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식평가

Search Result 1,16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Corrosion Estimates of Steel in Mortar Accelerated under the Environment of Artificial Seawater (인공해수(人工海水)에서 촉진시험(促進試驗)한 모르터 중의 철근부식(鐵筋腐蝕) 평가(評價)에 대한 연구(研究))

  • Moon, Han Young;Kim, Seong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3 no.5
    • /
    • pp.67-75
    • /
    • 1993
  •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estimating steel corrosion and of considering a countermeasure to prevent steel corrosion of concrete structures under the environment of seawater or using seasand. The corrosion of steel was accelerated in artificial seawater with seven kinds of specimen which was embedded steel in mortar. To assume the degree of steel corrosion, soluble chloride content in mortar, $Cl^-$ binding capacity, half cell potential and corrosion area ratio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 that corrosion area ratio was correlative with half cell potential and soluble chloride content in mortar.

  • PDF

Life Prediction and Fatigue Strength Evaluation for Surface Corrosion Materials (인공부식재의 피로강도평가와 통계학적 수명예측에 관한 연구)

  • 권재도;진영준;장순식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6 no.8
    • /
    • pp.1503-1512
    • /
    • 1992
  • The strength evaluation and life prediction on the corrosion part of struc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as a viewpoint of reducing economic loss by regular inspection, maintenance, repair and replace. For this purpose, it has been difficult to obtain the available data on growth of pit depth or growth rate of each pit which depends on time. In this paper, the life prediction and strength evaluation method was suggested for the structure with irregular stress concentration part by surface corrosion.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pattern of corrosion depth and the degree of fatigue strength decline were confirmed according to corrosion period by artificial corrosion of SS41 steel. The life prediction and the fatigue strength evaluation of materials with consideration of the corrosion period on the extreme value statistic analysis by the data of maximum depth of corrosion and on random variable was studied.

Fatigue of SS490A and SS400 Corroded Specimens (SM490A와 SS400 대기부식 시편의 피로 특성 평가)

  • Goo, Byeong-C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5
    • /
    • pp.725-731
    • /
    • 2009
  • For structural design and diagnosis,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corrosive degradation and vari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fatigue strength is needed. But it is difficult to find experimental data associated with corrosive degradation of structural structures in the literature. In this study, first of all I established the atmospheric corrosion test procedure. And using specimens of SM490A and SS400 on the atmospheric corrosion test bed, I carried out tensile and fatigue tests at regular intervals. And we studied the effect of post-weld heat treatment on the tensile and fatigue behaviour. It is found fatigue strength decreases as the atmospheric corrosion period increases.

Corrosion Resistance Behaviour of Al-Mg Alloy Films according to Mg Contents Prepared by PVD Method (PVD법에 의해 제작한 Mg 함량 별 Al-Mg 합금막의 부식 및 방식 거동)

  • Lee, Seung-Hyo;Im, Gyeong-Min;Kim, Hye-Min;Jeong, Jae-In;Yang, Ji-Hun;Lee, M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5a
    • /
    • pp.148-14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해 Mg 함량을 달리하여 제작한 Al-Mg 합금막의 열처리 유 무별 부식 및 방식 거동을 확인하고자 내식성 평가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식성 평가는 염수분무시험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염수분무시험 후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SEM, EDS, XRD 평가 기법을 이용하여 초기 중기 후기 단계로 나누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부식 진행 단계 별로 내식성에 미치는 부식생성물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Mg 함량에 따른 열처리 유 무 별 Al-Mg 합금막의 방식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었다.

  • PDF

Relative Corrosion Environment Conditions of Steel Box Members Examined by Corrosion Current Measurement (부식전류 평가를 통한 강박스 부재의 상대적 부식환경 평가)

  • Jin, Yong-Hee;Ha, Min-Gyun;Jeong, Young-Soo;Ahn, Jin-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4 no.6
    • /
    • pp.171-179
    • /
    • 2020
  • In this study, a local corrosion environment monitoring was conducted using steel box specimen fabricated to be the same as actual steel bridge members. The steel box specimen that obtained the same corrosion environment as a steel bridge was classified into the upper plate, bottom plate and web plate. Atmospheric corrosion monitoring sensors(ACM sensors) were installed in each corrosion monitoring member of a steel box specimen to measure the corrosion current and examine time of wetness for each monitoring member. The time of wetness and accumulated corrosion current of each monitoring member were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corrosion current using ACM sensors. The corrosion environment that appeared for each of the steel box members was evaluated from monitoring corrosion environment data as the corrosion current, time of wetness, mean corrosion depth of each monitoring member. Additionally, the atmospheric corrosion environment monitoring was also conducted to compare with the local corrosion environment of steel box members. From these local corrosion environment monitoring for the steel box specim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corrosion environment and mean corrosion depth of each steel box member was examined.

Evaluation of Corrosion Thickness Loss of Temporary Steel Members Exposed to A Subway Construction Site (지하철 공사현장 환경하의 가시설 강재의 부식두께감소량 추정)

  • Kim, In Tae;Jeon, Sang Hyuck;Hur, Jung Ok;Cheung, Jin 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1 no.3
    • /
    • pp.301-310
    • /
    • 2009
  • Steel has been widely used as a material in temporary structures. Corrosion attack often reduces the long-term durability of temporary steel members that are not protected from corrosion. In designing temporary steel structures,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ir long-term durability, since the thickness loss of steel members is not clear. In this study, laboratory and field exposure corrosion tests were performed on structural steel plate specimens, and the loss of thickness of specimens that were exposed to a subway construction site for 11 months and of specimens that were exposed to environments with controlled humidity and calcium chloride for six months were measured. Finally, a thickness loss equation was formulated based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testing periods.

Development of surface treatment materials for improving durability of metallic bipolar plates in PEMFC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내구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기술 개발)

  • Kim, Myong-Hwan;Goo, Young-Mo;Yoo, Seung-E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41-4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의 전기화학적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 첨가 DLC(Diamond-like-carbon) 표면처리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stainless steel 304를 모재로 하여 텅스텐 첨가 DLC, 티타늄 첨가 DLC, 몰리브덴 첨가 DLC 금속분리판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금속분리판을 이용하여 내구성 평가,전기화학적 부식 특성, 성능평가 및 접촉저항 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전기화학적 부식특성의 경우 각각의 분리판에 대해 6.69, 1.2, 1.0 ${\mu}A/cm^2$로 모재인 STS 304의 25 ${\mu}A/cm^2$의 부식전류밀도에 비해 우수한 부식특성을 보였다. 또한 초기 성능에서 몰리브덴 첨가 DLC 분리판의 경우 300 mA/$cm^2$에서 0.757 V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graphite 분리판 측정 결과인 0.758 V와 유사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내구성 평가에서 초기 성능 대비 성능 감소율이 10% 감소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graphite 분리판의 경우 2,000시간으로 나타났으며, 몰리브덴 첨가 DLC 분리판의 경우 1,700시간으로 측정되었다. 1,500시간 까지의 성능 감소율은 grphite,텅스텐 첨가DLC,티타늄 첨가DLC, 몰리브덴 첨가 DLC 분리판 순으로 각각에 대해 37.7, 60.3, 92.8, 45.7 ${\mu}V$/hr로 나타났다.

  • PDF

입계부식법에 의한 고온플랜트 요소의 크리프 잔여수명 평가

  • 윤기봉;한상인;강태연;박종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71-76
    • /
    • 1998
  • 고온플랜트 설비 고온요소의 재질열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방법 중 입계부식법은 시험절차가 간단하고 실제 플랜트에서의 적용이 용이하여 안전 및 수명진단시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오랜 기간 고온에서 사용된 고온$\cdot$고압플랜트의 실기 요소에 입계부식법을 적용하여 재질의 고온에서의 장시간 노출에 의한 인성저하로 발생되는 잔여 수명을 평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중략)

  • PDF

Performance and Optimum Formulation of Corrosion Inhibiting Admixture (방청 혼화제의 최적 Formulation 및 성능연구)

  • Chun, Yong-J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267-269
    • /
    • 2007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억제 또는 예방하고, 각종 부식 환경으로부터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청혼화제의 최적 formulation과 그에 대한 물성 및 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철근 부식에 대한 방청 메카니즘의 이해와 방청 혼화제의 formulation에 따른 물성시험과 성능평가를 실시하여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다. 성능평가는 콘크리트 공시체의 Slump, 공기량, 압축강도(3일, 7일, 28일) 측정과 함께 염수침지시험 동의 방청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CMP 컨디셔닝 공정에서의 부식방지를 위한 자기조립 단분자막의 적용과 표면특성 평가

  • Jo, Byeong-Jun;Gwon, Tae-Yeong;Venkatesh, R. Prasanna;Kim, Hyeok-Min;Park, Jin-Gu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2-33.2
    • /
    • 2011
  • CMP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공정이란 화학적 반응과 기계적 힘을 동시에 이용하여 표면을 평탄화하는 공정으로, 반도체 산업에서 회로의 고집적화와 다층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CMP 공정이 도입되었으며 반도체 패턴의 미세화와 다층화에 따라 CMP 공정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CMP 공정은 압력, 속도 등의 공정조건과, 화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슬러리, 기계적 힘을 위한 패드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CMP 공정에서, 폴리우레탄 패드는 많은 기공들을 포함한 그루브(groove)를 형성하고 있어 웨이퍼와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며 공정 중 유입된 슬러리가 효과적으로 연마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공정이 진행 될수록 그루브는 손상이 되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패드 컨디셔닝이란 컨디셔너가 CMP 공정 중에 지속적으로 패드 표면을 연마하여 패드의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새로운 표면을 노출시켜 패드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한편, 금속박막의 CMP 공정에 사용되는 슬러리는 금속박막과 산화반응을 하기 위하여 산화제를 포함하는데, 산화제는 금속 컨디셔너 표면을 산화시켜 부식을 야기한다. 컨디셔너의 표면부식은 반도체 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scratch 등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컨디셔너의 수명도 저하시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컨디셔너 표면에 연마 잔여물 흡착을 억제하고, 슬러리와 컨디셔너 표면 간에 일어나는 표면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수성 자기조립 단분자막(SAM: Self-assembled monolayer)을 증착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 SAM은 2가지 전구체(FOTS, Dodecanethiol를 사용하여 Vapor SAM 방법으로 증착하였고, 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단분자막의 증착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표면부식 특성은 Potentiodynamic polarization와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등의 전기화학 분석법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SAM 표면은 정접촉각 측정기(Phoenix 300, SEO)를 사용하여 $90^{\circ}$ 이상의 소수성 접촉각으로써 증착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표면에너지 감소로 인하여 슬러리 내의 연마입자 및 연마잔여물 흡착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Potentiodynamic polarization과 EIS의 결과 분석으로부터 SAM이 증착된 표면의 부식전위와 부식전류밀도가 감소하며, 임피던스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컨디셔너 표면에 SAM을 증착 하였고, CMP 공정 중 발생하는 오염물의 흡착을 감소시킴으로써 CMP 연마 효율을 증가하는 동시에 컨디셔너 금속표면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