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유농도

Search Result 78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Keum River Watershed (금강 수계의 수질 특성)

  • An, Kwang-Guk;Yang, Woo-M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1
    • /
    • pp.110-120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mporal trends of water chemistry and spatial heterogeneity for 13 sampling sites of the Keum River watershed using water quality dataset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during $2001{\sim}2005$. The water quality, based on eight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varied largely depending on the years, seasons, and sampling sites. Seasonal and annual means of conductivity, used as a key indicator for a ionic dilution declined during the monsoon season, and nutrients (TN and TP), based on overall mean of all sites, showed marked declines during the monsoon, compared to those of the premonsoon. In the mean time, BOD and COD had no significant relations with a precipitation, in spite of some differences in the sampling sites. In contrast, major input of SS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summer monsoon. and the variation of TN was similar to that of TP. Spatial trend analyses of all parameters, except for DO and temperature, showed that Site 9 acted as a point source, and thus, water quality at the locations of $S9{\sim}S13$ declined abruptedly over 2 fold, compared to locations of $S1{\sim}S8$. Based on the overall dataset,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point source tributary streams is required for better water quality of the main Keum River.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iver Sediments in Watershed Environment of Nakdong River (낙동강 수계의 유역환경 변화에 따른 퇴적환경 특성)

  • Lee, Kwonchul;Kim, Shin;Yang, Deukseok;Park, Soojung;Jeong, Hyungi;Lee, Kyuyeo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2 no.4
    • /
    • pp.316-323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s in Nakdong River sediments. For this purpose, sediments at six sites upstream of Gangjeong-Goryung Weir in the middle of the Nakdong River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Particles size, IL, TOC, TN, TP, and SRP were analyzed for the sediment environment. The changes in the watershed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precipitation, discharge, and SS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After the rainy season, the amount of precipitation and discharge increased more than three times,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S in the stream increased more than two times. Fine grained sediment and the concentrations of IL, TOC, TN, TP, SRP were increased after the rainy season. As a result of sediment contamination assessment, IL was 19~68% of the reference value, TN and TP were 21~76% and 21~58% of the reference value. The result showed strong correlation between particle size (Silt+Clay) and organic contents of sediment (IL, TOC, TN, TP and SRP).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 of the river watershed environment (precipitation, discharge)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change of sedimentation environment.

Impact assesment of zooplankton by turbine of tidal power plant in Uldolmok waterway, Korea (울돌목 해역에서 조류발전 시설 터빈 가동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피해 영향)

  • Yoo Jeong-kyu;Nam Eun-jung;Myung Chul-s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507-511
    • /
    • 2005
  • 울돌목은 조류발전의 세계적인 최적지로 꼽히고 있으며 서해와 남해의 점이 지대로서 조류에 의해 해양 생물 군집의 대량 이동이 빈번한 곳이라 할 수 있다. 조류 발전 시설인 터빈의 가동은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해양 생물의 생태-생리 반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네트를 이용한 1차 조사에서 터빈 가동에 의한 동물플랑크톤의 순 사망률은 $44.3\%$로 나타났다. 1차 조사 이 후 다이아프램 펌프를 이용한 조사 결과 중 출현 개체수가 높았던 조사에서 전체 동물플랑크톤의 순 사망률은 각각 $7.3\%,\;5.8\%$를 나타내었고, 요각류는 각각 $4.4\%,\;5.2\%$를 나타냈다. 물리적인 충격을 인위적으로 가한 실험에서 스트레스를 받은 요각류 Acartia hongi의 알 생산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것보다 $1.8\~2.3$배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조사에서 동물플랑크톤이 낮은 사망률을 보골 이유는 작은 크기의 생물이 우점하였기 때문이며 조사 결과에서 몸체가 비교적 단단하고 크기가 작은 요각류는 상대적으로 약한 부유유생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울돌목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크기가 작아 터빈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사망률은 낮을 수 있으나 순간적으로 강한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재생산을 포함한 생리활동이 저하될 수 있음을 보였다. 네트 및 펌프를 이용한 조사 결과에서 네트에 의한 채집은 터빈의 영향뿐만 아니라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네트가 받는 압력에 의해 생물체가 손상되는 양상이 높아 사망률이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이아프램 펌프는 생물 채집 시 오류를 최소화하는 장점은 있으나 채집의 장시간에 비해 매우 적은 생물량이 채집되는 단점을 보였다TEX>$96.5\%$에 미달하는 문제는 식물성 원료유로 제조한 고순도 바이오디젤과 혼합 사용하거나 감압 증류 공정을 통해 고농도의 폐식용유 바이오디젤을 제조하여 해결 가능하다. 대전시 신성동 소재의 음식점에서 수거한 폐식용유를 원료로 하여 생산한 바이오디젤의 차량 배출가스 실증 테스트 결과 경유 차량의 주 오염물질인 PM과 Soot 및 기타 오염물질의 배출량은 감소하였으나 NOx의 배출량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구와 이해를 바탕으로 보존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되었다. 이런 모든 시편들을 각 탈염방법에 따라 탈염처리한 후 XRD와 SEM-EDS으로 분석한 결과 인철광과 침철광은 어떠한 변화도 보이지 않았고, 다만 적금광으로 동정된 시편만이 잔존하지 않았다. 철기 제작별 $Cl^-$ 이온 추출량과 탈염효과에 대한 비교 실험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단조 철제유물이 주조 철제보다 $Cl^-$ 이온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탈염 처리 후에는 $Cl^-$ 이온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K_2CO_3$와 Sodium 용액은 탈염처리에서 가장 적합한 탈염처리 용액으로 알수가 있었으며 특히 어떠한 탈염 용액으로 유물을 처리한다 해도 철제유물에 생성된 부식물은 제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보존처리자는 유물 표면의 부식 상태만을 보고 처리하기 보다는 철기제작물로 고려하여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금속에 부식을 야기시키는 $Cl^-$ 이온과 부식물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탈염처리를 하는 것이 유물 부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TEX>$88\%$)였다.(P=0.063). 결론: 본

  • PDF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Han River Estuary and Around the Kyunggi Bay Posterior to the Han river's developments (한강종합개발 이후 한강하구 및 경기만의 퇴적환경)

  • 장현도;오재경
    • 한국해양학회지
    • /
    • v.26 no.1
    • /
    • pp.13-23
    • /
    • 1991
  •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Han River estuary and around the Kyunggi Bay posterior to the Han river's developments, a hydr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surve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hydr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conditions, the studied area can be divided into 3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Fluvial, Estuarine and coastal-Bay. Posterior to the Han river's developments, however, the alterations of hydrodynamic condition in the Han river have caused a substantial change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lower Han river and its estuary. That is, the contents of total suspended sediment anterior to the Developments decreased from 37mg/l (in the lower Han River) and 500-1750 mg/l (at the Kanghwa Bridge) to 18 mg/l and 208-1142 mg/l posterior to the developments. these changes seem to have caused the siltation near the sin-gok Underwater Dam. Thus the characters of the boundary condition between the fluvial and the estuarine environments have rapidly change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changes result mainly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two underwater dams for the maintenance of the water level of the Han river. As the estuary is a transition zone between land and sea, these changes in the Han River estuary might affect the sedimentary environments around the Kyunggi Ba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it is necessary that a detailed survey be carried out around the Han River estuary including the Imjin and Yesong River estuaries.

  • PDF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River Naturalness and Water Quality for Biological Habitat Evaluation (하천 생물 서식처 평가를 위한 하천 자연도와 수질의 상관성 분석)

  • Park, Bong-Jin;Sung, Young-Du;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386-390
    • /
    • 2006
  •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river naturalness and water quality were executed in the major rivers of the Nakdong River Basin. As a result, the assessment index of the General Evaluation was 1.428 to 4.107 as $1^{st}\;to\;4^{th}$ grades. The River Shape was 2.111 to 4.048 as $2^{nd}\;to\;4^{th}$ grades and the River Environment was 1.774 to 3.238 as $1^{st}\;to\;4^{th}$ grades. As wel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showed that concentration of hydrogen ion was 7.102 to $8.49mg/{\ell}$, BOD was 0.748 to $5.271mg/{\ell}$, DO was 3.668 to $19.960mg/{\ell}$ and SS was $5.077mg/{\ell}$. The correlation between river naturalness and water quality was analyzed to investigate similarity and independence of river naturalness evaluation index. It was shown that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low with value of -0.1503 to -0.5886, therefore, was evaluated as independent.

  • PDF

A Study on Sewage Characteristics in Hanam City (하남시 오수발생특성에 대한 연구)

  • Choi, Gye-Woon;Hyun, Ji-Hwan;Lee, H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317-1322
    • /
    • 2005
  • 하수관거 설계시나 단지개발사업, 그리고 하수관거정비사업과 같이 오수처리시설의 적정 규모 결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상수사용량 및 오수발생량 원단위가 요구되지만 국내의 경우 이러한 원단위에 대한 기초자료 부족과 자료의 신빙성 결여로 인해 적정 원단위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단지개발이 이루어지는 도시에서는 도시의 규모, 입지조건, 기후조건, 생활양식 등 다양한 요인들이 고려된 오수발생패턴 및 발생량 조사가 필요하며, 조사된 원단위는 오수처리시설의 적정 규모 결정뿐 아니라 침입수/유입수 분석 및 하수관거정비에 대한 성과예측에도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단지개발 및 하수관거정비사업이 진행중인 하남시의 표본이 될 수 있는 대표구역을 선정하고 그 지역에서 조사지역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각 지역별 오수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인 하남시는 총면적의 $97\%$가 자연녹지 및 생산녹지이며, 나머지 $3\%$는 일반주거지역 및 일반 상업지역으로 나뉜다. 그리고 도시계획상 공장지역으로 편성된 부분이 없어 앞으로도 하남시 대부분의 면적이 녹지와 주거/상업지역으로 구성될 것이다. 이러한 하남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조사지역은 공장지역을 제외한 일반주거지역, 밀집주거지역, 영업지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렇게 분류된 지역은 각각 오수발생패턴 및 오수농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오수발생특성을 분석하였고, 조사지역별 인구수 조사와 연계하여 원단위 자료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자료들을 통해 침입수/유입수 분석에 요구되는 오수전환율, 야간생활하수량 비율을 산정하였으며, 차후 단지개발 및 관거정비 후에 발생하는 오수 발생특성과 비교분석을 통하여 하남시 지역의 오수발생특성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MA2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에서의 물의 흐름을 해석한 결과 옥순대교$\~$청풍대교 구간 사이에 댐 및 지형적 영향으로 인해 잘 발달된 와류가 하도 전체를 통하여 발생되고 있었고 이는 댐 부유물 정체현상이 나타나는 지점과 잘 일치하고 있었다.정함 후 감마분석에 의하여 구하였다. CF:CS 연령모델을 적용한 결과 깊이에 따른 supported $^{210}Pb$와 퇴적 속도는 0.91cm/year 인 것으로 산정 되었다.RS is a more advanced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than other systems which support only concepts or image features.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

  • PDF

Development of Turbidity Management System for Nakdong River using Water Quality Model (수질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탁도관리시스템 구축)

  • Kim Young Do;Noh Joonwoo;Ko Ick Hwan;Kim Woo 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378-1382
    • /
    • 2005
  • 여름철 집중강우시 유입되는 고탁수층은 저수지의 밀도성층으로 인하여 표수층 하부에 위치하며, 이를 적기에 배제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확산현상과 연직방향의 전도현상으로 인해 저수지 전역에 분포하게 되어, 탁수현상의 장기화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탁수장기화에 대한 저수지내 대책의 하나로서 홍수유입후 탁도가 높은 물을 단기간동안 방류하고, 갈수기에는 탁도가 낮은 물을 방류하는 선택취수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임하댐의 경우, 2004년 태풍 '디앤무'와 태풍 '메기'로 인해 발생한 탁수를 선택취수를 통하여 조기에 배제함으로써 호내탁도를 저감시킨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탁수 우선배제 기법은 반드시 하류하천의 영향범위를 사전에 분석검토하고, 하류하천의 수질현황을 고려한 합리적인 운영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2004년 태풍 '디앤무' 발생직후의 댐방수로에서 170 NTU의 고탁수를 방류한 경우, 유하거리 250 km인 지점까지 30 NTU이상 유지된 바 있으며, 태풍 '메기'에 의한 고탁수 유입시, 임하댐 방류수 157 NTU, 안동댐 방류수 37 NTU인 경우에 임하댐 하류 113 km인 구미 선산 취수장까지 63 NTU의 탁도가 유지된 바 있다. 현재 임하댐의 경우, 하류하천으로의 방류수 수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동수질측정시스템이 발전취수탑 전면 1개소, 조정지댐 1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수질측정시스템과 연계하여 수질모형을 통하여 임하댐 하류하천인 낙동강 본류의 탁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환경부의 수질측정망 자료를 통하여 최근 3년간의 부유사농도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으며, 태풍 직후의 낙동강 주요지점별 탁도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임하댐 고탁도방류에 의한 영향범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하천수질모형을 이용하여 탁수예측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이를 이용한 탁도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함께, 2단계에 (주)웹솔루스에서 자체적으로 설치 운영하고 있는 2개소의 하수관거 모니터링 관측시설, 그리고 안양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5개소의 강우관측소와 7개소의 수위관측소를 모두 통합하여 실시간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수위자료는 10분단위의 텍스트정보와 그래프형태로 지원되며, 검색기간 설정을 통해 원하는 기간내의 자료를 선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초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류하천의 탁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택취수탑의 운영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선택취수탑 주위의 성층흐름을 기존의 실험자료와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온도성층구조나 취수구의 위치변화에 따른 방류수 수질특성을 조사하였다.쇄파대(artifical reef)와 같은 완충지대를 갖는 호안을 축조함으로써 월파량을 감소시키는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태풍 내습시 발생 가능한 자연재해에 대한 사전 방지를 목적으로 태풍피해의 원인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여 현재의 방재대책이 항구적인 방재대책으로 전환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L-arabinose, 및 D-galactose; 제3차(第三次)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C)에서 L-rhamnose, D-xylose, L-arabinose 및 D-galactose, 비가수분해물(非加水分解物)(C')에서 D-xylose와 D-galactose를 검출(檢出)하였다. (4) 구성당(構成糖)의 형태(形態)와 구조(構造)를 밝히기 위(爲)해 polysaccharide C에 대한 periodate산화(酸化) 실험(實驗)을 하여 $C_5H_8O_4$당(當) periodate의 소비(消費)와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을 측정(測定)하였는데 periodate의 소비량(消費量)은 1.23 mole,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

  • PDF

Changes of Epiphytic Algal Communities on Reed at the Shiwha Constructed Wetland in the Early Years of the Completion (시화인공습지 완공 초기에 갈대 부착조류 군집의 변화)

  • Kim, Han-Soon;Kim, Yong-Jae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9 no.3 s.117
    • /
    • pp.402-412
    • /
    • 2006
  • The Shihwa constructed wetland was established to treat the severely polluted water from Banwoul, Donghwa and Samhwa streams. This study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dynamics of epiphytic algal communities on reed (Phragmites communis) planting area at 5 stations from October 2001 to June 2002. The concentration of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of inlet stations from the streams were decreased after flowing through the wetland. However, the TN : TP ratios at all stations were slightly over 16 indicating that the total phosphorus may play some role as a limitation factor. Epiphytic algae on the reed were total 329 taxa which were composed of 295 species, 13 varieties, 3 forma and 18 unidentified species. The species numbers were recorded in the order of Chlorophyceae-Bacillariophyceae-Cyanophyceae-Euglenophyceae-Chrysophyceae. The relative percentage showed a seasonal variation from Cyanophyceae to Bacillariophyceae and to Chlorophyceae. The biomass of epiphytic algae measured by chlorophyll-a concentration ranged from 0.6 to $36.4\;{\mu}g\;cm^{-2}$. Dominant species were 16 taxa which were Lyngbya angusta of Cyanophyceae in the early investigation, and were changed to Stigeoclonium lubricum of Chlorophyceae, and Nitzschia palea of Bacillariophyceae etc. in the late. Species number,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s of epiphytic algae showed higher values at the inlet stations than the stations after flowing through the wetland.

Report on the sediment types, environmental parameters, density and biometry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yeonggi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경기만 바지락양식장의 저질조성 서식밀도 및 바지락성장의 특성에 관한 보고)

  • Park, Kwang-Jae;Choi, Yong-Suk;Heo, Seung;Kang, Hee-Woong;Han, Hyun-Seob;O, Hae-Chong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26 no.4
    • /
    • pp.267-273
    • /
    • 2010
  • From January to December 2007, we have investigated sediment types, environmental factors and density of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habited at Oeri, Naeri, Jonghyeon and Bangmiri tidal flats in Gyeonggi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Sediment types of Oeri and Jonghyeon were characterized with well sorted muddy sand. In contrast, Bangmiri tidal flat was mainly composed of poorly sorted gravelly muddy silt and Naeri was characterized with very poorly sorted muddy-sandy gravel. During the course of study, the surface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and pH ranged 3.2 to $27.0^{\circ}C$, 21.7 to 33.3 ‰, 5.6 to 12.7 mg/l and 7.36 to 8.82, respectively. The suspended solid (SS) ranged from 3.2 to 1,266.0 mg/l and chlorophyll-a level in the water column ranged $0.3-36.1{\mu}g/l$, respectively. The density of clam in the study areas was mainly determined by the harvesting activities rather than the types of substrate. Relatively higher density of clam was observed in Oeri and Bangmiri where the clam seeds were sowed by the villagers. Condition factor of clams were found to be higher in Oeri where the substrate sorting was better with higher level of chlorophyll a. It was believed that sediment types and the level of available food the two governing factors controlling the density and growth of clam in Gyeonggi Bay.

A Study on Settling Properties of Fine-Cohesive Sediments in Keum Estuary (금강 하구역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강특성에 관한 연구)

  • Ryu Hong-Ryul;Chun Min-Chul;Hwang Kyu-N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8 no.3
    • /
    • pp.251-26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settling property for fine-cohesive sediments in Keum Estuary and to evaluate the spatial variation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local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settling properties in Keum Estuary with that of the settling properties in the other sites. After the spatial vari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grain size distribution, the percentage of organic contents, mineralogical composition etc is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s and analyses, interrelation betwee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ttling velocities and effect tha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have on the quantitative variation of settling velocities were also analyzed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ults of settling tests shows that settling velocities of Keum Estuary mud vary in the range of two orders of magnitude (from 0.01 to 1mm/sec) over the corresponding concentration range of 0.1 to 80 g/L, and a feature of settling velocity profile is quite different in quantity as compared to those of previous studies with mud of other regions: Saemankuem, Tampa Bay, Sevem Estuary and lake Okeechobee. However, their local and seasonal variabilities within Keum Estuary appear to be in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