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식 억제제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1초

부식억제제에 의한 상수도관의 부식제어 (Corrosion control of drinking water pipes by corrosion inhibitor)

  • 황병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306-2310
    • /
    • 2010
  • 상수도관의 부식은 수돗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관 표면의 금속과 물 사이의 일련의 복잡한 산화/환원 반응이다. 부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1차적인 고려사항은 철, 납, 동과 같은 독성이 있는 중금속이 물속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는 상수도관에 악영향을 미치며, 세탁물을 훼손하거나 맛을 낼 수 있는 심미적인 문제도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식억제제가 상수도관의 부식도, 수돗물 중의 철 및 동의 용출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부식저감 효과는 인산염계 부식억제제와 큰 관련성이 있었다. 부식반응은 물과 관의 표면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임을 고려하면 철의 용출농도와 부식도는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

Non-amine계 부식방지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부동액의 구리 부식성 평가 (Evaluation of Corrosivity of Antifreeze for Automobiles Containing Non-amine Type Corrosion Inhibitors for Copper)

  • 소순영;전용진;박인하;한상미;장희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619-626
    • /
    • 2020
  • 환경 보호까지 고려한 Non-amine계 부식 방지제를 포함하는 새로운 부동액 개발이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on-amine계 부식 방지제 4종을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자동차용 부동액 5종을 제조하여 무게 변화량, 표면 관찰, 거칠기 측정, 용액 중 구리 용출량 측정을 통해 구리의 부식 속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부동액 5종중에서 Sample 4가 유도결합 플라즈마 광도계로 측정하였을 때 구리의 용출량이 적고 용출 속도가 매우 느렸다. Sample 4는 시험 후 금속 표면이 매끄러운 편이나 표면에 작은 국부 부식이 관찰됨에 따라 표면에 부식 생성물 층을 고르게 형성한 것으로 보여 구리의 부동태화에 따른 부식 억제 효과가 있으므로 가장 양호한 부식방지 성능을 보였다. Sample 4에 첨가된 주요 부식방지제는 1-Aminomethyl(N',N'-di(2-hydroxyethyl) benzotrazole로, 이 부식 억제 성분은 국부부식은 상대적으로 높으나 부동태화가 진행된 Sample 5에도 일정 함량 포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4종의 부식 방지제 중 1-Aminomethyl(N',N'-di(2-hydroxyethyl)benzotrazole이 가장 부식 억제 효과가 높았다. 이는 상기의 부식 방지제가 부동액상에서 구리의 부동태화를 촉진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식억제제에 의한 상수도관의 피막 형성 및 수질개선 효과 (Coating formation of water supply pipes by inhibitor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 임재철;김진근;구자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7-106
    • /
    • 2012
  •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corrosion inhibitor on water supply pipes, turbidity, magnitude of corrosion, composition of scale and concentration of metals from an old steel pipe were analysed under inhibitor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turbidity, iron and copper from the pipes under inhibitor application was 12 ~ 14% of the case which no inhibitor was applied, which suggests the application of inhibitor was very effective for internal corrosion control. In addition, SEM, EDX, XRD and XRF test results showed that application of inhibitor was effective for the decrease of iron concentration and increase of oxygen, phosphorus and calcium concentration, which suggested the existence of protective layer. Therefore, the occurrence of red water will b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inhibitor was applied to the old steel pipes.

부식환경에서의 파괴 및 피로

  • 이동영
    • 기계저널
    • /
    • 제28권4호
    • /
    • pp.313-321
    • /
    • 1988
  • 어떤 구조물이 반복하중을 받으면 피로파괴를 일으킨다. 만일 이 구조물이 부식환경 속에 앗 으면 불활성 분위기나 공기 중에서 보다 빨리 파괴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흔히 부식 피로라고 한다. 부식피로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대략 기계적 변수, 금속학적 변수, 환경 변수로서, 기계적 변수에는 최대응력 확대계수, 응력확대계수범위, 응력비, 반복하중 주파수, 반복하중파형, 응력상태, 잔류응력, 균열의 크기 및 모양 등이 있으며 금속학적 변수로는 합금 조성, 합금원소와 불순물의 분포, 미세조직과 결정구조, 열처리, 소성가공, 집합조직 등이며 환 경변수에는 온도, 환경의 형태(기체, 액체), 부식성분의 분압 또는 농도, 전기화학적 전위, pH, 수용성 환경의 점성, 피복, 부식억제제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부식환경 속에 있는 구조물의 파 손을 이해하기 위하여는 응력부식과 부식피로를 공부하여야 한다. 이 현상은 매우 복잡한 문 제이기 때문에 아직도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상태이고 따라서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여기서는 응력부식과 부식피로의 파괴역학적인 측면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알칼리 용액에서 알루미늄의 부식속도 측정 (Measurement of the Corrosion Rate of Aluminum in Alkaline Solution)

  • 심은기;황영기;전혜수
    • 전기화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17-12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 용액에서 알루미늄의 부식속도를 측정하면서, 합금원소, 알칼리도(KOH농도),용액온도, 그리고 용액에 첨가하는 부식 억제제의 종류와 그 농도 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알루미늄 제품에 따라서는 순도 $99\%$ 이상인 AA-1050의 부식속도가 가장 낮은 반면에 Mg나 Mn이 포함된 합금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KOH 수용액에 ZnO를 포화농도로 첨가하면 부식속도가 $50\%$ 이상 억제되는 효과가 나타났지만. ZnAc는 부식 억제제로서 역할하지 못하였다. 알칼리도와 용액온도가 높을수록 ZnO의 부식 억제효과는 상승하였다 부식속도는 KOH농도에 대해 1차 선형 증가함수 그리고 온도 역수에 대해 지수형 감소함수로 나타났다. SEM과 EDS를 사용하여 부식 표면에 부착된 물질의 성분을 분석하였으며, XRD의 기기분석을 통하여 KOH 용액에서의 알루미늄의 부식 생성물이 $Al(OH)_3$임을 확인하였다.

산성 조건에서 부드러운 강철용 부식억제제로 사용되는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부식억제성질과 흡착성질 (Corrosion Inhibitive and Adsorption Properties of a Flavonoid compound for Mild Steel in Acidic Medium)

  • Ezhilarasi, J. Christy;Nagarajan, Prabavathy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495-501
    • /
    • 2011
  •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인 HMPC (3-hydroxy-7-methoxy-2-phenylchromen-4-one의 부식억제성질, HMPC와 TBAB(n-tetrabutylammonium bromide) 간 상승효과, 염산 조건하 부드러운 강철의 흡착성질을 무게 감량, 변전위 편극,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기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다양한 온도에서 무게 감량 측정 실험한 결과 부식 억제 효율은 억제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계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전기화학 실험 결과 부식 억제는 여러 혼합된 형태의 억제 방법에 의해 가능하였다. 금속 표면에 흡착된 억제 화합물 분자는 보호막을 형성하였다.

수질제어 및 부식억제제에 의한 상수도관의 내부부식 제어 (Internal Corrosion Control of Drinking Water Pipes by pH and Alkalinity Control and Corrosion Inhibitor)

  • 구성은;우달식;이두진;김주환;안효원;문광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5-223
    • /
    • 2006
  • The internal corrosion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is the main cause for the problem of the public health threat as well as water leakage in the damaged pipeline, red water, and odor and taste of the tap water. This study was examined the effect of chemicals used for pH and alkalinity control and corrosion inhibitors for producing the optimal corrosion control method. Corrosion study at different pH and alkalinity indicated that these control using alkaline chemicals was effective in corrosion rate, Fe release reduction, but examined to be increased in turbidity and corrosion-by-products(TTHMs) problems. The turbidity was slightly increased, requiring caution in controlling corrosion with $Ca(OH)_2$. At pH 9.0, TTHMs concentration is increased two times corn pared with non-control of pH. Using the pipe which had experienced 28 years of exposure, iron release was decreased with the corrosion inhibitor. Consequently, pH, Alkalinity control method using alkaline chemicals must be complemented by corrosion inhibitor application for efficient corrosion control.

항균 콘크리트를 적용한 정화조 및 하수처리 콘크리트 구조물의 황산화세균에 의한 생화학적 부식 저감 기술 (Technology for Controlling Biochemical Corrosion by Sulfur-oxidizing Bacteria of Sewage Concrete Construction applied Antimicrobial Concrete)

  • 김도수;길배수;손유신;이승훈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907-910
    • /
    • 2008
  • 최근 콘크리트로 대부분 시공되는 정화조 및 하수구조물은 황산화세균에 의한 생화학적 부식반응에 의해 심각하게 열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생화학적 부식방지를 위해서는 하수환경에 서식하는 황산화세균의 생장을 서식하는 생화학적 부식을 억제하는 항균제를 적용한 항균 콘크리트 적용기술이 필수적으로 개발되고 적용되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균 콘크리트의 항균특성에 의해 하수환경에 노출된 하수구조물의 생화학적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