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유사 관측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n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for River in Korea based on Measured Sediment Discharge Databas (실측 유사량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국내 하천의 유사이송 특성 분석)

  • Jang, Eun Kyung;Ji, Un;Yeo, Woon 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
    • /
    • 2017
  • 하천에서 발생하는 유사량은 공급능력이 흐름의 이송능력보다 지배적인 경우 같은 유량이 발생하더라도 유사량이 다르게 관측될 수 있다. 특히 국내 하천과 같이 홍수기가 특정기간에 편중되어 연중 유량발생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경우 이와 같은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발생한다. 즉, 대부분의 연중발생 유사량이 홍수시에 이동하고 홍수발생 초기와 후기의 유사 공급능력의 차이가 나타나는 국내하천의 경우 이를 기존의 유사이송공식으로 정량적인 유사량 값을 추정하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하천에서 실측한 유사량 자료를 종합하고 주요 지점별, 연도별, 계절별, 하천 유역별로 분류한 후 이를 분석하여 국내하천의 유사량 발생 특성을 규명하였다. 실측 유사량 데이터베이스는 국내 하천의 주요지점에서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측정한 자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26개 지점 1,283개의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4대강의 본류 대표지점으로 선정된 여주, 왜관, 공주, 나주지점을 대상으로 유량-총유사량 관계를 비교한 결과, 여주지점의 유량 증가에 따른 총유사량 증가 폭이 다른 대표지점들에 비해 가장 크게 나타나는 반면, 나주지점의 경우 제일 작은 값을 보인다. 또한 본류의 유량-유사량 관계식의 지수 값이 본류와 지류를 모두 포함한 관계식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지류에서는 본류보다 적은 유량이 발생하더라도 유사 이송량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이유는 본류와 지류에서 유사 이송이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유량범위가 상이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추정할 수 있다. 대표지점별 부유사 농도를 분석한 결과, 7월과 8월 부유사 농도에 비해 9월에 발생하는 부유사 농도가 현저히 낮은 값을 보이는데 이는 연중 홍수기 전반기에 유사 공급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 PDF

Numerical Modeling of Cohesive Sediment Transport at Mokpo Coastal Zone (목포해역 점착성 퇴적물의 수송에 관한 수치모의)

  • Jung T.S.;Kim T.S.;Jeong D.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9 no.1
    • /
    • pp.36-44
    • /
    • 2006
  • Cohesive sediment transport in coastal region has been studied by numerical modeling. A finite element numerical model was setup to simulate hydrodynamics and sediment transport in the coastal region with complex topography. Only physical features of observed sediments has been used to determine erosion rates of bottom sediments together with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simulation results using the simply determined equation of erosion rates were compared with time variations of the observed SS concentration and showed good agreements. In conclusion, this method can be used to estimate transport of cohesive sediment conveniently.

  • PDF

Bio-optical propterties in the Yellow Sea (다목적 실용위성관측을 위한 황해의 생물학적.광학적 특성)

  • Sinjae Yoo;Jisoo Par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4 no.3
    • /
    • pp.285-294
    • /
    • 1998
  • A bio-optic survey was made in the Yellow Sea in May, 1998 for OSMI cal/val and application project. Optical measurements were made in nine stations. From these measurements, apparent and inherent optical properties such as $K_d$, R, a, and $b_b$ were estimated. The patterns of reflectance indicated that all three major constituents, namely, chlorophyll-a, suspended sediments, and CDOM were active in determining the optical properties in the Yellow Sea. Their relative contribution was different among the stations. All the stations had high backscattering and their values fell in Case 2 category. Although the total absorption was very high, it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 level of CDOM concentr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suspended sediment might be highly absorptive and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suspended sediments.

Optimized design and verification of Ship-type Floating Lidar Buoy system for Wind resource measurement in the Korean West Sea (서해안 해상풍력단지 풍황관측용 부유식 라이다 운영을 위한 선박형 부표식 최적화 설계 및 검증)

  • Yong-soo Gang;Jong-kyu Kim;Baek-beom Lee;Su-in Yang;Jong-woo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61-164
    • /
    • 2022
  • 부유식 라이다는 해상풍력단지 조성시 필수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풍황관측 업무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전통적으로 풍황관측을 수행하고 있던 해상기상관측탑을 대체하여 사업 초기의 대규모 공사를 획기적으로 축소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 하며, 지역사회의 반발 요소까지 줄일 수 있어 해당 업계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는 중이다. 다만 부표식의 동요에 따른 외란적 요소가 관측자료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안정적인 플랫폼의 설계 및 검증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며, 국내에서는 해당기술에 대한 늦은 진입으로 인해 다수의 외산장비 제조사들이 국내시장까지 선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 서해안은 천해 환경으로 조석차가 매우 커 지역에 따라 강한 조류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계절별로 상이한 강한 에너지의 파랑이 형성되는 등 플랫폼에 안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바다 환경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환경적 특성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해역에 라이다 운영에 적합한 부표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우선적으로 적용하였던 선박형 부표식의 최적화 설계 및 검증 사례를 소개하고, 향후 다양한 플랫폼 개발에 토대가 되는 중요 개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Prediction of Seabed Topography Change Due to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in the West-Southern Sea of Korea (서남해에서 해상풍력구조물의 건설에 의한 해저지형의 변화예측)

  • Jeong, Seung Myung;Kwon, Kyung Hwan;Lee, Jong Sup;Park, Il Heu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1 no.6
    • /
    • pp.423-433
    • /
    • 2019
  • In order to predict the seabed topography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in the west-southern sea of Korea, field observations for tides, tidal currents,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and seabed sediments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ese data could be used for numerical simulation. In numerical experiments, the empirical constants for the suspended sediment flux were determined by the trial and error method. When a concentration distribution factor was 0.1 and a proportional constant was 0.05 in the suspended sediment equilibrium concentration formulae, the calculate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were reasonably similar with the observed ones. Also, it was appropriate for the open boundary conditions of the suspended sediment when the south-east boundary corner was 11.0 times, the south-west was 0.5 times, the westnorth 1.0 times, the north-west was 1.0 times and the north-east was 1.0 times, respectively, using the time series of the observe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In this case, the depth change was smooth and not intermittent around the open boundaries. From these calibrations, the annual water depth change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the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was shown under 1 cm. The reason was that the used numerical model for the large scale grid could not reproduce a local scour phenomenon and they showed almost no significant velocity change over ± 2 cm/s because the jacket structures with small size diameter, about 1 m, were a water-permeable. Therefore, it was natural that there was a slight change on seabed topography in the study area.

A study of sedimentation processes in seamangum coastal area (새만금지구의 퇴적과정에 관한 연구)

  • 신문섭;유철웅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6.05a
    • /
    • pp.689-69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edimentation patterns variation in Seamangum coastal sea region. Water circulations are calculated diagnostically from the observe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and wind data and tidal residual current. There dimensional movements of injected particles due to currents, tubulence and sinking velocity are tracked by the Euler-lagrange method. Calculated sedimentation patters of riverine material are highly similat to the observed ones.

  • PDF

Algorithms for the Accuracy Improvement of the ADCP Discharge Based on the Correction of Velocity and Bathymetry Measurement (ADCP 유속 및 수심자료 보정을 통한 유량 관측 정확도 향상 알고리즘 개발)

  • 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89-689
    • /
    • 2012
  • ADCP는 하천 단면에서 매우 짧은 시간에 유속과 수심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재래식의 부자나 프라이스 유속계를 활용한 방식에 비해 유량 관측 정확도가 매우 높고 유체의 흐름장 분석 등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최근 국내외에서 매우 활발하게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고정식 수위계나 유속계를 활용한 실시간 유량관측 시 요구되는 유량-수위관계곡선식 검보정에도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ADCP는 난류나 하천 부유물, 낮은 수심 등으로 음향신호의 교란으로 인해 발생하는 관측 오차로 인해 유속이나 수심을 과다 혹은 과소 산정하여 유량 관측 정확도를 현저히 낮추는 경우가 종종 있어 왔다. 그리고 미세한 셀 단위의 유속 및 수심관측 자료와 측정되지 않은 수면, 바닥, 하안 부근의 영역을 고려한 ADCP 유량 관측 알고리즘의 복잡성으로 인해 일부 관측오차의 수정을 통한 유량 보정이 매우 까다로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ADCP 제작사 별 유량 산정 알고리즘을 파악하여 유속 및 수심 자료의 보정을 통해 유량을 재계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계발하였다. 또한 ADCP의 에러속도를 기준으로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과다 혹은 과소 산정된 유속을 필터링하고 수심을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원 관측값의 정확도를 높였고 보정된 관측값을 유량 산정에 반영시켜 유량 관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알고리즘은 국내외에 다양한 현장조건에서 관측된 ADCP 자료를 바탕으로 적용되어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The Validation of chlorophyll-a band ratio algorithm of coastal area using SeaWiFS wavelength (SeaWiFS 밴드역에 의한 연안해역의 엽록소 밴드비율 알고리듬 검증)

  • 정종철;유신재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6 no.1
    • /
    • pp.37-45
    • /
    • 2000
  • Since being launched for ocean observing in 1997, the SeaWiFS sensor has supplied data on ocean chlorophyll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atmosphere. Until now, a lot of SeaWiFS data have been archived and utilized for ocean monitoring and land observation. The SeaWiFS sensor has 1km spatial resolu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btain data at the coastal zone. Since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s at the coastal area have not been confirmed for chlorophyll algorithm, the ocean color data analysis for coastal zone is not common. In particular, domestic coastal areas have high suspended sediments concentrations and higher absorption influence of 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 (CDOM), released from in-land, than open-sea. Thus, a useful algorithm for analysis of chlorophyll distribution in domestic coastal areas has not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empirical algorithms, using data from the ocean color sensor, were developed for monitoring of chlorophyll distribution of coastal area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algorithms, we can find that the red band (665nm) should be used for analyzing of domestic coastal areas near the Yellow Sea.

2021 Sediment discharge survey and analysis of characteristics (2021년 유사량 조사 및 특성분석)

  • Lee, Dae Wung;Lee, Jung Hun;Choi, Hong Yun;Lee, Chung Dea;Lee, Sin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27-427
    • /
    • 2022
  • 하천에서 유사량 자료는 하천의 이·치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자료중 하나로서 하상 변동 예측, 저수지 퇴사량 추정, 하도 계획과 설계, 유사조절 계획 수립 및 기타 구조물 등의 영향 평가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높은 유사량 자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국가유사량관측망 중 27개 지점에 대하여 유사량의 측정 및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사량 측정과정은 사전조사, 현장측정, 실험실분석, 모형적용(총유사량 산정)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사전조사 단계에서는 현장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현장측정 계획 및 현장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현장측정 단계에서는 사전조사 단계에서 수립한 계획을 바탕으로 유사량을 측정하였다. 유사량 측정시 측선은 ISO 기준 이상의 5~7개로 측선을 나누어 측정하였고, 측정장비는 D-74, DH-48 부유사 채취기를 이용하여 왕복수심적분법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실분석은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유사량 실험실에서 채취시료에 대한 농도, 레이저회절법을 이용한 입도분석, 하상토분석(체분석), 비중실험을 수행하였다. 총유사량 산정을 위한 모형적용 단계에서는 수정-아인슈타인법(Modified Einstein Method)을 적용하였다. 또한, 유량-부유사량 농도 변화양상과 부유사량 특성 분석을 이용한 부유사량 측정결과를 평가하였고 각 지점의 부유사량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지수식(Qss = aQb)을 이용하여 유량-부유사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Total Load by the Unit Stream Power (Unit Stream Power에 의한 총유사량해석(總流砂量解析)에 관한 연구(研究))

  • Lee, Won Hwan;Chun, Min Woo;Park, Sang Deo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 no.1
    • /
    • pp.79-92
    • /
    • 1984
  • The analysis of total load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theory of unit stseam power (USP). The dimensionless USP equation of $S_R$ which was the rate of suspended load and bed load was derived from the USP function by applying the Einstein's reference concentration and Stokes' fall velocity. And the R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discharge and Reynolds number (Re) was discussed, and it was shown that USP was closely related with Re. The value of $S_R$ was determined from the experimental data of Han River downstream and Mantz. And it was tested to several observatories of Korean Rivers. A good correlation among USP, suspended load and $S_R$ was shown and USP was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the turbulent intensity.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is study can be contributed to estimate the total loa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