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Han River Estuary and Around the Kyunggi Bay Posterior to the Han river's developments

한강종합개발 이후 한강하구 및 경기만의 퇴적환경

  • Published : 1991.03.01

Abstract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Han River estuary and around the Kyunggi Bay posterior to the Han river's developments, a hydr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surve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hydr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conditions, the studied area can be divided into 3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Fluvial, Estuarine and coastal-Bay. Posterior to the Han river's developments, however, the alterations of hydrodynamic condition in the Han river have caused a substantial change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lower Han river and its estuary. That is, the contents of total suspended sediment anterior to the Developments decreased from 37mg/l (in the lower Han River) and 500-1750 mg/l (at the Kanghwa Bridge) to 18 mg/l and 208-1142 mg/l posterior to the developments. these changes seem to have caused the siltation near the sin-gok Underwater Dam. Thus the characters of the boundary condition between the fluvial and the estuarine environments have rapidly change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changes result mainly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two underwater dams for the maintenance of the water level of the Han river. As the estuary is a transition zone between land and sea, these changes in the Han River estuary might affect the sedimentary environments around the Kyunggi Ba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it is necessary that a detailed survey be carried out around the Han River estuary including the Imjin and Yesong River estuaries.

한공종합개발 휘 한강하구 및경기만에서의 퇴적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리물리 적 및 퇴적학적 관점의 수사를 실시하였다. 수리적 특정과 퇴적학적 특성을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지역은 크게 \circled1 행주대교 상류역의 하천, \circled2한강과 경기만을 연결하는 하 구, \circled3 경기만 일대의 연안-만 퇴적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한강종합개발 이 후 한강 전역에서 통수단면적이 증가되고 유속이 감소되는 등 전반적인 수리물리적 특 성이 변화됨으로써 한강하류 및 하구역(강화대료)에서의 부유물질 농도가 각각 37mg/l, 500-1750 mg/l에서 개발이후 17 mg/l 208-1142 mg/l 로 큰 폭으로 감소된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류 수중보 부근에서는 siltation이 유발되고 있으며, 하천환경 과 하구환경의 경제가 점이 적이지 못하고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등 퇴적환경에도 상 당한 변화가 초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종합개발에 수반되는 한강의 수위저 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잠실대교와 신곡에 수중보를 설치함으로써 비롯된 것으로 사료 된다. 하구는 하천과 해양을 연결하는 전이지역이므로, 한강과 한구에서의 이러한 변 화는 앞으로 인접한 퇴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며, 경기만으로 파급 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임진강과 예성강 하구를 포함한 한강 하구 역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