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위별차이

Search Result 95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velopment of quantification software for assessing thyroid nodule in ultrasound images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in benign nodules (갑상선 초음파 의료영상을 이용한 정량분석 소프트웨어 개발과 양성 결절 환자에서의 임상 적용)

  • Ryu, Young Jae;Hur, Young Hoe;Kwon, Seong Young;Chae, Il-Seok;Kim, Min Jung;Kim, Tae-Ho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1.11a
    • /
    • pp.443-445
    • /
    • 2021
  • 갑상선 결절(thyroid nodule)은 검진 인구에서 빈번하게 진단되는 질환이지만 현재까지 진단방법은 경험적이며 정성적 판단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갑상선 결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한 초음파 의료영상을 이용하여 정량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갑상선 양성 결절환자에서의 임상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임상 연구는 총 13명의 갑상선 양성 결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별 갑상선 초음파영상을 이용하여 정상부위와 병변부위에서 정량 지표인 변동계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환자별 정상부위와 병변부위의 변동계수 차이는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정량분석 소프트웨어를 실제 갑상선 양성 결절 환자에서 갑상선 결절을 분석·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Residues of Organochloltine Pesticides in each Tissues of Meats (육류중 장기의 유기염소계 잔류농약)

  • 류병호;하미숙;이종철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1 no.2
    • /
    • pp.163-169
    • /
    • 1986
  • 소, 돼지, 닭 및 염소의 근육, 지방조직 및 내장부위에서 11가지 유기염소계 잔류농약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육류시료 모두에서 검출된 유기염소계의 잔류량은 $\alpha$-BHC, $eta$-BHC, pp'-DDE, Heptachlor epoxide, ${\gamma}$-BHC순으로 검출되었고, Heptachlor, pp'-DDE 및 pp'-DDD는 극미량 내지는 흔적 정도 검출되었고 Drins류는 검출되지 않았다. 2. Total BHC 잔류량의 범위는 소의 경우 0.389ppb~1.111ppb로 평균 0.713ppb였고, 돼지는 0.139ppb~0.150ppb로 평균 0.631ppb였으며 닭은 0.312ppb~0.80ppb로서 평균 0.517ppb였다. 그리고 염소의 경우에는 0.238ppb~1.134ppb로써 평균 0.586ppb의 수준이었다. 3. 육류별 잔류량은 소, 돼지, 염소, 닭의 순서이고 부위별 잔류량은 지방조직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근육, 그외 부위별 잔류량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 PDF

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Combustion of Tree Branch, Bark and Living Leaf in Pinus Densiflora (소나무 부위별 연소에 따른 탄소배출량 분석)

  • Park, Young-Ju;Kim, Min-Jung;Lee, Hae-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85-3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 시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추정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산림연료의 연소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분석하였다. 산림연료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생엽, 가지, 수피 등 부위별로 연소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분석하였다. 중량 50g의 연료 기준, 일산화탄소의 배출량은 1.8~4.0g 정도였으며,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49.3~84.7g 정도를 나타냈다. 부위별로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수피는 생엽과 가지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돼지 전지 부위의 주요 근육별 가공 특성

  • Kim, Yeong-Tae;Kim, Jin-Hyeong;Park, Beom-Yeong;Jo, Su-Hyeon;Hwang, In-Ho;Kim, Dong-Hun;Lee, Jong-M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291-293
    • /
    • 2004
  • 본 연구는 전지 부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제고하고, 새로운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전지 부위에서 8개 근육에 대한 육질특성을 구명하고 등심의 배최장근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전지 부위의 근육별 일반성분과 가공특성을 비교해 보면, 배최장근보다 단백질 함량은 낮고, 지방함량은 대체로 높으며, 근육간에 가공 적성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ison of vitamin K contents in different meats commonly consumed in Korea (국내에서 소비되는 육류의 부위별 비타민 K 함량 분석 및 비교)

  • Kim, Daedong;Lee, Seogyeong;Kang, Yuri;Shin, Jaehong;Park, Jin Ju;Kim, Hyun J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4 no.1
    • /
    • pp.109-113
    • /
    • 2022
  • Vitamin K is a group of fat-soluble vitamins that naturally exist in phylloquinone (vitamin K1) and menaquinone (vitamin K2). In this study, the vitamin K content in different meats commonly consumed in Korea was analyzed using HPLC, and the analytical method was validated. Vitamin K1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meat samples. Vitamin K2 contents in different cuts of beef ranged from 0.00 to 5.87 ㎍/100 g, whereas the corresponding value in different parts of chicken ranged from 16.59 to 46.64 ㎍/100 g. In the case of pork, vitamin K2 contents varied from 4.33 to 22.90 ㎍/100 g.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meat, the highest vitamin K2 content was found in boiled chicken meat and skin (46.64 ㎍/100 g). The analytical method was found to be reliable and had high accuracy. These results provide accurate nutritional information and contribute a food composition database for meat consumption.

Component Comparison in Different Growth Stages and Organs of Saururus chinensis $B_{AILL}$. (삼백초의 생육 시기 및 부위별 성분 함량 비교)

  • Lee, Seong-Tae;Park, Jeong-Min;Lee, Hee-Kyoung;Kim, Man-Bae;Cho, Ju-Sik;Heo, Jong-Soo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8 no.4
    • /
    • pp.312-318
    • /
    • 2000
  •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commercial process and high quality production of Saururus chinensis, useful components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and organs. The contents of quercetin, quercitrin and tannin at different growth stages were decreased before flowering time but slightly increased after flowering. The contents of quercetin, quercitrin and tannin collected on July 26 were 5.72, 5.45g/kg and 1.5%,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quercetin, quercitrin and tannin were the highest in white leaf, leaf and flower, respectively.

  • PDF

Subjective Thermal Comfortness Evaluation from Various Parts of Human Body in Floor-Heated Room (실내 온열환경에 대한 신체부위별 온냉감 평가)

  • 최호선;이구형;박종한;김동규;금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02-106
    • /
    • 1997
  • 본 연구는 실내 온열환경에 대한 인간의 온냉감을 정밀하게 평가하기 위해 바닥난방이 실시되고 있는 겨울철 아파트의 거실에 대하여 공간내의 온도분포를 조사하는 동시에 신체부위별로 온냉감을 조사하였다. 실내의 온도분포 측정은 서울과 부산의 두 장소에서 실시하였으며, 온냉감에 대한 평가는 서울에서 남자 31명, 여자 71명, 부산에서 남자 11명, 여자 23명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결과는 중앙집중식 난방이 실시되고 있는 거실의 바닥으로부터 10cm높이와 170cm 높이에서의 온도차이는 서울의 아파트가 3.2 $^{\circ}C$, 부산의 아파트가 2.$0^{\circ}C$로 나타났다. 겨울철 실내의 온냉감 조사는 하루 3 회 실시되었으며, 신체의 3개부위에 대한 온냉감과 전체적인 온냉감이 7점 척도로 평가되었다. 결과는 발과 얼굴, 무릎과 얼굴, 발과 전신사이에 온냉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과 무릎 부위가 얼굴에 비하여 추운느낌을 강하게 가지며, 전체적인 온냉감은 얼굴부위에서의 평가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난방이 단순한 온도조절의 범위를 넘어 인체의 온열쾌적감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신체의 부위별로 느끼는 온냉감을 정밀하게 평가하여 난방의 방법을 조정하여야 하는데, 이 연구의 결과는 난방의 방법 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nual Moisture Content Variation of Pinus banksiana and Quercus glauca (방크스소나무와 종가시나무의 연중함수율(年中含水率) 변이(變異))

  • Hong, Byung-Wha;Moon, Chang-Kuc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36 no.1
    • /
    • pp.5-8
    • /
    • 1977
  • Monthly and partial variation of moisture contents of Quercus glauca Thunb. and Pinus banksiana Lamb. are investigated. There are monthly and partial insignificant variations of air dried moisture contents in both woods. But in moisture contents in green, former showed minimum rate at middle part, maximum at upper one, seasonally minimum in spring and maximum in autumn, latter showed minimum at lower part, maximum at upper one, seasonally minimum in winter and maximum in summer.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in and Rump in the Native Horse Meat from Jeju (제주산 재래 마육의 등심부위와 볼기부위의 물리화학적 특성)

  • Kim Young-Boong;Jeon Ki-Hong;Rho Jung-Hae;Kang Suk-Nam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5 no.4
    • /
    • pp.365-372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loin and rump in the native horse meat from Jeju. In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of loin and rump, the result showed $72.2\%\;and\;73.8\%$ in moisture content $20.1\%\;and\;21.2\%$ in crude protein, $2.42\%\;and\;3.08\%$ in crude Int and $0.13\%\;and\;0.14\%$ in crude ash respectively. Glutamic acid was 3,275mg/100g and 3,577mg/100g in loin and rump each and it had highest result in amino acid analysis. K content was 388.0mg/100g which showed highest result in mineral analysis and next contents were P>Na>Mg>Ca. Oleic acid had highest result in fatty acid composition which were $62.64\%\;and\;63.77\%$ in loin and rump respectively. Cholesterol content of loin and rump were 43.25 and 43.57 mg/100g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part. pH of loin and rump were 5.60 and 5.75 which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Loin had Higher result than that of rum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HC and springiness of texture analysis. Redness of rump was higher than that of loin.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lor and odor. Loin had higher result than that of rump in the overall palatability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native horse meat from Jeju could be understood as good meat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