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작용

Search Result 2,56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결핵약제 부작용과 처리방법

  • 류우진
    • 보건세계
    • /
    • v.40 no.11 s.447
    • /
    • pp.15-17
    • /
    • 1993
  • 결핵의 성공적인 치료는 적절한 약제의 사용에 달려 있다. 치료실패의 주요 원인은 불규칙한 약제복용이나 조기중단 그리고 부적절한 치료처방이지만 약제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성공적인 치료에 지장을 일으키기도 한다. 결핵 치료에서는 최소한 2가지 이상의 약을 동시에 사용 하므로 부작용 발생시 그것이 어떤 약제와 관련된 것인지를 명확히 밝혀내어 적절히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약제들의 부작용을 정확히 알아야만 할 것이다. 먼저 약제의 부작용에는 어떠한 종류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에는 각각의 결핵약제에서 흔히 접하는 부작용들과 그에 대한 처리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 PDF

결핵치료 부작용과 처리방법

  • 류우진
    • 보건세계
    • /
    • v.41 no.1 s.449
    • /
    • pp.10-12
    • /
    • 1994
  • 결핵의 성공적인 치료는 적절한 약제의 사용에 달려 있다. 치료 실패의 주된 원인은 불규칙한 약제복용이나 조기중단 그리고 부적절한 치료처방이지만 약제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성공적인 치료에 지장을 일으키기도 한다. 결핵 치료에서는 최소한 2가지 이상의 약을 동시에 사용하므로 부작용 발생시 그것이 어떤 약제와 관련된 것인지를 명확히 밝혀내어 적절히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약제들의 부작용을 정확히 알아야만 할 것이다. 먼저 약제의 부작용에는 어떠한 종류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에는 각각의 결핵약제에서 흔히 접하는 부작용들과 그에 대한 처리방법을 알아보기로 한다.

  • PDF

결핵치료 부작용과 처리방법

  • 류우진
    • 보건세계
    • /
    • v.40 no.12 s.448
    • /
    • pp.4-7
    • /
    • 1993
  • 결핵의 성공적인 치료는 적절한 약제의 사용에 달려 있다. 치료실패의 주요 원인은 불규칙한 약제복용이나 조기중단 그리고 부적절한 치료처방이지만 약제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성공적인 치료에 지장을 일으키기도 한다. 결핵 치료에서는 최소한 2가지 이상의 약을 동시에 사용 하므로 부작용 발생시 그것이 어떤 약제와 관련된 것인지를 명확히 밝혀내어 적절히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약제들의 부작용을 정확히 알아야만 할 것이다. 먼저 약제의 부작용에는 어떠한 종류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에는 각각의 결핵약제에서 흔히 접하는 부작용들과 그에 대한 처리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 PDF

Detecting and classification ADRs using Named Entity Recognition on social media (개체명 인식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에서의 약물 부작용 표현 추출 및 분류)

  • Jeong, Hyeon-jeong;Kim, Hyon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443-446
    • /
    • 2021
  • 의약품에 대한 안전성 정보 수집과 관리는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해 약물 이상 사례를 보고받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므로 실제 발생하는 약물 부작용보다 데이터가 현저히 적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약물 이상 데이터 희소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소셜 미디어에서 약물 부작용 표현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소셜 미디어의 경우에는 표준 약물 부작용 용어를 사용하기보다는 일반인들이 자연어로 표현한 경우가 많으므로 개체명 인식 기법을 이용해 부작용을 추출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추출된 부작용 표현을 표준용어로 분류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두 가지 모델은 0.9 이상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일반 사용자들이 자연어로 표현한 약물 부작용 표현을 효과적으로 찾아내고 표준 부작용 용어로 매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Big data-based real-time drug side-effect risk assessment model (빅데이터 기반 실시간 의약품 부작용 위험도 평가 모델)

  • Lee, Chae-Eun;Bae, Eun-Ji;Yoon, Sook-Young;Lim, Su-Yeon;Kim, Yong-Min;Kim, Woo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754-757
    • /
    • 2019
  • 대한민국 인구의 고령화는 점점 더 심화되며 노인 환자의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노인환자들은 의약품 부작용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노인에게 부적절한 약물과 처방 이후의 부작용 발생 현황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의약품 부작용관련 문헌 정보와 실제 병원의 전자 의무 기록을 이용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Python 을 사용해 부작용 탐지 알고리즘을 설계했다. 노인 환자가 특정 약품을 투약한 이후에 그 약품에 부작용에 해당하는 진단을 받는다면 부작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을 구축했다. d3.js 를 통해 직관적으로 부작용 확률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했고 새로운 진단 또는 처방을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확률에 반영하였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작용 이슈에 신속하게 예방 및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Promotion of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 through Expansion of 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사용평가(DUR) 확대를 통한 의약품 부작용 보고 활성화 방안)

  • Jeong, Su-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
    • /
    • pp.234-241
    • /
    • 2019
  • The side effects of using drugs can greatly threaten the health of the public.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very few reports of current side effects. This can be activated by linking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ing to the Drug Utilization Review (DUR) currently used by pharmacies. A study of the U.S.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where drug use assessment is activated, can find ways to activate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ing. In 'Pharm IT 3000', which is used as a medication management program in pharmacies, we examined how to enable reporting of adverse drug reactions. The literature study and research on actual program operation have found a convenient way to report side effects by linking the Pharm IT 3000 prescription preparation assessment to the item.

성공 치료를 위해 알아야 할 약제 부작용

  • Park, Jae-Seok
    • 보건세계
    • /
    • v.55 no.2
    • /
    • pp.52-56
    • /
    • 2008
  • 결핵은 원칙적으로 약으로 치료하는 병이다. 그런데 항결핵약제(결핵약)들은 다른 대부분의 약들과 마찬가지로 환자가 복용하였을때 다양한 종류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실명이나 사망을 초래하기도 한다. 결핵 치료와 함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알아야 할 약제부작용에 대해 알아본다.

  • PDF

Development of Adverse Drug Event Surveillance System using BI Technology (BI기술을 적용한 약물부작용감시시스템 개발)

  • Lee, Young-Ho;Kang, Un-Gu;Park, Rae-Wo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2
    • /
    • pp.106-114
    • /
    • 2009
  • In this study, we are analysing adverse drug events and proposing a technical structure of "adverse drug event surveillance system" using business intelligence technology, hoping that we can use the system commonly and actively. It is the recent trend to adopt both of electronic review and manual review process to surveil adverse drug events and this study construct CDW applying ETL in BI Technology.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data pool included 701 doctors who prescribed and 3059 patients(1528 male, 1531 female), of total 318,222 cases, 2,086cases(0.6%) were suspected as having adverse drug events. And the single type of T.bilirubin> 3mg/dL(ADE type-LabR0005) was the most common(548 among 2085 cases) within the framework of signals.

A Survey of Sexual Dysfunction by Antidepressants (항우울제와 연관된 성기능 장애에 대한 조사)

  • Cho, Sung-Il;Lee, Young-Sik;Suh, Dong-Soo;Na, Chul;Min, Kyung-Jun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1 no.1
    • /
    • pp.44-51
    • /
    • 2003
  • Objectives: Antidepressants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sexual dysfunction. Especially, there were few report of sexual dysfunction related with venlafaxine and mirtazapin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evaluate the frequency and nature of sexual dysfunction related with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SRIs), venlafaxine and mirtazapine by the use of specific questionaires. Methods: In one hundred twenty two patients, sexual dysfunction was investigated cross-sectionally by using The questionaires for sexual dysfunction, which includes questions about decreased libido, delayed orgasm or ejaculation, premature ejaculation or orgasm, absence of orgasm or ejaculation, erectile dysfunction in men/vaginal lubrication dysfunction in women, sexual pain and patient's tolerance of the sexual dysfunction. BDI was also measured. Sexual dysfunction was analyzed in association with the duration and the dose of medications and the severity of depression. Results: The incidence of sexual dysfunction during antidepressants use in our survey was 37.7%. There were no difference of incidence in sexes(p=.746). In comparison of paroxetine, venlafaxine and mirtazapin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incidence(p=.065) and the severity of any type of sexual dysfunction. Conclusion: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xual dysfunction in our survey, sexual dysfunction may be closely associated with antidepressants. Further prospective study of sexual dysfunction should be needed.

  • PDF

Acute Adverse Reactions to Gadolinium-based Intravenous Contrast Agents for MRI : Retrospective Analysis Using Computed Reporting System (자기공명영상검사용 가돌리늄 경정맥 조영제의 급성 부작용: 부작용 전산 체계를 이용한 후향적 분석)

  • Choi, Moon-Hyung;Choi, Joon-Il;Jung, Seung-Eun;Ahn, Kook-Jin;Lee, Hae-Giu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15 no.2
    • /
    • pp.139-145
    • /
    • 2011
  • Purpose : To assess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acute adverse reactions to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s using computerized reporting system at a single large academic institut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assessed data from electronic hospital information system from October 2008 to December 2010. Reactions were classified as mild, moderate, or severe. We compared the frequency of adverse reactions among three contrast agents (Gd-BT-DO3A, Gd-DTPA and Gd-EOB-DTPA).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administrated contrast agents was 33,600, and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of Gd-BT-DO3A, Gd-DTPA and Gd-EOB-DTPA were 20,824 (62%), 10,417 (31%) and 2,359 (7%), respectively. Total 39 adverse reactions were reported accounting for 0.1161% of all administrations. The incidences of adverse reactions were 0.1248% (26/39, 67%) for Gd-BT-DO3A, 0.0768% (8/39, 21%) for Gd-DTPA, and 0.2120% (5/39, 13%) for Gd-EOB-DTPA. The difference of frequencies of adverse reaction among three contrast agents was not significant. Most cases of the adverse effect were mild (35/39, 89.7%). Moderate and severe adverse reactions were encountered in two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 Among Koreans, adverse effects were rare, and especially, moderate to severe adverse reactions were much rarer.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frequencies of adverse reactions caused by three different contrast ag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