부터 부착 방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리매(Sytosimphon lomentaria)로부터 가장 높은 활성을 확인 하였고, TLC, silica-gel chromatography, Ion-exchange, HPLC를 통해 정제 하였다. (중략)

  • PDF

면직물의 카티온 유기제에 의한 항균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microbial of cotton fabric by cationic compound)

  • 권윤정;차민경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7-418
    • /
    • 2003
  • 섬유제품을 착용하면, 땀ㆍ피지ㆍ때 등 피부로부터 대사 노폐물이 섬유표면에 부착되고, 의복이 오염되어 비위생적이 된다. 오염물이 부착된 섬유제품에서는 악취가 발생함과 더불어, 보온성이나 통기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나빠진다. 피부에 상존하는 세균이나 외부로부터 부착된 미생물은 섬유에 부착된 인간의 노폐물이나 오염물질 등의 유기화합물을 소화시켜 휘발성 악취물질을 발생한다.$^{1)}$ 항균 방취 가공은 미생물의 부착과 번식을 억제하고 나아가서 불쾌감을 없애주는 기술이다. (중략)

  • PDF

부유 및 부착성장 질화균에 미치는 구리 독성의 영향 (Effect of Copper toxicant on Suspended and Attached Growth Nitrifying Bacteria)

  • 김금용;백주헌;이상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855-86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질산화 반응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기존 하수처리장 슬러지를 이용하여 3개월 이상 농축 배양한 후에 부착 및 부유성장 상태로 적응시킨 질화균을 이용하여 독성물질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목적은 부유 및 부착성장 질화균을 이용하여 이들의 비표면적에 따른 독성물질의 영향을 상호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유 및 부착상태의 농축 질화균의 비표면적을 다르게 하여 각각에 대한 독성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부착성장 질화균 및 부유성장 질화균의 경우 비표면적이 클수록 독성에 대한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착상태와 탈착상태의 질화균을 사용한 실험에서, 독성물질에 대한 영향은 탈착상태보다 부착상태에서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는 1.12배, Nitrobacter의 경우에는 1.09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부유성장 질화균을 사용한 경우에는 분쇄 전보다 분쇄 후에 독성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 1.46배, Nitrobacter의 경우에 1.35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또한, 기질에 아질산염을 주입하지 않고 실험한 결과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부착상태와 탈착상태의 질화균을 사용한 실험에서, 독성물질에 대한 영향은 탈착상태보다 부착상태에서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는 1.83배, Nitrobacter의 경우에는 1.78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부유성장 질화균을 사용한 경우에는 분쇄 전보다 분쇄 후에 독성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으며, Nitrosomonas의 경우에 1.27배, Nitrobacter의 경우에 1.32배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입상여과에서 액반플럭의 부착 (Alum Floc Attachment in Granular Media Filtration)

  • 김진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25-630
    • /
    • 2004
  • 입상여과는 표준식 정수처리 공정에서 입자물질 제거의 최종공정으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양질의 수돗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입상여과에서 높은 수준의 입자물질 제거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여과공정에서 모든 입자물질을 제거할 수 없으며, 또한 입자물질의 부착특성은 입자와 용액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실험실규모의 여과칼럼과 입경 0.55mm의 유리구슬을 여재로 한 여과실험이 수행되었다. Min-U-Sil 5가 입자물질로 사용되었으며 입자물질을 불안정화하기 위하여 액반을 사용하였다. 운전조건은 표준입상여과와 동일하였으며 여과속도는 5m/h 였다. 입자와 여재가 모두 음의 표면전하를 갖을 경우 작은 표면 전하를 갖는 입자가 여과초기에 여재에 잘 부착되었다. 작은 표면전하를 갖는 입자의 선택적 부착은 유출수의 제타 전위분포를 더 음인 방향으로 이동시켰다. 한편 입자의 표면전하가 양의 값을 갖을 경우는 여과수 입자의 표면전하가 양의 큰 값에서 작은 값으로 변하였는데 이는 입자와 여재사이의 이온전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자기공명영상검사 시 신호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상물질의 간접부착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irect Attachment Method of Compensation Materials to Increase Signal Intensity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손순룡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37-442
    • /
    • 2017
  • 최근 자기공명신호를 형성시키지 않는 보상물질을 이용하여 신호강도를 높이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검사부위에 보상물질을 직접 부착함에 따른 환자감염의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상의 전환으로 보상물질을 코일에 간접 부착함으로써 기존의 직접 부착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보상물질인 실리콘을 원통형 bar의 형태로 제작하여 8채널 head 코일의 element에 부착한 후, 실리콘 부착 전 후 water phantom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였다. 영상획득은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와 8채널 head 코일을 이용하여 T1, T2강조영상을 획득하였으며, 획득한 영상은 영상측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호강도를 측정한 후, 대응표본T검정을 이용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였다. 부착 전 후 신호강도는 T1 강조영상은 3.39%, T2 강조영상은 2.62%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간접 부착방식은 증가율이 낮아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대체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filling factor의 증가로 인한 신호강도의 의미있는 상승이 있으므로 당뇨병 등 감염성 질한 우려 환자에 적용 시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해조류 추출물로부터 가시파래 (Enteromorpha prolifera)의 부착 저해물질 탐색

  • 권은희;최재석;홍성렬;홍용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47-148
    • /
    • 2000
  • Marine algae는 주된 fouling organism으로 전세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다. 특히나 container ships와 large tanker에서 자라는 algae는 마찰력의 증가로 인한 speed 감소와 연료비의 증가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그래서 현재 antifouling paint로 TBT화합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해양생물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TBT 화합물 사용에 대해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추출물을 이용하여 무독성 천연 방오물질의 탐색을 목적으로 우선 선박이나 양식장 그물등에 많이 부착 성장하는 가시파래를 대상으로하여 이의 antifouling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찾고자 한다. (중략)

  • PDF

난황항체 및 첨가제를 이용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부착 억제 (Studies on Adherance Inhibition and Detachment of Helicobacter pylori Using Egg Yolk IgY and Additives)

  • 구재경;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41-47
    • /
    • 2001
  • H. pylori 유래의 위장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감염 원인균의 부착 억제와 탈착이 가능한 물질의 사용이 타당성 조사 및 그 기초연구를 목적으로 조사하였다. 우선, 닭에 면역접종을 하여 면역접종 횟수에 따른 IgG 항체의 증가를 확인하여 면역접종을 하지 않은 군에 비해 10배 이상 H. pylori에 대한 항체가 생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H. pylori가 위 상피세포에 결합하는 현상이 H. pylori의 감염에 중요한 첫 단계라는 점에 착안하여 H. pylori의 위벽세포에 대한 결합의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여러가지 부착 억제 후보물질을 이용하여 단독 또는 H. pylori에 대한 난황 항체와 함께 H. pylori의 부착 억제 정도를 실험하였다. 부착 억제 실험의 결과, 난황 항체를 이용하여 H. pylori(NCTC11637, ATCC43526)가 AGS에 부착하는 것을 저해가 가능하였으며 NCTC11637와 ATCC43526 모두 균체 및 외막단백으로 면역접종하여 생산된 항체의 경우 0.5 mg/mL의 농도로 NCTC11637은 80%, ATCC43526은 60% 정도의 부착 억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착 실험의 결과도 면역접종을 실시한 난황 항체가 40-60% 정도의 탈착 효과를 보였으며 균체 자체와 외막 단백을 항원으로 사용한 군 사이의 탈착력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들이 사용 균주에 따라, 특히 분리 균주를 이용한 경우에는 상이한 결과들이 나타나므로 항체를 이용한 경우에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난황 항체는 식품성분의 하나로서 안정성의 면에서 매우 유리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특이적 항체를 많이 생산할 수 있는 항원의 개발과 함께 정제도를 높인다면 더욱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외국의 다른 연구에서 보고된 경우와 같이 in vitro에서 유효한 물질이 in vivo에서 효과가 없는 경우도 종종 보고되고 있어 지금까지 탐색한 물질의 in vivo에서의 부착 억제 효과에 대한 진단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H. pylori의 결합에 관계하는 receptors 및 ligands가 어떤 특정한 한가지가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복합적인 물질이 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이륜자동차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tion of Motorcycle Exhaust Emission)

  • 김종춘;이종태;엄명도;박용희;곽순철;유영숙;임윤성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68
    • /
    • 2003
  • 우리나라는 1987년 7월부터 휘발유 및 LPG 연료 사용 자동차에 배출가스 저감장치인 삼원촉매(3way catalytic converter)를 부착하였고 배출가스 측정방법도 중량규제(g/km)로 하였다. 그러나 이륜자동차는 2001년부터 2행정기관에 대해서 산화촉매를 부착토록 하였으며, 오염물질 측정방법도 2000년에 이르러 정지가동시 측정하는 농도규제(%)에서 트랜지언트(transient)방법에 의한 중량규제(g/km)로 강화하였다. (중략)

  • PDF

TPA로 야기된 HL-60 세포의 기질부착에 대한 Asadisulphide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sadisulphide on the TEA-induced Adherence of HL-60 Cells)

  • 유관희;박미아;김선희;안병준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1-186
    • /
    • 2000
  • 항암제로 사용되어 온 아위를 사용하여 극성에 따른 용매추출 분획을 얻고 TPA로 처리된 HL-60 세포를 사용하여 기질부착 억제실험을 수행한 결과, ethyl acetate (EA) 층에서 가장 강한 부착억제효과가 있음을 알아 내었기에 ethyl acetate (EA)층을 다시 ethyl acetate (EA), hexane (HEX), ethyl ether (EE)로 추출한 뒤 3회 chromatography하여 아위 순수활성물질인 asadisulphide를 분리해 내었다. 이 순수활성물질을 가지고 HL-60 암세포에 대한 부착 억제실험을 수행한 결과 asadisulphide는 최소농도 2 $\mu\textrm{g}$/ml에서 HL-60 세포의 부착을 98%억제하였다. 또한 assdisulphide는 HL-60 세포에 대해 ED$_{50}$값은 2.6 $\mu\textrm{g}$/ml이었으며, 20 $\mu\textrm{g}$/ml 농도 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고 항암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 PDF

금속에 부착 가능한 UHF 대역 RFID 태그 안테나 (UHF Band RFID Tag Antenna Mountable on metallic Object)

  • 정준모;유병길;정병운;이병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65-7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금속 물질에 부착 가능한 UHF 대역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수동형 태그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태그 안테나는 일반적인 PIFA(Planar Inverted-F Antenna), IFA(Inverted-F Antenna)형태의 안테나를 갖는 태그보다 부착 되는 금속 물질 크기에 상당히 둔감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안테나의 구조는 멀티 층(multi layer)을 구성하였고, "L"자 슬릿을 추가 하여 방사 패치의 크기를 줄였다. 제안된 태그 안테나의 분석을 위해 HFSS 시뮬레이션 툴(tool)을 사용 하였으며, 후방산란(back-scattering)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측정은 금속 물질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태그 안테나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