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식물

검색결과 1,139건 처리시간 0.033초

인삼포상토(人蔘圃床土)의 화학적(化學的) 성상(性狀)에 관(關)한 연구(硏究)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Nursery Soil in Cultivation of Panax ginseng)

  • 임선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2호
    • /
    • pp.65-70
    • /
    • 1975
  • 약용식물(藥用植物)인 인삼(人蔘)의 재배(栽培)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특수성(特殊性)이 전래(傳來)되어 오고있다. 인삼(人蔘)은 묘기(苗期)로부터 수확기(收穫期)까지 영양(營養)의 요구성(要求性)이 특수(特殊)하여 상토(床土)의 조제(諸製) 및 본포(本圃)에서의 영양공급(營養供給)을 주(主)로 ‘약토’(藥土)에 의존(依存)하고 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인삼재배포(人蔘栽培圃) 토양(土壤)의 특성(特性)과 약토(藥土)의 성상(性狀)에 대(對)하여 화학적(化學的) 측면(側面)에서 검토(檢討)한 것이다. 묘상토(苗床土)는 토성(土性)이 심(甚)히 거칠며 비옥도(肥沃度)가 몹시 낮고 미숙(未熟)한 원야토(原野土)에 약토(藥土)를 혼합(混合)하여 육묘(育苗)하므로 약토(藥土)의 조성(組成)과 성상(性狀)이 인삼묘(人蔘苗)에 대(對)하여 매우 중요(重要)한 성장요인(生長要因)이 되고 있다. 약토(藥土)는 활엽수엽(闊葉樹葉)을 약간(若干) 부숙(腐熟)시켜 주재(主材)로한 혼성유기물질(混成有機物質)로서 그의 조구성상태(粗構成狀態)를 분석검토(分析檢討)하했고 또한 그의 용해성(溶解性)에 따라 분획(分劃)하였다. 각(各) 획분별(劃分別)로 그의 조성(組成)과 성질(性質)을 추구(追究)하고 상호비교(相互比較)하기 위하여 질소(望素)의 형태별(形態別) 분포(分布), 유기관금기(有機官能基)(-COOH, Phenolic-OH, Alcoholic-OH, $-OCH_3$)의 함유량(含有量), 가시부(可視部)와 적외선부위(赤外線部位)에서의 흡광성(吸光性) 측정(測定). 그리고 가수분해성(加水分解性) 당류(糖類)의 구성상태(構成狀態) 등을 조사(調査)하였으며 한편 약토(藥土)의 Alkali추출물(抽出物)의 성상(性狀)을 전토양부식산(田土壤腐植酸)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 PDF

산성암반배수에 의한 절취사면 구조물의 피해 현황과 평가 (Damage Conditions and Assessment for Cut Slope Structures due to Acid Rock Drainage)

  • 이규호;김재곤;박삼규;이진수;전철민;김탁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83-92
    • /
    • 2005
  • 산성암반배수가 발생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사면구조물의 피해현황과 환경오염 실태를 파악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성암반배수가 발생하는 절취사면은 대부분 숏크리트공법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산성암반배수가 사면구조물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숏크리트는 산성암반배수에 의해서 현저하게 열화되어 가고 있으며, 용수발생량이 많은 곳은 배면공동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셋째, 절취사면에서 산성암반배수가 발생되는 곳은 국부적으로 불안정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앵커와 록볼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강산성암반배수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크다. 넷째, 식생공의 경우 산성암반배수가 잔디 씨앗의 발아 및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일부 지역에서는 생석회를 사용하여 산성암반배수를 중화시키고 있으나 근본적인 대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황철석의 풍화로 발생한 산에 의해 배수가 낮은 pH를 유지하면서 중금속들을 용출시켜 지속적으로 배출하여 부근 토양, 지하수와 하천수를 오염시킬 개연성이 매우 크다. 산성암반배수의 발생 가능성을 암석유형별로 평가한 결과 편마암, 화강암의 경우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낮은 군으루 열수변질을 받근 화산암, 응회암, 탄질셰일, 금속광산 폐석시료는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군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토목건설공사과정에서 빈번히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면절취에 의한 암반산성배수에 대비하여 발생개연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지반정보의 확보 및 대책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있다.

산성 염화물 환경에서 F53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2 상간의 공식 거동 연구 (Investigation of the pitting corrosion behavior between the constituent phases in F53 super duplex stainless steel in acidified chloride environments)

  • 김순태;공경호;이인성;박용수;이종훈;김두현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95-101
    • /
    • 2014
  • The pitting corrosion behaviors between the constituent phases in F53 super duplex stainless steel (SDSS) in acidified chloride environments were investigated using a critical pitting corrosion temperature test, a potentiodynamic anodic polarization test, and the microstructure analyses through a SEM-EDS and a SAM. As the solution annealing temperature decreased from $1150^{\circ}C$ to $1050^{\circ}C$, the ${\gamma}$-phase fraction increased whereas the ${\alpha}$-phase fraction decreased. The pitting potential and the critical pitting temperature increased with a decrease of solution annealing temperature,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pitting corrosion. The pitting corrosion of the SDSS was selectively initiated at the ${\alpha}$-phases because the PREN (pitting resistance equivalent number, PREN = %Cr+3.3%Mo+30%N) value of the ${\gamma}$-phase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alpha}$-phase, irrespective of the solution annealing temperature. The pitting corrosion was finally propagated from the ${\alpha}$-phase to the ${\gamma}$-phase. The decrease of solution annealing temperature enhanced the resistance to pitting corrosion greatly in acidified chloride environments due to a decrease of PREN difference between the ${\gamma}$-phase and the ${\alpha}$-phase, that is, a decrease of $PREN{\gamma}$ by dilution of N in ${\gamma}$-phase with an increase in the ${\gamma}$-phase volume fraction and an increase of $PREN{\alpha}$ by enrichment of Cr and Mo in the ${\alpha}$-phase with a decrease in the ${\alpha}$-phase volume fraction.

SiCf/SiC 복합체 보호막 금속피복관의 열충격 거동 분석 (Analysis of Thermal Shock Behavior of Cladding with SiCf/SiC Composite Protective Films)

  • 이동희;김원주;박지연;김대종;이현근;박광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40-44
    • /
    • 2016
  •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고 있는 핵연료 피복관은 핵분열 생성물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고온 고압의 냉각수 분위기에서 우수한 산화저항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LOCA(Loss-Of-Coolant-Accident)와 같은 중대사고에서 핵연료의 피복관과 수증기 사이의 격렬한 반응으로 인해 급격한 고온산화를 동반한 다량의 수소발생으로 수소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핵연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핵연료 피복관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내방사선성이 우수하며 높은 강도와 산화, 부식에 대한 내화학적 안정성 및 우수한 열전도도 의 특성을 갖는 SiC와 같은 구조용 세라믹스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SiC_f/SiC$ 복합체 보호막 금속 피복관은 지르코늄 피복관 튜브에 SiC 섬유를 필라멘트 와인딩 한 후 Polycarbosilane을 polymer로 함침하여 기지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이렇게 제조한 $SiC_f/SiC$ 복합체 금속 피복관을 Drop Tube Furnace를 이용한 열충격에 따른 시편의 산화 및 미세조직을 분석하였다.

PWR 발전소에서의 방사선장 특성 (Radiation Field in PWR Plants)

  • 송명재;김희근;김봉환;장시영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61-70
    • /
    • 1992
  • 국내 원전의 주종인 가압경수로를 대상으로 스펙트로메트리 기법에 의한 감마, 중성자 그리고 베타 방사선장에 대한 특성조사를 수행하였다. 감마선장의 경우, HPGe 반도체 검출기로 구성된 휴대용 감마 스펙트로메타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평균 에너지 값의 분포는 가동정지중일 때 원전의 격납용기내에서 $440{\sim}780keV$, 가동중일 때 원전의 보조건물내에서 $280{\sim}760 keV$로 나타났다. 가동중인 원전의 격납용기내 operation deck를 중심으로 5개 지점에 대하여 BMSS (Bonner Multiple Spectrometry System)을 사용하여 중성자선장을 조사하였다. BUNKI 코드를 사용하여 측정스펙트럼을 분해하였으며, 측정 장소에서의 평균 에너지 값의 분포는 $20{\sim}210 keV$이었다. 베타피폭원인 오염에 대하여 가동정지 상태인 원전의 격납용기내와 보조건물의 총 14개 지점의 고방사성 오염지역에서 smearing 시료를 채취하여 표면장벽형 Si 반도체검출기를 사용하여 에너지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식생성물 $^{60}Co$에 의한 베타 에너지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기누설 비파괴 검사 시스템에서 축방향 미소결함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Axial Cracks in the Magnetic Flux Leakage NDT System)

  • 김희민;박관수;노용우;유휘룡;조성호;김동규;구성자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9-57
    • /
    • 2012
  • MFL PIG는 배관의 단면적이 변화할 때 발생하는 누설 자기장을 검출하고, 검출 된 누설 자속 신호의 분포 및 크기를 이용하여 배관 내 외벽에 결함의 발생 유무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MFL PIG는 금속 손실이나 균열, 부식과 같은 결함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이었으나 배관 내 외부의 압력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가로축 방향의 가늘고 긴 미소결함을 검출하기 위하여 원주 방향으로 자기장 누설을 최대화 할 수 있는 CMFL(Circumferencial MFL) PIG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계 해석 기법 및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CMFL PIG를 설계하고 배관의 결함 유무에 따른 누설 자계 분포를 분석하였다. 또한 CMFL PIG와 함께 결함 검출 성능 검증을 위한 모의시험 배관과 결함 및 고정 구조물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한 실험으로 누설 자계 신호를 측정하여 결함의 형상변화가 검출 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및 검토하였다.

탄산화 복합환경시 염소이온 확산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Carbonation for Chloride Diffusion in Concrete)

  • 오병환;이성규;이명규;정상화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79-189
    • /
    • 2005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저하와 관련되어 외부염소이온의 침투에 따른 철근부식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에 따른 사용수명의 예측을 위해서는 Fick의 확산법칙을 이용한 염소이온 확산해석 방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탄산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이르러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탄산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 외부염소이온 침투에 대한 실험결과와 Fick의 확산방정식에 따른 예측결과를 비교하여 이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 경우 Fick의 확산방정식에 따른 깊이별 염소이온농도 예측결과는 탄산화 영역에서의 염소이온 해리에 따른 염소이온 침투촉진 현상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침지실험으로부터 구한 표면염소이온 농도 및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사용하는 경우 탄산화 영역보다 깊은 영역에서의 염소이온농도는 실험결과와 비교적 일치하였다. 한편, 전기적인 촉진법에 의해 구한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Fick의 확산방정식에 사용하는 경우 단순 건습반복 실험에 따른 깊이별 염소이온농도는 적절히 예측할 수 있지만 탄산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예측된 염소이온농도는 실험결과와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탄산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 외부염소이온 침투정도를 조기에 예측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적절히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LSC가 코팅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금속연결재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LSC coated Metallic Interconnect for Solid Oxide Fuel Cell)

  • 표성수;이승복;임탁형;박석주;송락현;신동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2호
    • /
    • pp.172-17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SOFC 금속연결재로서 Crofer22APU를 적용하고자 표면에 전도성 산화막($La_{0.8}Sr_{0.2}CoO_3$)을 습식코팅 후, SOFC 작동환경에서 산화거동, 전기적 특성변화 및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였다. 코팅 전 샌드블러스트 장치를 이용한 Crofer22APU 표면처리를 통하여 코팅막/금속의 접합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었으며, 320 mesh의 입자크기를 갖는 알루미나 분말을 이용하여 표면처리한 경우 접착특성이 극대화되었다.$La_{0.8}Sr_{0.2}CoO_3$ 코팅된 시편의 전기적 특성 평가는 4-wire 법을 이용하여 SOFC 작동환경에서 약 4,000 시간 장기성능 평가하였으며 $12mW{\cdot}cm^2$의 낮은 면저항값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종료 후 미세구조 분석결과에서도 전도성 산화막($La_{0.8}Sr_{0.2}CoO_3$) 코팅이 금속의 부식으로 인한 산화층의 생성속도를 늦추고 이로 인한 금속의 전기적 특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제주도 북서부 지역 화산암체의 지질공학 특성 (Engine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of the Northwestern Cheju Island, Korea)

  • 김영기;최옥곤
    • 지질공학
    • /
    • 제1권1호
    • /
    • pp.19-37
    • /
    • 1991
  • 제주도 북서부 지역의 지질은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서 홀로세에 형성된 현무암류의 용암체와, 해안변을 따라 분포하는 화산쇄층성 집적층인 성산층, 그리고 기생화산(cindercone)이 30 여개나 분포하고 있다. 이 현무암류(표선리 및 시흥리 현무암 등)들은 주상절리가 심히 발달하고, 다량의 기공을 형성하고 있다. 이 용암들 사이에는 용암공동(lavacave)이 발달하고 있으며, 용암공동에는 화산쇄층물 및 점토층이 협재되어 있다. 내재물들이 지하수에 의해 유거되면, 주상절리가 발달된 이 용암체는 부식, 함역 및 침하를 일으킨다. 특히 이들 용암체의 기공상(크기, 모양, 방향성)은 암체의 공학적 성질(암석의 강도 등)을 좌우하게 된다. 이 기공상은 본 현무암체의 피상강도지배요소가 되어, 이 암체에 대한 유효강도비(Ke, Ke=0.30-0.72)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Ke값이 적을수록 낮은 내부응력을 의미한다. 본역에서는 저위지편보다 고위지편일수록 암체강도가 낮은 성향을 보인다. 또한 피상강도각($\phi$)은 $\phi$=30$^{\circ}$-$10^{\circ}$의 범위로서, 본 화산암체는 대체로 낮은 피상강도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암체의 피상 극한한계치인 0.33을 기준으로 할 때, 거의 대부분이 Ke>0.33이 되어 지질공학적 불안정영역에 속하는 암체라 할 수 있다.

  • PDF

TiO2 졸을 이용한 수중 Humic Acid의 광산화-화학적 산화법에 의한 부식산의 분해처리 기술에 관한 연구(I)- (Photo-oxidation of Aqueous Humic Acid using TiO2 Sols-Characterization of Humic Acid in the Chemical Oxidation Treatment(I)-)

  • 석상일;안복엽;김미선;서태수;이동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073-1081
    • /
    • 2000
  • 가시광 영역에서 투명한 $TiO_2$ 졸을 이용하여 수중 humic acid의 광분해 특성을 고찰하였다. $TiO_2$ 졸은 $TiCl_4$ 용액의 가수분해 침전물인 $TiO(OH)_2$$H_2O_2$와 반응시켜 titanium peroxo solution (TPS)을 제조한 후, 이 용액을 온도와 시간의 함수로 열처리하여 제조하였다. Humic acid의 광분해를 위하여 사용된 졸의 적정 농도는 100ppm 전 후이었으며, photoluminescence(PL)를 이용하여 결정되었다. $TiO_2$ 졸의 humic acid에 대한 광촉매 효능은 TPS를 $100^{\circ}C$에서 12시간 이상 열처리한 졸을 이용할 때 가장 높았으며, 상용되고 있는 Degussa P25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용의 분말로부터 유도된 현탁 반응은 처리수가 $TiO_2$로 인해 높은 탁도를 나타내는 반면, TPS로부터 유래한 졸은 거의 탁도를 나타내지 않고 높은 투명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