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정교합자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3초

악골형태에 따른 상하악절치위치에 관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분석 (CEPHALOMETRIC ANALYSIS OF UPPER AND LOWER INCISORS IN DIFFERENTIAL FACIOSKELETAL PATTERN)

  • 김정호;권오원;김정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35-753
    • /
    • 1992
  • 악골형태에 따른 상하악절치의 위치를 분석하기 위하여 18세 이상되는 정상교합자 60명과 II급 1류 부정교합자 40명, 그러고 III급 부정교합자 40명의 측모 두부방사선규격 사진을 설정한 계측점과 계측항목에 따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작계와 관련된 계측항목인 CI angle은 정상교합자군에서 $89.20{\pm}4.34^{\circ}$, II급 1류 부정교합자군에서 $81.68{\pm}5.95^{\circ}$, III급 부정교합자군에 $101.96{\pm}6.31^{\circ}$이었다. 상하악절치위치 계측항목의 악골형태별 비교에서 정상교합자군에 대한 II급 1류 부정교합군은 상악절치가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고(p<0.05), 하악절치도 ${\angle}LI-APog$, LI-APog(m), ${\angle}LI-AB$, LI-AB(mm)를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었다(p<0.05). III급 부정교합자군은 상악절치가 ${\angle}UI-SN,\;{\angel}UI-OP$을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고 하악절치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설측 경사져 있었다(p<0.05). 모든 악골형태에서 ${\angle}LI-SN,\;{\angel}LI-FH$가 악골계측항목과 비교적 상관성이 있었고, FMA가 하악절치위치계측항목과 비교적 상관성이 있었다. 악골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준선은 상악절치 계측항목에서는 AB선, 하악절치 계측항목에서는 APog선이었다.

  • PDF

ROC 분석을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수평계측방법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HORIZOTAL MEASUREMENT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THE ROC ANALYSIS)

  • 최희영;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63
    • /
    • 1995
  • 본 연구는 III급 부정 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수평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되는 여러 진단 항목들의 진단학적 효율과 타당성을 ROC analysis로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cut-off value에서의 sensitivity와 1-specificity에 의해 그려지는 곡선으로서 진단 방법의 타당성을 결정하고, 여러 진단 방법들을 비교하는 분석법으로 알려져 있다. 부정교합자 49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X-선 계측사진과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진단모형 계측을 통해 부정교합군을 분류하였으며, 이중 III급 부정 교합자는 245명이었다. 측모 두부 X-선계측사진에서 16개의 계측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이 계측항목들과 III급 부정교합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각도 계측항목에서는 $1^{\circ}$ 간격으로, 선계측항목에서는 1mm의 간격으로 sensitivity와 specificity를 구해 ROC curve를 그렸다. 그리고, 이 계측항목들의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 ROC curve 아래의 면적을 계산해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II급 부정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Wits" appraisal이 다른 계측 항목에 비해 더 나은 진단 효율을 보였다. 2. AB plane angle, ANB angle, App-Bpp distance, AF-BF distance, APDI, N perpendicular to A 와 Pog to N perpendicular의 차이,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도 높은 진단 가치를 보였다. 3. 하악골의 위치를 평가하는 계측항목은 중정도의 진단 효율을 보였다. 4. 상악골에 대한 계측항목은 III급 부정교합의 판별에 대한 진단 가치가 낮았다.

  • PDF

II급 부정교합자에서 액티베이터 사용에 따른 atlas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atlas position with Class ll activator treatment in Class II malocclusion patients)

  • 조문기;차경석;정동화;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20호
    • /
    • pp.44-55
    • /
    • 2007
  • 본 연구는 II급 부정교합자에서 액티베이터 사용 후, 하악골의 변화에 따른 atlas의 위치 및 형태 변화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치료 효과를 예측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군으로 II급 부정교합자로써 액티베이터 치료를 시행한 경우 1군(총30명, 남자 15, 여자 15명), 대조군들로 II급 부정교합자로 액티베이터 치료를 받지 않고, 교정치료를 받은 2군(총 22명, 남자 12, 여자 10)과 I급 부정교합자로 치료를 받은 환자 3군(총 22명, 남자 12, 여자 10)으로 총 세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치료 전(T1), 액티베이터 사용 중지 및 치료 중간시기(T2), 치료 종료(T3)시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통해서 골격 형태 계측 및 atlas 형태 계측을 시행하였다. II급 액티베이터 사용 결과 액티베이터를 사용하지 않은 II급 부정교합자 군에 비해 치료 종료 시 다음과 같은 계측치 들에서 골격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ramal height, body length와 effective body length는 증가하였고, ANB는 감소하였다. Overjet은 두 군 사이에서 액티베이터 사용 후 유의한 감소가 일어났으나, 치료 종료 시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세 군 모두에서 FH에 대한 atlas의 시계방향 회전이 나타났으나, 실험군 1군에서 대조군 2, 3군에 비해 유의하게 atlas가 FH에 대해 시계방향 회전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1군이 3군에 비해서 atlas의 유의한 후방이동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세 군 사이의 atlas의 전, 후방적 위치나, 형태의 크기 변화에 있어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 위의 결과들을 고려해 볼 때 atlas의 장축의 시계방향 회전은 액티베이터의 사용 효과로 생각되며, 이는 차후 II급 부정교합자에서 액티베이터 치료 효과를 판단하는 또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인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대륙이 태평양판 쪽으로 밀려감으로써 섭입하던 태평양판의 각도가 급해져 동아시아 연변에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였으며, 이 때문에 태평양판의 운동 방향이 북북서에서 서북서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약 51 Ma부터 한반도 동남부에는 지판 경계의 강력한 흡입력으로 동서 내지 서북서-동남동의 인장력이 작동되어 B그룹 암맥군이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Ledge는 세 군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4. 파일 binding 횟수는 MC군이 가장 적고 PT군이 가장 많았다 (p < 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Mtwo 전동 파일을 crown-down technique으로 사용하는 것이 single length technique과 유사한 성형 효율을 보이면서도 더 안전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1명(3%)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치료 중 급성 합병증으로 11명(37%)에서 RTOG grade 1-2의 장염을 보였으며 1명은 대장의 천공이 발생하여 수술로 치유되었다. 12명(40%)에서 RTOG grade 1-2의 급성 방광염을 보였다. 3명(10%)에서 RTOG grade 1-2의 백혈구 감소증이 보였으며 1명에서 심한 백혈구 감소증(RTOG grade 4)이 나타났으나 회복되어 치료를 완료하였다. 만성 합병증으로 5명(15%)에서 RTOG grade 1-2의 만성 장염을 보였으며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고 있으며 1명(3%)에서 RTOG grade 2의 만성 방광염을 보였다. 그러나 치료에 의해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 론: 자궁경부암 환자에 항암화학요법과 동시에 외부 방사선조사와 고선량률의 강내조사를 시행한 결과 독성이 심하지 않고 국소제어율과 단기 생존율이 양호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장기 생존율과 만성 합병증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골격유형에 따른 치아치조특성 (Dentoalveola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acial types of Class III Malocclusion)

  • 박성수;김현덕;이대희;김정기;전영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1호통권90호
    • /
    • pp.33-42
    • /
    • 2002
  •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을 통하여 수평적, 수직적 골격 형태에 따른 치아치조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전북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중 교정 치료의 경험이 없는 남자 29명, 여자 31명, 합계 60명(평균나이 :남자 19.4세, 여자 20.2세)의 표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III급 부정교합의 치아, 치조의 보상적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는 남녀 모두 정상교합보다 작은 IMPA를 보였다(p<0.01).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남녀군 모두에서 하악골의 전후방적 위치를 나타내는 SNB 및 NtoPog은 하악전치의 전후방 경사를 나타내는 IMPA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남자군에서는 SNB가 SNU1, FHU1, PalU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1), 여자군에서는 SNU1만이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남자군에서 하악골의 수직적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SNMP, FMA, PalMP와 하악전치의 전후방 경사를 나타내는 IMPA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1), SNU1, FHU1, PalU1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여자군에서는 FMA, PalMP와 IMPA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4.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high angle군에서 low angle군과 비교하여 SNU1, IMPA가 작은값을 보였다(<0.05).

Activator 사용전후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각 근육 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AN ELECTROMYOGRAPHIC STUDY ON THE CHANGES IN MUSCLE ACTIVITY IN DIFFERENT MALOCCLUSION TYPES FOLLOWING ACTIVATOR THERAPY)

  • 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5-82
    • /
    • 1996
  • 본 연구는 II급 및 II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activator사용에 따른 각 근육의 적응 및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성장 발육기에 있는 아동중 II급 부정교합자 15명과 III급 부정교합자 17명으로 기능적 요인을 갖고있는 자로 선정하였고, 연구방법은 전측두근(T.A.), 교근(M.M.), 후측두근(T.P.), 악이복근 전복(D.A.)의 활성도를 알아보고자 $Biopak^{TM}$ program 과 쌍극표면전극을 이용하여 activator 치료 시작시기와 사용후 6-12개월 사이의 두차례에 걸쳐 안정위, 연하시, clenching등 세가지 조건에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II급 및 III급 부정교합자와 정상교합자의 근활성도를 비교한 결과 안정위시와 연하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enching시 교근과 후측두근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치료전 근활성도가 정상보다 작은 군은 유의성 있는 증가를, 큰 군은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이는 등 대부분의 근육이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경향은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전측두근(연하시), 후측두근(clenching시), 악이복근 전복(연하시, clenching시)을 제외하고 모두에서 보였으며 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전측두근(연하시), 교근(안정위, 연하시), 후측두근(clenching시)에서만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clenching시에서 감소되었다. II급 부정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과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안정위시는 III급 부정교합군의 근활성도 증가율이 II급 부정교합군보다 우세했고, 연하시에는 교근을 제외하고 II급 부정교합군이, clenching시에는 역시 II급 부정교합군이 악이복근 전복을 제외하고 우세하게 나타났다.

  • PDF

안면골격 형태와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CO-CR DISCREPANCY AND FACIAL SKELETAL TYPE)

  • 조진영;이영준;박영국;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39-853
    • /
    • 1998
  • 이 연구는 각 유형의 부정교합과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량 간의 상호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각 부정교합자 군에서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를 3차원적으로 비교 평가하고, 각 안면골격 형태의 특징에 따른 변위량의 차이 유무를 분석하고, 각 유형의 부정교합 골격형태에서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와 두개안면골격 계측요소 간의 상관성을 검정하였다. 242명의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중심교합위 상태에서 얻어진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을 계측하고 이들을 수평적, 수직적 관계에 의하여 9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들로부터 중심위와 중심교합위에서의 교합기록을 채득하고 face-bow로 안궁이전을 한 뒤 석고모형을 교합기에 중심위 상태로 탑재하였다. CPI를 이용하여 중심위와 중심교합위의 하악과두위치를 측정하고 이들과 각 군의 측모두부X선규격사진 계측치와의 상관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의 양과 방향에서 좌측과 우측은 증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후방보다는 상하변위의 좌 우측 상관성이 다소 높았다. 2. II급 부정 교합군이 I 급과 III급 부정교합군에 비해 좌우측간의 중심 교합위-중심위 변위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각 부정교합군에서의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 유형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중심교합위 상태의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상에서의 안면골격의 형태요소와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간에는 상관성이 적었다. 5. II급 brachyfacial skeleton과 III급 mesofacial skeleton의 일부 계측치에서 CPI수치를 예측할 수 있는 항목들이 나타났다.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의 양과 방향은 특정한 안면형태요소와는 무관하며 하악과두의 위치변이는 부정교합양태나 안면골격 형태와 관계없이 발현되었다.

  • PDF

최근 10년간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에 관한 역학적 연구(1990${\sim}$1999) (An Epidemiologic study on the Orthodontic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Orthodontics,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Last 10 Years(1990${\sim}$1999))

  • 윤영주;김광원;황미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83-300
    • /
    • 2001
  • 본 연구는 부정교합 유형이나 지역 분포 및 시대적 변화 등을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써 환자의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자료나 정보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다가오는 21세기에 변모될 치의학을 준비하고 발전의 도약을 마련하기 위해, 향후 부정교합 치료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간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진단받은 부정교합 환자 중 진단용 모형과 진료기록부가 잘 보존된 3,070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정교합의 양상과 내원환자의 분포 및 변화추세를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내원환자의 수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남자가 43.5%, 여자가 56.5%로 여자가 남자보다 약 1.3배 더 많았다. 2. 연령별 분포에서 7세에서 12세 군의 내원율이 37.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13세에서 18세 군이 32.0%, 19세에서 24세 군이 19.6%, 25세 이상 군이 7.1%, 0세에서 6세 군이 3.4%으로 가장 낮았다. 3. Hellman 치령별 분포에서 남녀 모두 영구치열의 완성기인 IVa가 5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내원환자의 거주지 분포에서 광주시내 거주자가 내원환자의 71.0%로 10km이내가 56.3%, 20km이내가 14.7%였다. 5. 내원환자의 주소(chief complaint)별 분포에서 전치부 반대교합이 22.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악전돌은 12.6%, 상악전치전돌은 12.2%를 보였다. 6. Angle씨 부정교합 분류별 분포에서 제I급 부정교합이 38.9%, 제 II급 1류 부정교합은 20.7%, 제 II급 2류 부정교합은2.0%, 제III급 부정교합은 38.4%였으며, 남자에서는 제III급 부정교합이, 여자에서는 제I급 부정교합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7. 치아의 수직관계이상에 있어서 제II급 1류와 2류 부정교합에서는 과개교합이 24.3%와 56.7%로, 제III급 부정교합에서는 개교합이 2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에 있어서 제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골 발육부전으로 인한 경우가 39.3%, 제I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골 과다성장으로 인한 경우가 4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9. 교정치료시 발치유무에 따른 분포에 있어서 발치 치료는 33.1%, 비발치 치료는 66.9%를 차지하였고, 발치치료 중 38.6%가 상하악 좌우측 제1소구치를 발거하였다. 10. 악교정 수술환자는 매년 계속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전체 환자의 7.9%가 악교정 수술을 받았다.

  • PDF

10세에서 14세 사이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아안면두개의 형태학적 특성에 대하여 (Dental and skelet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in Class III malocclusion between skeletal ages of 10 and 14)

  • 민승기;이영준;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19-435
    • /
    • 2003
  • 이 연구는 두부X선 규격사진을 이용하여 III급 부정교합자의 안모를 연령 성별로 분류하고,각 분류에 대한 두개 안면 형태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정상교합자 60명과 III급 부정교합자 60명을 표본으로 하였으며 각 군은 10세, 12세, 14세 군 남녀로 구분되었다. 50개의 선 및 각계측치를 Krogman-Walker의 기준평면을 기준하여 측정하였다. 1. III급 부정교합군은 전방두개저의 길이와 안상각이 정상교합자군에 비하여 작고 하악골체와 하악수직고경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남녀 모두 10세부터 유의하게 나타났다. III급 부정교합군에서의 하악하연각의 유의한 증가는 남녀 모두 12세때 나타났다. 2.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상악골의 후방 위치와 상악골체 크기의 유의한 감소는 남녀 모두 10세부터 나타난다. 3.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유의한 하안면부 수직고경의 증가는 주로 하악골체 크기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악골체의 경우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더 크고 전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전체적인 수직고경의 유의한 증가는 12세군에서 유의하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4. 본 연구에서는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두개저부각의 감소와 (Ba-S-N, 3A) 하악골체의 전방 위치는 남녀 모든 연령층에서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Rothstein 등에 의해 주장된 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두개저부각의 변화가 하악골체의 전후방 위치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주장을 부정하며, 디벳 등에 의해 주장된 앵글씨의 부정교합분류와 두개안면형태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를 지지한다.

저위교합환자의 보철적 접근법과 이론 : Pseudo Class III 교합환자 증례 (The prosthetic approach and principle for an collapsed VDO ; A clinical case of pseudo Class III patient)

  • 권긍록;최대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0권2호
    • /
    • pp.121-134
    • /
    • 2004
  • 진단과 치료과정을 통해서 후천적으로 습득된 부정교합을 가진 부분무치악자 성인에게서, 교합고경을 회복해 줌으로써 3급 부정교합 안모에서 정상교합상태의 안모와 기능을 부여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부분무치악자에서 치조골의 위축, 그리고 감소된 교합고경 인해 이루어진 부정교합자에게서 교합고경의 수복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적절한 안모의 심미는 대체로 interlabial gap이 약 0-2mm일 때 얻어진다. 이것과 함께, 제한된 입술 지지도(lip competence)가 교합고경 수복과 적절한 안모의 심미를 위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소개된 증례의 경우는, 7년 이상의 계속 관찰 결과, 성공적인 치료였다고 판단된다. 교합고경을 증가시킨 경우이긴 하지만, 사실은 원래의 정상 교합고경으로 회복 시켜주었다고 하는 것이 더욱 옳은 표현일 것 같다. 교합고경을 증가시키는 작업은 안모의 수복, 절치부의 외상성 교합을 수정하고 하악을 후퇴시키는데 매우 어렵고도 중요한 일이다. 최종적으로, 3급 부정교합이 수정되고, 적절한 교합고경을 가지게 되었으며, 위축된 구치 무치악부가 rigid support 개념으로 제작된 가철성 의치로 수복되었다. 부분 무치악부를 가진 후천적 부정교합자의 치료의 결과로 획득한 치아 및 안모의 심미와 이것의 장기간 안정성은 다음의 관계를 잘 고려함으로써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이상적인 교합고경에서의 교합수복, 2) 상,하악골 관계에서 기능적으로 유도되는 최종 교합의 허용, 3) lip competence (입술 적응) 한계 내에서 기능적으로 유도되는 최종교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