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산 해안

Search Result 250,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정부의 항만개발정책에 관한 평가연구

  • 김성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10a
    • /
    • pp.38-38
    • /
    • 1995
  • 국가의 충체적 활성과 경쟁력 확보는 정부의 적절한 정책수행에 의해서만 가능하고 특히, 항만, 공항, 도로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은 민간기업으로서는 할 수 없는 정부 고유의 역할이다. 정부는 여러 전문기관을 통해서 이러한 사업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1980년도 이후 급격히 증대되어온 해운물동량과 특히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대에 대비하면서 장내의 시설수요를 예측하고 현실에 닥치는 물류적체 해소를 위하여 부산항 3단계 공사등 긴급한 시설을 확충하여 왔다. (중략)

  • PDF

Downtime Analysis in the Design of a New Harbor (신항만 설계시의 항만가동율 추정)

  • 정원무;송태관;채장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0a
    • /
    • pp.120-124
    • /
    • 1997
  • 최근까지의 국내 신항만 설계시에는 50년 빈도 심해파나 평상파 조건을 사용한 이상시 및 평상시 항내정온도 검토는 수행되었으나 파랑에 의한 연중가동율 추산은 과학기술처(1993)의 연구에서 동해항을 대상으로만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신항(그림 1 참조)의 연중가동율을 수치실험과 3차원 수리모형실험에 의해 추정한 결과를 제시한다. (중략)

  • PDF

유량에 따른 울산만 내의 이차원 분산현상에 관한 연구

  • 고성훈;김성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0a
    • /
    • pp.116-119
    • /
    • 1997
  •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가 최근에 많이 거론되고 있다. 해양오염 문제의 해결방안은 첫째 오염원의 차단과 둘째 오염된 물질이 어떻게 퍼져나가는가를 정확히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울산만은 부산항ㆍ인천항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수출입의 관문이 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울산항이 있는 지역으로서 특히 울산지역은 임해공업지역으로 해양오염에 대한 관심이 민감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학문적 논리의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중략)

  • PDF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ed Foam Soil for Reuse of Dredged soils (준설토 재활용을 위한 경량기포 혼합토의 역학적 특성 연구)

  • 윤길림;김병탁;김주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148-155
    • /
    • 2002
  • 산업시설의 확충과 항만, 택지개발 등과 같은 기반시설의 신설 및 확장은 토지의 가용면적 증대와 매립 및 성토시 양질의 지반재료에 대한수요 증가를 필요로 한다. 부산 신항만 건설공사, 광양만 개발공사, 군산항 건설공사 및 서 해 안 고속도로 공사 등 최근 국책사업이 활발히 진행되어 매립, 성토재료로서 막대한 토사를 사용하고 있지 만 환경 보존의 중요성 등을 감안하면 대량의 육상토나 해사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Tides of Gwangyang Bay Using Moving Boundary Treatment (이동경계를 고려한 광양만의 조석ㆍ조류 모의)

  • 민인기;오병철;전인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8a
    • /
    • pp.158-163
    • /
    • 2003
  • 한반도 서ㆍ남해안은 크고 작은 만과 해빈, 삼각주, 하구, 조간대 등 다양한 연안해역이 잘 발달 되어 있다 평균조차는 서해안 남부에서 약 3m로 북쪽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군산 부근에 6m, 인천 부근에서 약 8m에 달하며, 남해안의 평균조차는 부산 1.2m, 진해 2.1m, 충무 2.6m, 삼천포 3.0m, 여수 3.3m, 완도 3.5m, 목포 3.7m로 조석 간만의 차가 크게 나타나서 연안해역에 폭넓은 조간대가 형성되어 있다. (중략)

  • PDF

Light Pollution of Outdoor Lighting in Coastal Area - Focused on Busan City - (해안가 야간경관조명의 빛공해 평가 - 부산시를 중심으로 -)

  • Kong, Hyo-Joo;Kim, Jeong-Ta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6
    • /
    • pp.18-26
    • /
    • 2010
  • Outdoor lighting has become a necessary essential part of society for safety and comfortable space. However, inappropriate outdoor lighting leads to energy waste and poor landscape. Outdoor lighting is a very important social element, which enables us to conduct various activities at night in a safe, efficient and comfort way. River Thames in UK, Venice in Italy and Sydney in Australia is a good example of the coastal area.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light pollution of outdoor lighting in coastal area in Busan city. The Radiant Imaging ProMetric-1400 was used to measure the luminance of Gwangalli Beach, Marine City and Haeundae Beach. Compare to the CIE recommendation level the luminance of the all outdoor lighting were about 2~20 times higher. Outdoor lighting of the building facade luminance level and color should be particularly limited.

Characteristics of PM10 concentration at seashore and inland according to land-use in Busan (부산지역 지역용도별 해안과 내륙의 PM10 농도 특성)

  • Jeon, Byung-I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2
    • /
    • pp.47-54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PM10(particulate matter with aerodynamic diameters less than 10 ${\mu}m$) concentration according to land-use in Busan coastal area. Fine particle is affected by emissions, geographical condition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case industrial area, Gamjeondong(inland) PM10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Noksandong(seashore) at all season except for Summer. Primary peak at Gamjeondong cleared than Noksandong in Fall and Winter. In case green area, Daejeodong(inland) PM10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Dongsamdong(seashore) at all seasons. In case commercial area, primary peak occurrence time at Jeonpodong lagged one hour according to season and diurnal change of PM10 concentration at Gwangbokdong was higher than Jeonpodong in Spring. In case residential area, high PM10 concentration(80~90 ${\mu}g/m^3$) lasted for six hours during the daytime in Spring at Deogcheondong and Yongsuri(inland).

  • PDF

Mitigation Efficiency of Parapet Wall against Sea Wave Overtopping at Coastal Basin (월파방지벽을 이용한 해안도시 침수저감 효과분석)

  • Kim, Won Bum;Son, Kwang Ik;Jung,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8-268
    • /
    • 2019
  • 이상기후 등 전 지구적 기후 변화로 인하여 해수면 상승과 태풍에 의한 해일고 증가로 인하여 해안지역의 침수 재해 발생빈도가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02년 발생한 태풍 '루사' 와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 뿐만 아니라 2016년 태풍 '차바'로 인해 부산 및 울산 등 남부 해안지역 침수되는 등 막대한 재산과 인명피해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상승 또는 해일로 인하여 해안도시가 침수되는 현상을 모의하기 위하여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하고 유한체적법과 well-balanced 기법이 적용된 2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여 침수 모의 결과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침수 저감을 위한 월파 방지벽의 설치효과를 수문학적/경제학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대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모의결과의 검증을 위해서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하여 침수가 발생한 창원시의 침수흔적과 모의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또한 해수면 상승에 대한 방어적 기법으로 월파방지벽을 선정하고 다양한 월파방지벽의 높이에 따른 시공적 침수규모에 대한 분석과 함께 피해액과 시공비를 고려한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월파방지벽 규모와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점별 침수규모 및 최대 침수심 발생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침수에 따른 중장기적 구조적 대응방안 수립은 물론 초단기적 예상 해수면 상승에 따른 대피경로의 효율적 운용 등 비구조적 수재해 대응 기법을 제시하는 기초자료 제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lamation of the Foreshore and Climate Change in Busan Area (부산지역의 기후변화와 매립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Doe, Geun-Young;Cho, Yong-Soo;Yee, Jurng-Ja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8 no.8
    • /
    • pp.759-766
    • /
    • 2004
  • Busan has its unique character which differed from inland such as Seoul and Daegu Because Busan is located in coast district of Korea,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climate change in Busan had been influenced by foreshore reclamation in the urbanizatio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lamation of the foreshore and climate change by analysing the climate change over the past 70 years in three metropolitan cities.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t a big difference among elements of climate change in three cities. 2) Annual mean minimum temperature in Seoul and Daegu had remarkably increased over the past 70 years. On the other hand, annual maximum temperature in Busan had a sudden rise in the only tome to reclaim the foresh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