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산광역시

Search Result 76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Estimation of phased warning water level for flood warning in disaster prone area in Busan (부산광역시 재난취약지역의 홍수 예·경보 발령을 위한 단계별 기준수위 산정)

  • Yoon, Eui Hyeok;Lee, Jae Hyeok;Lee, Yeong Gon;Shin, Hyun Sh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6-266
    • /
    • 2016
  • 2014년 8월 25일 시간당 130mm 이상의 폭우로 인하여 부산시 중구를 제외한 부산 전역에 걸쳐 인명 및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는 부산광역시의 지형특성상 고지대에 주택 등이 조밀하게 개발되어 불투수층의 증가 및 배수처리의 한계로 침수지역이 다량 발생하였고, 절개지 및 옹벽 등이 많은 지역, 소하천 및 산업단지 조성 후 지반이 약화된 지역 등에서 주로 피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부산지역에서 도시홍수로 인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기장군과 부산광역시 일부 유역에 대하여 홍수 예보 시설을 설치 운영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재해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재난취약지역으로 선정된 기장군 일대와 부산광역시 일대의 총 10개 지점(14개소)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수위관측시스템 설치를 위한 적절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지점에 대하여 수리모형(HEC-RAS)을 구축하였다. 수리모형에서 산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 하천의 현실에 맞는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각 각의 4단계 기준수위(둔치위험 수위, 주의보 수위, 경보 수위, 하천범람 위험 수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각 지점별로 산정된 단계별 기준 수위를 이용하여 재난취약지역으로 선정된 기장군 6개 지점과 부산광역시 4개 지점에 대하여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기준 수위 산정 결과"를 도출하였고, 위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에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도심 재난 예방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위 지점에 대하여 지속적인 하천 정비 등의 사후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부산광역시의 다른 재난취약지역에 대하여 보다 개선된 홍수 예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재 국가하천에 대하여 시행되고 있는 홍수 예보와 같은 재난 예방 시설의 구축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Delinea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Region, Korea (부산광역도시권 설정에 관한 연구)

  • Lee, Hee-Yul;Ju, Mee-So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2
    • /
    • pp.167-181
    • /
    • 2007
  • The newly adopted Korea Geodetic Datum (a.k.a. KGD2002) calls for massive reengineering work on geospatial dataset. The main focus of our study is placed on the strategy and system implementations of the required data reengineering with a keen attention to integrated approaches to interoperability, standardization, and database utilization. Our reengineering strategy includes file-to-file, file-to-DB, DB-to-file, and DB-to-DB conversion for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KGD2002. In addition to the map formats of existing standards such as DXF and Shapefile, the newly recommended standards such as GML and SVG are also accommodated in our reengineering environment. These four types of standard format may be imported into and exported from spatial database via KGD2002 transformation component. The DB-to-DB conversion, in particular, includes not only intra-database conversion but also inter-database conversion between SDE/Oracle and Oracle Spatial. All these implementations were carried out in multiple computing environments: desktop and the Web. The feasibility test of our system shows that the coordinate differences between Bessel and GRS80 ellipsoid agree with the criteria presented in the existing researches.

  • PDF

가족보건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 매진 부산광역시지회 운영, 시민과 함께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v.37 no.3 s.427
    • /
    • pp.25-25
    • /
    • 2004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부산광역시지회는 2004년도 정기 운영위원회를 개최, 박남철 운영위원(부산의대 비뇨기과 교수)을 새회장으로 선임하였다. 부산 시민의 모자보건과 복지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이모저모를 살펴보자.

  • PDF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Cryptomonads Distribution in Oncheon River (온천천내 수질 및 Cryptomonads 분포의 시기별 변화)

  • Jeong, Tae-Uk;Jeong, Sun-Young;Kim, Min-Jeong;Choi, Yoo-Jeong;Cho, Eun-Jeong;Jeong, Jae-Eun;Seo, Dong-Cheol;Park, Jong-H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41 no.3
    • /
    • pp.177-184
    • /
    • 2022
  • BACKGROUND: Recently, the inflow of nonpoint pollutants into rivers caused by rapid urban and industrialization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algae, which causes eutrophication of riv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ryptomonads growth in the Oncheon River. METHODS AND RESULTS: The water qualit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ryptomonads in the Oncheon River were investigated monthly for 12 months from January 2021. The cell number of cryptomonads was intensively developed in January-April, and it decreased sharply in the summer with heavy rainfall. In particular, cryptomonads mov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river depending on the time, and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for each investigation point.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KO) in Oncheon River was classified as eutrophy all year round, indicating that cryptomonads can grow year-rou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ryptomonads in Oncheon River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DO (r=0.678), BOD (r=0.826) and chlorophyll-a (r=0.613) in water. CONCLUSION(S): In order to reduce cryptomonads in the Oncheon River, it is judged that a complex countermeasure considering the residence time, insolation and precipitation along with water quality factors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