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유율

Search Result 32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Effects of Suspended Solids on the Mortality and the Glycogen Content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폐사 및 글리코겐 함량에 미치는 부유토사의 영향)

  • Lee, Kyoung-S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4 no.3
    • /
    • pp.183-187
    • /
    • 2008
  • Elevated concentrations of suspended solids in the marine enrironment caused by coastal developments have threatened to the marine ecosystem. Effects of suspended solids on the mortality and the modifications of glycogen levels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ere studied. Abalone were exposed to suspended solids with concentrations of 0 (control), 1,000, 1,500 and 2,000 mg/ L for 96h. These suspended solids had no effect on the mortality of abalone.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glycogen content of soft tissues were observed over 1,500 mg/ L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balone could tolerate a high level of suspended solids. However, it is necessary to observe further the long term effects of suspended solid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abalone.

  • PDF

Estimating the Amounts of Long-term Cohesive Sediment Deposition in Two Tide-dominated Bays of South Korea: Numerical Study (조석으로 인한 만 내 점착성 부유사 퇴적량 추정 : 수치해석)

  • Kang, Min G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1B
    • /
    • pp.33-40
    • /
    • 2010
  • In this study, a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sediment transport modeling system, HSCTM-2D is employed to simulate the amounts of long-term cohesive sediment deposition in two study bays, and its applicability is evaluated. The modeling system's two modules for hydrodynamic modeling and sediment transport modeling are calibrated, comparing the simulated results and the observed tidal levels, tidal current velocities, an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in the Asan and the Cheonsu Bays, South Korea. It is found that there are good agreements between the simulation results and the observed values. The amounts of long-term cohesive sediment deposition of the two study bays are estimated using the modeling system, taking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from the open ocean in the tide-dominated environment into account. And, in the case of the Asan Bay, the annual deposition rate reaches 8.1 cm/yr; the Cheonsu Bay, 14.5 cm/yr. Overall,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ling system is useful to understand the physical process of cohesiv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 in tidal water bodies and to establish the mitigation strategy.

MCC 입자의 표면화학적 특성에 따른 부유부상 효과

  • 이학래;이진희;허용성;한신호;조중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1-41
    • /
    • 2000
  • 부유부상 공정은 현재 신문고지와 사무용 고지의 탈묵을 통한 신문용지 및 화장지 제조 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지재활용을 위한 핵심공정이다. 하지만 이들 공정은 갈수록 열악 해지는 국내 고지원료의 품질변화에 따라서 잉크 및 토너의 분리효율이 저하되고 있어 생산 되는 탈묵 펄프의 품질저하, 리젝트 발생량의 증대, 폐수 처리공정의 부하 증가 등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의 수립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현재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잉크 및 인쇄방식으로 인쇄된 많은 종류의 재활용지가 원료 로 투입되고 있는 경우 탈묵공정의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부유부상 공정에 대한 좀 더 체계 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먼저 고지 재활용 공정 의 핵심 단위공정인 부유부상 공정에 관련된 복잡한 문제점을 단순화하여 고상 및 액상의 표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부유부상 공정의 효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부상 공정을 기초과학적 측면에서 구명하기 위해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를 모델 물질로 사용하였고, 친수성 의 표면 특 성을 나타내는 MCC의 표면 특성을 바꾸기 위하여 AKD(alkyl ketene dimer)로 처리비율을 달리하여 사이징 처리하였다. 부유부상 실험에 사용된 MCC는 친수성을 띠는 것과 소수성 을 부여한 것을 구별하고 그 비율을 백색도를 통해 측정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친수성을 가지는 MCC는 세척 견뢰도가 높은 검은색 염료로 염색하였다. 준비된 친수성과 소수성 M MCC의 혼합비율 별로 패드를 작성하여 백색도를 측정함으로써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또한 부유부상 시간에 따른 제거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유부상 시간별로 각각의 리젝트율과 수율올 측정하고, 리젝트 시료로부터 패드를 제조하여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소수성 MCC의 소수화 정도에 따라서 리젝트율이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표 면에 소수성을 띠는 입자는 소수성이 강할수록 부유부상공정에서 제거율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유부상 처리한 MCC로 패드를 제조한 뒤 백색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이를 확인하였다. 한편 리젝트로 함께 제거된 MCC 내에 존재하는 친수성 MCC의 양은 극히 미 세하였다. 또한 부유부상를 실시하는 초기에 상당량의 리젝트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는데, 이 는 전체 부유부상을 통해 제거되는 양의 45-68%였다. 한편 부유부상이 진행됨에 따라서 리젝트 양의 증가폭이 둔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MCC의 소수성이 강할 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계 내로부터 소수성인 물질이 급속하게 제거됨을 알 수 있었으며 필요 이상의 부유부상 처리는 잉크제거 효율을 높일 수는 있으나 소모되는 시간에 비하여 비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사육조건에 따른 기수재첩 유생의 성장과 생존

  • 김완기;이채성;이정용;허성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99-99
    • /
    • 2003
  • 1. 수온과 염분에 따른 부유유생의 성장과 생존율. 유생의 수온별 사육실험 결과, 3$0^{\circ}C$에서는 실험시작 6일 후 모두 폐사하였으며, 18$^{\circ}C$에서는 높은 생존율에 비하여 늦은 성장을 보였다. 24$^{\circ}C$와 27$^{\circ}C$에서 빠른 성장을 보였으나, 27$^{\circ}C$에서는 성장에 비하여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염분에 따른 유생의 사육시험 결과 0$\textperthousand$에서는 실험시작 10일 후 모두 폐사 하였으며, 성장은 6~9$\textperthousand$, 생존율은 3$\textperthousand$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수용밀도에 따른 부유유생의 성장과 생존율. 유생의 수용밀도에 따른 사육실험 결과, 1$m\ell$당 1~5 개체의 저밀도에서는 성장과 생존율이 양호하였으며, 50개체/$m\ell$의 고밀도에서는 성장과 생존율이 낮았으며, 실험시작 12일째에 모두 폐사하였다. 3. 먹이생물 종류 및 공급량에 따른 부유유생의 성장과 생존율. 식물 먹이생물에 따른 유생사육 실험 결과, 혼합 공급구가 가장 빠른 성장을 보였으며, 단일 공급구에서는 I. galbana, P. lutheri, C. calcitrans 순으로 비슷한 성장을 보였으며, Chlorella sp.는 가장 늦은 성장을 보였다. 생존율 또한 혼합구가 가장 높고 I. galbana, P. lutheri, 가 비슷한 반면, Chlorella sp. 실험구가 가장 낮았다. 공급량에 따른 사육 실험에서는 먹이 공급량이 많을수록 유생의 성장은 양호하였으나, 8일 이후 50,000 cell/$m\ell$ 밀도에서 전량 폐사하였다. 실험 종료시인 12일째에는 20,000 cell/$m\ell$ 밀도에서 가장 빠른 성장과, 10,000 cell/$m\ell$ 밀도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5,000 cell/$m\ell$ 밀도에서는 성장과 생존율이 낮았다. 따라서 유생사육을 위한 기수재첩의 먹이생물의 밀도는 10,000~20,000 cell/$m\ell$가 효과적이었다.

  • PDF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 Mixture on the Anther Floating Cultures of Rice (벼의 약 부유배양에서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와 항산화제의 영향)

  • 이승엽;이재길;권태오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7 no.2
    • /
    • pp.83-87
    • /
    • 2000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 in anther floating cultures of rice, anthers were cultured in liquid media supplemented with different growth regulators, and the effect of antioxidant mixture : (Sigma Chemical Co.)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were investigated. N6 medium with 1 mg/L 2,4-D and 1 mg/L kinetin was the best for rice anther floating cultures, which showed 48.5% of callus induction and 6.8% of green plant regeneration. The callus induction was not affected by antioxidant mixture in liquid medium, and antioxidant mixture (250 mg/L) wa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brownish callus and improvement of plant regeneration Antioxidant mixture showed better effectiveness when it was supplemented to both media for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 PDF

ART 에어로졸 재부유실험 데이터를 이용한 재부유모델의 평가

  • 박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790-797
    • /
    • 1997
  • 에어로졸 재부유현상은 중대사고 방사선원항 평가에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으나 거의 모든 사고해석 코드에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시된 몇가지 유형의 에어로졸 재부유모델을 ORNL에서 실시된 에어로졸 재부유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도와 중대사고 해석코드에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모델은 시간의 멱승함수와 지수함수형으로 표시된 모델들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에 의하면 두 유형에 속하는 대부분의 모델이 재부유량뿐만 아니라 재부유율을 계산하는 데서 실험데이터와 상당한 편차를 보여 현재의 형태로 중대사고 해석 코드에 접목하는 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보다 광범위한 실험데이터를 통한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모델식 자체의 간편함으로 접목이 용이할 것이다.

  • PDF

A Proposed Guidance on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Silt Curtains (오탁방지막 설치ㆍ유지관리 지침(안))

  • 진재율;송원오;맹준호;오영민;채장원;안희도;박진순;오재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8a
    • /
    • pp.185-193
    • /
    • 2003
  • 준설, 매립 등의 해상공사가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인은 공사중 발생하는 부유토사이다. 이러한 부유토사는 주변 해역으로 확산되어 여러 방식으로 해양생태계에 피해를 유발할 수 있으며, 발생 가능한 피해의 범위와 정도는 부유토사 발생율과 해저 죄적물 입도분포 및 주변 유속에 따라 결정된다. (중략)

  • PDF

Numerical Study on Energy Absorption of a Floater for Design of Wave Energy Convertor in Ocean (해양 파력 발전 시스템 설계를 위한 부유체 에너지 흡수에 관한 기초연구)

  • Li, Kui Ming;Parthasarathy, Nanjundan;Choi, Yoon-Hwan;Lee, Yeon-Wo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6 no.5
    • /
    • pp.635-644
    • /
    • 2012
  • In order to design a wave energy generating system, a 6-DOF analysis technique is applied to the three-Dimensional CFD analysis on of a floating body and the behavior i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incoming wave. A wave period of 5.5s & amplitude of 0.57m from Marado is chosen. 12 case of natural pitching period from 1.25 to 2.8s has been modeled. The relation between tuning factor & pitch angle for the waves generated is compar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nergy absorption variables, namely mass moment of inertia, angular velocity and angular acceleration. From the results obtained, we conclude that model L is the maximum power absorbed, 6kW approximately. A maximum pitch angle of 1.91 degree was attained by Model F, and the maximum displacement of nearly 0.7m was attained by Model L among models D, F and L.

The Survey on Froth Floatation of Low Grade Copper Ore from the Australia (호주산 저품위 동광의 부유선별에 관한 특성조사)

  • Kim, Joon Soo;Kim, Woo Jin;Hwang, Ha;Kim, Myong Jun;Kim, Wantae
    • Resources Recycling
    • /
    • v.25 no.6
    • /
    • pp.98-10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n optimum condition of the concentrate by floatation using Australian low grade copper ore of suitable particle size by crushing, grinding and sizing. The effect of the dosage of collector, activator, depressant and change of acidity on the floatation was investigated. The floatation conditions comprising of pH 9.0 acidity, 500g/t $CuSO_4{\cdot}5H_2O$ activator, 500g/t K.E.X. collector, 1500g/t $Na_2SO_3$ depressant and 25wt.% plup density were optimized. Grade and recovery of copper in the concentrate obtained by froth floatation under optimum conditions were 4wt.% and 65wt.% respectively.

Assessment of the impact of suspended solids on the survival of marine invertebrates (부유물질이 해산무척추동물 생존에 미치는 영향평가)

  • Jin-Hyeok Park;Sung Jin Y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0 no.3
    • /
    • pp.275-280
    • /
    • 2022
  • Suspended solid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and survival of aquatic organisms. The marine zooplankton species tested in this study were Tigriopus west (Copepoda) and Haustorioides koreanus (Amphipoda) sampled from the intertidal zone, including Artemia nauplii(Branchiopoda) hatched from cysts. The study design included six concentrations (0, 50, 100, 250, 500, and 1,000mg L-1) of the suspended test particles assayed in triplicate. Experimental cultures in 500 mL-round polycarbonate bottles were subsampled after 96 h to count dead zooplankton. The culture bottles were agitated at 4 RPM on a rotating wheel at 23℃ and 30 PSU. The survival rates of Artemia nauplii and T. west were not affected by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s higher than 50.0 mg L-1, whereas the survival rate of H. koreanu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p<0.05). In conclusion, H. koreanus and T. west, which were continuously exposed to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s higher than 50.0 mg L-1, were affected by low-intensity ecological stress. However, in the case of H. koreanus, a concentration of 50.0 mg L-1 may be considered to be the limit of tolerance to suspended solids, suggesting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s who eventually die will increase if continuously ex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