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정적 감정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21초

소비후의 감정과 성과지각에 대한 기대감정과 소비과정행동의 효과 (The Effects of Expected Affect and Consumption- Process-Behavior on the Post-Consumption Affect and Perceived Outcomes)

  • 최낙환;나광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3권4호
    • /
    • pp.16-37
    • /
    • 2001
  • 많은 소비자 행동연구에서 연구가 본질적으로 구매 전 평가와 선택에 집중된 경향이 있으며, 또 감정보다 인지의 역할에 관한 연구가 많다. 소비과정에 관한 감정적 연구가 중요함에도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소비자의 감정적 요인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이 소비과정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선택되고 난 후에 소비과정을 거쳐서 나타나는 소비 후 감정(소비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감정적 관점에서 소비과정행동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구매 후 소비 전 기대감정은 소비 후 소비감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에 대하여 직접적인 관계와 간접적인 관계로 나누어 스포츠 센타를 연구대상서비스로 선정하여 탐색하였다. 긍정적 기대감정은 긍정적 소비감정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부정적 기대감정은 긍정적 소비감정에 직접적인 효과가 없었다. 간접효과를 보면 긍정적 기대감정과 부정적 기대감정 모두 소비의지와 소비과정행동의 적극성을 매개로 목적달성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또 목적달성정도에 따라서 긍정적 소비감정수준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이 되는 내용은 긍정적 소비감정의 수준에 소비과정 행동의 적극성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목적달성 정도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 PDF

소비자 혼란이 분노를 통해 구전, 신뢰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 성향과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Effect of Consumer Confusion on Word of Mouth and Trust Through Anger: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Consumer's Negative Affectivity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 문선정;강보현;이수형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113-141
    • /
    • 2011
  •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기업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구매에 관련된 정보처리절차과정이 더욱 복잡해지면서 소비자들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 혼란으로 인해 야기되는 부정적 감정에 초점을 둔다. 소비자 혼란을 세 가지 하위 차원으로 분류하여 각 요소들이 구전과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 감정(분노)의 매개효과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자 혼란과 부정적 감정 간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두 가지의 소비자 특성, 부정적 감정 성향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대구에 거주하고 있는 250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은 LISREL 8.7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혼란의 모든 차원은 분노에 양(+)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분노는 구전에 양(+)의 영향을 주는 반면 신뢰에는 음(-)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정적 감정 성향은 과잉혼란, 모호혼란과 분노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과잉혼란과 분노 간의 관계만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분노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고, 조절변수 효과를 통해 부정적 감정에 대한 시각을 넓혔다. 또한 마케터에게는 소비자 혼란의 심각성과 그에 관련된 부정적 감정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폭력적 게임의 시청행위와 게임행위의 부정적 감정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Negative Emotional Effects in Violent Video Game)

  • 윤주성;방영주;노기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7-18
    • /
    • 2014
  • 사회적 통념상 폭력적 게임콘텐츠는 기존의 TV와 같은 수동적 시청행위보다 능동적 행위를 요구하는 게임에서 부정적 효과가 더 크다고 보고 있다. 본 연구는 폭력적 게임에 대한 시청행위와 게임행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포, 불안, 혐오, 분노, 적대감, 우울과 같은 부정적 감정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플레이테스트 실험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폭력게임에 대한 시청행위는 혐오, 우울과 같은 내적감정이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능동적 게임행위에서는 분노, 적대감과 같은 외적감정 상태의 부정적 감정이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종류의 미디어 행위는 각기 다른 성격의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게 되며 따라서 폭력 게임에 대한 능동적 게임행위가 시청행위보다 특별히 부정적 감정효과가 크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인스타그램 이용제한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감정과 대안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Instagram Usage Restrictions on User Alternative Behavior and Emotion)

  • 김채민;최유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45-346
    • /
    • 2019
  • SNS의 다양한 역기능과 함께 중독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이미지 기반의 인스타그램이 강세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SNS중에서 이용도가 높은 인스타그램 사용제한 시 사용자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 활동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 방법은 인스타그램 1일 5회 이상 이용자 3명을 대상으로 7일간 앱 삭제 및 이용을 제한하고 매일 1인칭 관찰기법인 자기 일기 작성으로 감정변화와 대안 활동을 수집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 빈도수가 높을수록 시간이 흘러도 부정적 감정이 감소하지 않았고 사용 빈도수가 낮을수록 부정적 감정이 점차 감소하였다. 대안 활동으로는 오프라인 활동보다는 온라인 활동이 많았고 여러 종류의 스마트폰 미디어 활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나아가 의존도에 따라 부정적 감정소강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연구로 발전될 것을 기대하며 이에 따라 SNS중독성 해결에 필요한 시간, 대안 활동 제시의 연구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 PDF

인터넷 쇼핑 중 구매결정 연기가 쇼핑감정과 쇼핑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cision Making Delay on Experienced Emotion for Internet Shopping and Internet Shopping Mall Satisfaction)

  • 김한나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133-160
    • /
    • 2008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인터넷 구매결정을 연기하는 쇼핑행동을 경험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를 통해 감정적 요인들이 쇼핑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모델의 실증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과적 위험지각, 재정적 위험지각, 사회적 위험지각에 의한 구매결정 연기는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게 하며, 특히 성과적 위험지각의 경우 긍정적 감정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 위험지각과 절차 불확실성에 의한 구매결정 연기는 쇼핑 중 긍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필요 불확실성에 의한 구매결정 연기는 부정적 감정을 감소시켜 쾌락적 쇼핑성향과 관련된 구매결정 연기는 긍정적 감정을 경험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쇼핑감정에서 경험된 긍정적 감정은 쇼핑몰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감정은 부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기능적 일치성과 자아일치성이 소비감정과 점포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ctional-congruity and Self-congruity on Coffee Shop User's Consumption-related Emotions and Store Attitude Formation)

  • 안세희;전병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70-83
    • /
    • 2012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기능적 일치성과 자아일치성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러한 이차원적인 감정 구조가 커피전문점에 대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280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기능적 일치성은 커피전문점 이용객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아일치성은 커피전문점 이용객의 긍정적 감정에(+)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커피전문점 이용객의 긍정적 감정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감정은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기능적 일치성과 자아일치성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매개로 하여 점포태도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 PDF

고객보상프로그램의 사용상황과 부정적 감정, 결속차원 및 불평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공정성이론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among Usage Situation of Customer's Reward Program, Negative Affect, Commitment, and Complaining Behavior - Focused on Equal Theory -)

  • 이은미;전중옥
    • CRM연구
    • /
    • 제2권1호
    • /
    • pp.53-72
    • /
    • 2009
  • 기업의 효과적인 판매촉진 수단으로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고객보상프로그램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시행착오 또한 다양한 상황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객보상프로그램의 실패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이 최근 실무계를 중심으로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증연구는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고객보상프로그램의 사용상황을 공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정의하고, 이러한 사용상황이 발생된 부정적 감정을 매개로 결속차원(계산적 결속, 정서적 결속)과 불평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모형화 하고 이에 대한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배 공정성과 상호작용 공정성만이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감정은 계산적 결속과 정서적 결속 모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의 관계가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계산적 결속만이 불평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고객보상프로그램의 사용상황에서 불만족한 고객은 분배 공정성과 상호작용 공정성에 의해 부정적 감정이 유발 될 수 있으며, 부정적 감정은 계산적 결속과 불평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계산적 결속이 증가 할 수록 불평행동을 덜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PDF

의료서비스에서 물리적 환경, 공정성, 지각된 대기시간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Perceived Justice and Perceived Waiting-Time on Repurchase Intension)

  • 윤성욱;김수배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2권
    • /
    • pp.135-154
    • /
    • 2003
  •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이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의료서비스접점에서 물리적 환경과 공정성, 그리고 지각된 대기시간이 매개변수인 서비스품질평가와 부정적 감정을 통하여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의료서비스에서 물리적환경과 공정성이 부정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를 처음으로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의료서비스접점에서 첫째, 물리적환경요인은 서비스품질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인 감정은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정성은 서비스품질평가나 부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셋째, 지각된 대기시간은 서비스품질을 낮추고 부정적 감정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품질은 재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흥를 미치고 있으나, 부정적 감정은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의료서비스도 물리적환경의 중요성이 증가 하고, 대기시간의 단축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부정적 감정은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료서비스의 특수성에 따른 전환장벽이 해결될 경우 이탈가능성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부정적 감정의 최소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 PDF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부정적 감정이 청각적 언어상상에 의해 유발된 대뇌 피질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egative Emotion to Cortical Activity Induced by Auditory Verbal Imager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이홍식;김지웅;김율리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2호
    • /
    • pp.174-179
    • /
    • 2000
  • 연구목적 : 환청이 자기감시체계의 이상이라고 주장하는 일부 학자들은 청각적 언어상상과 관련된 뇌 활성화 소견을 이용하여 환청의 병리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런데 대부분의 환청의 내용은 부정적 감정을 동반하는 내용이다. 이런 점에서 저자들은 부정적 감정이 청각적 언어상상에 의해 유발된 대뇌 피질 활성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부정적 감정이 환청발생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정상인과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부정적 내용의 청각적 언어상상 과제와 부정적 내용의 청각적 언어상상 과제를 수행토록 하였다. 이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하면서 정량화뇌파검사를 시행하였고, 이때의 대뇌피질 활성의 차이를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가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인에서 각기 어떤 식으로 달리 나타나는가 비교하였다. 결과 : 정상인의 경우 중립적 감정일 때에 비해 부정적 감정의 청각적 언어상상시, 좌측 측두엽 부위(TCP1)에서 beta주파수대의 뇌파 진폭이 증가하였고, 대뇌 우반구의 몇몇 부위(FP2, F4, C4, CP2, P4)에서 theta주파수대의 뇌파 진폭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정신분열병 환자의 경우,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모든 주파수대에서 뇌파 진폭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좌측 측두엽의 더 많은 활성이 요구되는 부정적 내용의 청각적 언어상상을 하게 될 때, 정신분열병 환자에서는 적절한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지지하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에 따른 자기감시체계의 활성의 저하가 환청과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는 것으로 시사된다.

  • PDF

잠재고객의 호텔웨딩 인적서비스상품에 대한 인식과 감정반응 (Recognition & Emotion Reaction on the Hotel Wedding Human service Commodities of latency Customer)

  • 이준재;김용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342-351
    • /
    • 2009
  • 호텔기업의 수익창출구조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웨딩서비스 상품 중 다소 측정이 어려운 인적 서비스 상품에 대한 예비 고객의 감정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호텔별로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에게 설문지를 20부씩 배부하여 회수된 177부 중에서 불성실한 20부를 제외하고 157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인적서비스와 물적 서비스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 호텔 웨딩 서비스 상품 중 인적서비스는 고객이 느끼는 긍정적 감정과 긍정적 환기, 부정적 환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고객의 호텔 웨딩서비스 상품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은 향후 고객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고객의 감정반은(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 긍정적 환기, 부정적 환기)은 고객의 추후 구매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와 한계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표본설정에서부터 실증연구 결과까지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될 것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