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진아 지도

Search Result 26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테크놀로지 활용을 통한 수학학습 부진아의 치유 가능성 탐색

  • Kim, Bu-Yun;Lee, Sun-Ju;Lee, Ji-S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411-42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해 보고, 테크놀로지가 공평성의 원리에 입각하여 구체적 조작물로서 부진아의 수학 학습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부진아의 개별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가, 부진아의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의 제고 및 학습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수학학습 부진아들에게 테크놀로지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수학학습 부진아들의 발생요인을 종합하였으며, 선정된 대상의 사전조사에 의거해, 수학학습 부진의 원인을 학습자 요인의 인지적 요인인 학습방법 미숙과 교과 요인 가운데 수업 요인인 직접적 개별학습의 부재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반에 대한 총 40시간의 수업 실시 후의 연구결과에 의해 테크놀로지가 수학학습 부진아의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 PDF

학습부진아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방법 - 고등학교 중심 -

  • 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237-270
    • /
    • 200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습부진아를 위하여, 자연과학의 기초가 되고, 학습의 전이가 높다고 생각되는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부진아의 특성을 규명하고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 학습방법, 수학적 능력향상, 학습부진아에게 새로운 흥미와 학습 의욕을 야기 시켜 보다 효율적인 지도방법, 학습부진아의 원인을 규명하고, 개인차에 알맞은 학습과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재를 개발하여 학습의 전의력을 높임으로써 수학교과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구성 적용하고, 학습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학습부진아를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The Design of Diagram Instruction & Learning System for Low Level Student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도형 영역 교수.학습 시스템 설계)

  • Koo, Yun-Mi;Goh, Byung-Oh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325-334
    • /
    • 2007
  • 수학 교육이 해결해야하는 과제 중 하나는 학습 부진아 문제이다. 수학 학습 부진아 발생 원인은 학생의 수준에 맞지 않는 교재의 사용으로 인해 수학에 대한 흥미 부족,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교재의 미비, 부진아 지도를 위한 교사의 시간 부족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형아 놀자'라는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교수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학습 부진아의 수준에 부합된 맞춤식 교육을 목표로 7차 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에 제시된 필수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교재를 재구성하였고, 수학과에 대한 흥미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교수 학습 방법으로 게임을 활용하였으며, 상호작용부분을 강화하여 가정과 연계된 교육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의 학습단계는 여러 가지 모양, 점, 선, 각, 평면도형, 합동과 대칭, 입체도형이라는 5단계로 각 단계의 시작과 끝에 평가를 실시하여 학습부진아의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 PDF

Effects on Individually Tailored Teaching According to Types of Under-achievement in Science (과학 학습 부진 유형에 따른 맞춤형 학습 지도의 효과)

  • Kim, Sang-Yun;Lee, Kyoeng-Ran;Back, Nam-Gwon;Park,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5
    • /
    • pp.907-917
    • /
    • 2015
  • Response to Intervention (RTI), which is focused on the gap between pre-interventions and post-interventions, provides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his study takes under-achievement factors into consideration to determin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rs. The under-achievement factors include cognitive learning factors, affective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conducted curriculum-based assessments, achievement tests, and assessments o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o verify the effects of individually tailored teach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under-achievement in science.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six students in fourth grade, and the comparison group had 23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and progress of underachievers in the first-stage showed little progress and did not reach grade-level performance. Second, the underachievers in the second-stage greatly improved. In particular, the average of eight sessions in the second-step demonstrated performance beyond that of the regular child. Third, individually tailored teach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under-achievement in science positively affected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underachiever by applying individually tailored teach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under-achievement in science.

A Study On Development of Diagram Teaching & Learning System for Low-Level Students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도형 교수.학습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Koo, Yun-Mi;Goh, Byung-Oh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4 no.3
    • /
    • pp.395-404
    • /
    • 2010
  • One of the object on math education is low-level students. To improve this problem and to instruct efficiently I developed "let's play figures" instruction and learning system. This system reconstructed diagram part of math into 5steps to achieve the goal of tailored education to fit student's learning level. Based on this, the game can be used as the teaching method to enhance the student's interest and self-studying ability and also this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the education connected to home.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Learning System for Operation Field Underachiever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수.연산 영역 부진아를 위한 웹기반 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Jeong-Rang;Kang, Nam-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8 no.2
    • /
    • pp.155-164
    • /
    • 2004
  • In the field of number and operation of mathematics, a learner's learning deficit in one year can disturb or obstruct his or her learning in the following year, which is an obvious characteristic in math education. But the problem doesn't stop here. It may increase poor learning in the related math field or, in a serious case, cause mathematical learning incompetence. In the other hand, a teacher must guide a class of about 40 students and take charge of overburdensome routine; it's really impossible for him or her to secure individual teaching time for poor learners and to give lessons considering their individual poor learning elemen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has found out some poor learning elements from poor learners in teaching mathematical number and operation, offered learning fit for them, and allowed them to approach a learning system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And it has embodied a web-based learning system for operation field underachiever in elementary school, applied it to the scene of education, and analyzed the results so that a teacher may manage their learning results by DB and guide poor learners systematically. As a consequence, the study could reduce a teacher's teaching overburden and at the same time, raise the learning accomplishments of poor learners.

  • PDF

학습 부진아 판별문항의 개발

  • Bang, Seung-Jin;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181-200
    • /
    • 2001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습 부진아를 좀 더 전문적, 종합적으로 진단,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 지도를 통하여 조기에 학습 부진아를 예방하고 일반학생과 같이 원활한 학교생활에 적응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학습 부진아 판별문항 개발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Science based on Grounded Theory (초등교사의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 Kang, Jihoo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44-64
    • /
    • 2022
  • This study explore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while teaching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science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on 13 teachers with experiences in teaching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science within the last three years and more than five years of field experience until the theoretical saturation of data on the teaching experiences for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science.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underachievers in science were classified into 119 concepts, 41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Based on the paradigm model, the categories were structured and presented as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nd consequences based on the central phenomenon of 'difficulty in teaching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science'. Second, the core categor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underachievers in science was assumed to be 'overcoming difficulties and teaching underachievers in science'. An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and dimensions of the core category, teachers who teaching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science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compromising-', 'overcoming-', 'accepting-', and 'conflicting-reality type'. Third, a conditional matrix was presented to summarize and integ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classifying the teach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underachievers in science into educational providers and educational demander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eaching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science were discussed.

중학교 1학년 수학 부진아의 진단 및 처방에 관한 사례연구

  • Jeong, Bo-Na;Jo, Wa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103-124
    • /
    • 2001
  • 수학은 계통성이 강한 학문이다. 이러한 수학의 특성은 학습의 결손이 있거나 학습속도가 느린 학생들에게 수학을 학습하는 데 어려움의 근원이 된다. 특히 중학교 수학에서는 처음으로 형식적인 수학이 도입되기 때문에, 중학교 1학년에서 수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경우 그 학생은 수학 장애아, 수학부진아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개별지도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수학 부진아를 선정하여 수학학습에서의 어려움을 진단하고, 학생의 오개념과 오류를 분석한 후, 그 학생에게 맞는 학습전략을 선택하여 처방 지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의 이해와 사고과정을 알아보고 태도변화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Blend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Reading: Design Strategies (읽기 학습 부진 학생의 학업성취도 증진을 위한 Blended learning 설계 전략)

  • Kim, Kwang-Ho;Lee, Mi-Wha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249-254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읽기 부진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Blended learning 설계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읽기 부진아의 원인 및 특성, Blended learning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읽기 학습부진아의 원인과 개별적 특성을 바탕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학습을 결합한 Blended learning 설계 전략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Blended learning 설계 전략에 따라 읽기 학습부진아를 지도한다면 읽기 학습부진아의 학습참여도 향상과 학업성취도 증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읽기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노력과 비용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