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산 해안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7초

부산시 해안 및 내륙지역에서 광화학 오염물질의 농도 차이에 영향을 주는 화학 및 기상조건 분석 (Analysis of Chemical and Meteorological Effects on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of Photochemical Air Pollutants between Coastal and Inland Regions in Busan)

  • 송상근;손장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169-1182
    • /
    • 2008
  • The chemical and meteorological effects on the concentration variations of air pollutants ($O_3$ and its precursors) were evaluated based on ground observation data in coastal and inland regions, Busan during springs and summers of 2005-2006.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tudy areas we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coastal area (CA), industrial area (IA), downtown area (DA), residential area (RA), and suburban area (SA). Two sites of Dongsam (DS) and Yeonsan (YS) were selected for the comparison purpose between the coastal and inland regions. $O_3$ concentrations in CA and SA were observed to be highest during spring (e.g., 40 ppb), whereas those in DA and RA were relatively low during summer (e.g., $22\sim24$ ppb). It was found that $O_3$ concentrations in IA were not significantly high although high VOCs (especially toluene of about 40 ppb) and $NO_x$ ($\geq$ 35 ppb)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 levels of $O_3$ and $PM_{10}$ at the DS sit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the YS site, but $NO_x$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at the YS site. This might be caused by the photochemical activity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e.g., sea-land breeze and atmospheric stagnance). When maximum $O_3$ (an index of photochemical activity) exceeds 100 ppb, the contribution of secondary $PM_{10}\;((PM_{10})_{SEC})$ to total observed $PM_{10}$ concentrations was estimated up to 32% and 17% at the DS and YS sit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iurnal variations of $(PM_{10})_{SEC}$ at the DS site were similar to those of $O_3$ regardless of season, which suggests that they are mostly secondary $PM_{10}$ produced from photochemical reactions.

지중 유효 열전도도의 지역별 분포 (A Study on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Grou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 공형진;권순기;지승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4권1호
    • /
    • pp.43-47
    • /
    • 2016
  •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은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 절감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지중 열교환기는 초기투자비와 시스템 성능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수직형 지열 시스템 설계를 위해서는 현장 열응답 테스트를 통해 지중 유효 열저항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열이용검토서를 통해 접수된 전국의 지중 열전도도를 지역별로 분석하였다. 전국 평균 지중 열전도도는 2.56 W/mK로 분석되었다. 지중 열전도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로 평균 2.68 W/mK이고, 가장 낮은 지역은 부산으로 2.28 W/mK다. 또한 해안을 접하고 있는 지역의 열전도도는 전국 평균에 비해 약 30% 낮다.

Delft-3D를 이용한 온천천의 조위 영향범위 검토 (Investigation into the Range of Effect of the Tide Level of Oncheon River Using Delft-3D)

  • 이상화;이한승;김재중;박동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5호
    • /
    • pp.465-472
    • /
    • 2012
  • 최근water front나 자연형 하천의 개발이 많아지는 가운데 해안에 인접한 하천설계에 있어 일반적으로 기점 홍수위가 만조 시 수위보다 높게 계산되면 조석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기점 홍수위만으로 수리해석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점 홍수위가 만조 시 수위 보다 높더라도 밀려오는 조류의 영향으로 하천 기점 홍수위의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부산의 지방하천인 온천천이 조석현상에 의해 어떤 흐름의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Delft-3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하류 경계조건에 조석영향을 고려하였을 경우 하천의 일정범위까지 수위가 조석의 주기성을 나타내었고 하천 상류방향으로 수위 변동범위가 확대되었다.

부산지역 내륙과 해안의 $PM_{10}$ 중의 금속농도와 이온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ic Concentration in $PM_{10}$ at Inland and Seashore in Busan)

  • 전병일;황용식;오광중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3호
    • /
    • pp.323-333
    • /
    • 2010
  • $PM_{10}$ mass were measured in Gwaebeopdong (inland) and Dongsamdong (seashore) of Busan in summer and fall, 2007 and the 24-hour averaged sampl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metallic elements and water-soluble ions in $PM_{10}$. Overall average concentrations of $PM_{10}$ mas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72.7 ${\mu}g/M^3$ and 64.3 ${\mu}g/M^3$ in Gwaebeopdong and Dongsamdong, respectively. As for metal elements, averaged concentrations of crustal components, Ca, Fe, K, Mn, and Ti, in Gwaebeopdong exhibited enhancement relative to Dongsamdong. Non-crustal elements, Pb and Cu, displayed elevated levels in Gwaebeopdong while Ni and Zn were observed to be high in Dongsamdong. Averaged nitrate concentration in Gwaebeopdong (6.36 ${\mu}g/M^3$) was greater than in Dongsamdong(5.68 ${\mu}g/M^3$) and both areas had higher level of nitrate in summer than in fall. Averaged sulfate concentrations in Dongsamdong (25.4%) exhibited elevated level relative to Gwaebeopdong (19.4%). Overall average contribution of water-soluble ions to $PM_{10}$ in Dongsamdong (47.5%) was higher than in Gwaebeopdong (37.8%). The average mass fractions of secondary ions in $PM_{10}$ were elevated in Dongsamdong (37.1%) as compared to Gwaebeopdong (31.4%). Equivalent ratio of [${SO_4}^{2-}/NO_3{^-}$] was seen to be lower in Gwaebeopdong (1.39) than that in Dongsamdong (1.79) and consistently higher in summer than in fall for both areas.

남한의 하계강우량의 시계열분석 (Time series Analysis of the Summer Rainfall in South korea)

  • 류상범;문승의;이부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3-199
    • /
    • 1993
  • 기후를 대기의 종합상태라 볼 때에 어느 지역의 기후요소의 변동 크기는 그 지역의 기후의 특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가 된다. 특히 우리나라 하계 우기인 6,7,8월 동안의 강우량(1920년~1985년)의 변화경향성, 다우년과 과우년의 발생빈도, 그리고 주기 등에 대해 남한 전역의 표준강우량 및 서울, 대구, 부산, 목포, 강릉, 전주의 6개 지점의 강우를 서로 비교하였다. 그리고 남서기류의 영향이 우리나라의 하계 강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남한의 표준강우량 및 6개 지점의 강우와 인도 하계 몬순(monson) 강우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남한 전역의 표준강우량의 평균은 611.6mm이고 표준편차는 165.5mm로서 평균의 21%이다. 6개 지점별 강수량의 평균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심하고 다우년과 과우년의 발생횟수 역시 지역에 따라 차이가 심하다. 변화경향성을 조사한 통계량 r는 남한 전역의 표준강우량의 경우 0.07이며 각 지점별 강우의 경우에도 비슷한 통계량 크기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값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즉, 변화경향성은 없다. 우리나라 하계강우의 주기는 2.4~2.5년, 3.1~3.6년 그리고 7.3년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하계강우와 인도 하계몬순 강우와의 상관은 대구와 전주같은 내륙지방에서는 크게 나타나고, 그 외 해안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고 있다.

  • PDF

부산시 해안 인근 지역에서의 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 거동 영향 평가 (Physical and chemical analyses of ground-water by impacts of tunneling at coastal urban region in Busan)

  • 김형수;이주현;안주희;정의진;김준모;윤운상;정상용;이진무;우상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57-464
    • /
    • 2005
  • In the case of tunneling, the equilibrium state of hydro-geologic environments destroy and change abruptly in some section of whole works. Specially, it's very possible for seawater to intrude toward the site of tunnel if the field is nearly located in a costal region.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the mechanism related between groundwater flow and seawater intrusion that by impacts of tunneling. Various hydro-geological field tests have performed for getting four representative hydrogeologic properties of geologic formations such as transmissivity (T), storativity(S), longitudial dispersity(${\alpha}_L$), and effective porosity($n_e$). For the effect of tunneling, the numerical model was first simulated based on the governing equation of groundwater fl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drawdown was 17.2m and the total inflow into the tunnel had the range from 0.48 to $3.63m^3/day/m$. Secondly, the three dimensional numerical model was analyzed to investigate a characteristic of seawater intrusion based on the previous simulated results of groundwater flow. The results showed the seawater moved as the range of $200{\sim}220m$ from the initial interface between seawater and groundwater toward the tunnel.

  • PDF

부산 해안지역의 물의 라돈 농도와 지하수 유출 특성 (Characterizing Groundwater Discharge and Radon Concentration in Coastal Waters, Busan City)

  • 옥순일;함세영;이용우;차은지;김상현;김인수;김부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5호
    • /
    • pp.53-66
    • /
    • 2011
  • Groundwater which infiltrated in recharge areas discharges in the forms of evapotranspiration, baseflow to streams, groundwater abstraction and eventually flows into the sea. This study characterized radon-222 concentrat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in coastal groundwater discharge, well groundwater, Ilkwang Stream water, and seawater in the coastal area of Busan Metropolitan City and subsequently estimated groundwater discharge rate to the sea. The median value of Rn-222 concentration is highest in well groundwater (18.36 Bq/L), and then decreases in the order of coastal groundwater discharge (15.92 Bq/L), Ilkwang Stream water (1.408 Bq/L), and seawater (0.030 Bq/L). The relationship between Rn-222 concentration and EC values is relatively strong in well groundwater and then in seawater. However, the relationship is not visible between coastal groundwater discharge and Ilkwang Stream water. The groundwater discharge rate to the sea is estimated as $3,130m^3$/day by using radon mass budget model and $16,788m^3$/day by using Darcy's law.

도시지역의 지하수 유동 분석 (Groundwater Flow Analysis in an Urban Area)

  • 배상근;이승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5-239
    • /
    • 2011
  • 도시지역은 수자원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기상 이변과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용수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기후적 영향을 적게 받는 지하수의 경우는 비교적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자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관리적인 측면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은 지하수이용량이 많아 지하수개발에 대한 명확한 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잉양수로 인한 지하수위 저하로 용수부족, 지하수질 악화 등과 같은 지하수 재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해안지역일 경우 해수침투로 인하여 그 피해가 광범위하고 장기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수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수 유동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효율적인 지하수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지역 지하수 유동의 경우 지하수함양과 지하수유출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요소들인 지하수이용량, 상하수도 누수량, 지하철로 인한 유출량 등과 같은 도시화 요소들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지하수자원의 개발 이용 및 관리가 가장 절실히 필요한 곳이 도시지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지하수 유동 분석에 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며 수문계측 기술의 향상과 관련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도 함께 이루어져서 해석의 정확도가 높아져야만 원활한 수자원 공급과 효율적인 체계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지하수유동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수영구를 대상으로 도시화 요소를 고려한 지하수 모델링을 통하여 지하수 유동을 분석하였다. 정상상태 지하수 유동 모의를 실시한 결과 지하수위는 산지가 분포하고 있는 북서쪽으로 갈수 록 높아지고 수영강과 남해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지하수 유동도 내륙에서 수영강 및 남해로 유출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도시화 요소를 고려한 비정상상태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 수영강 및 남해에서 내륙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지하수위 또한 내륙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대량의 양수량의 관정이 위치하는 수영로타리 일대와 광안동 지역, 지하철유출량이 많은 망미역 부근, 전력구 터널 공사로 인한 지하수 유출량이 있는 일부지역에서는 급격하게 지하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순간최대풍속의 난류특성에 관한 평가 (Estimation on the Turbulence Characteristics of Daily Instantaneous Maximum Wind Velocity)

  • 오종섭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75-84
    • /
    • 2017
  • 내풍설계에서 기본풍속의 경우 우리나라는 10분 평균풍속을 이용하고 있지만, 기후변화와 태풍의 직간접 영향 및 강도증가로 인한 순간최대풍속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고, 일부 다른 나라에서는 이러한 순간풍속의 효과를 고려 3초의 평균풍속을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73-2016연까지의 일순간최대풍속의 확률과정, 통계적 성질, 난류의 특성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표지점(17개 지점)을 선정했다. 선정된 각 지점에 대한 일순간최대풍속자료는 기상청으로부터 획득했다. 획득된 순간풍속의 해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주 서귀포 여수 부산에서의 8 7 9월에 0.2~0.35%로 나타났고, 서울 대관령은 3 4 5월에 0.25%로 나타났다. 2. 확률과정의 왜도평가에서 해안지역보다는 내륙지역에서의 더 큰 비정규성을 나타냈다. 3. 인접지역의 상관계수 평가에서 서울 인천(0.8), 대전 청주(0.75), 제주 서귀포(0.72)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관령 강릉은(-0.07), 전주 군산(0.0)은 인접지역의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연안천해생물군집의 구조와 생산 2. 추체에 의한 노래미(Agrammus agrammus)의 연령 사정 (Studies on the Structure and Production Processes of Biotic Communities in the Coastal Shallow Waters of Korea 2. Using the Vertebrae for Age Determination of the Spottybelly Greenling, Agrammus agrammus)

  • 강용주;김종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5-81
    • /
    • 1983
  • 1981년 7월부터 1982년 6월까지 매월 부산 해운대 동백섬 해안에서 낚시와 삼중자망으로 채집한 노래미(Agrammus agrammus)의 추체를 사용하여 연령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추체반경과 어체의 전장 간에는 직선회귀관계가 있었다. 추체의 불투명대에서 투명대로 이행하는 경계를 윤문으로 간주한 본연구에서의 윤문은 매년 $7{\sim}8$월에 형성되었고, 제1, 2, 3, 4 윤문이 형성되는 데는 각각 0.67년, 1.67년, 2.67년, 3.67년이 걸렸다. 비만도의 월별변화로 조사한 산란기는 12월로 추정되었다. 각 윤문이 형성될 때의 전장을 역계산하여 다음과 같은 버트란피 성장식을 구할 수 있다. $l_t=31.68(1-e^{-0.189(t+1.458)})\;W_t=528.30(1-e^{-0.189(t+1.458)})^3$이 식으로부터 구한 추정전장은 실측전장과 잘 일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