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분조정모형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우리나라의 부동산 가격 : 세율변동과 장기적인 지가변화를 중심으로

  • Jo, Dong-Cheo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2 no.1_2
    • /
    • pp.57-138
    • /
    • 2000
  • 본 연구는 이론적 모형전개와 자료분석의 두 측면에서 정리될 수 있다. 우선 경제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성장이론을 원용하여 지가의 결정과정에 대한 동태적이고 일반균형적인 접근방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가의 높고 낮음을 평가할 때 그 기준이 될 수 있는 변수로는 국민소득 대비 지가총액의 비율을 살펴보는 것이 합리화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하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이 비율이 선진국 수준(1 내외)에 비하여는 아직도 상당히 높은 상태(3~4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이나, 1970년대 하반기(10~12 수준)에 비하여는 크게 하락하였음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상대적 지가하락의 주요한 한 요인으로 그동안 취해져 온 토지관련 실효세율의 상향조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민소득의 10배를 상회할 정도로 크게 부풀려져 있었던 1970년대 하반기의 지가총액이 당시 토지에 대한 실효세율이 사실상 0에 가까웠다는 점에 의하여 상당 부분 설명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PDF

Long-term Relationships of KOSPI, BSI, and Macro Economic variables (주가.기대심리.거시경제변수의 장기균형 관계 :Cointegration을 중심으로)

  • Chang, Byoung-Ky;Choi, Jong-Il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8 no.2
    • /
    • pp.125-144
    • /
    • 2001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경제변수로 설명할 수 없는 경제주체들의 심리적 요소가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주가와 거시경제변수 및 경제주체들의 기대심리간의 장기 균형 및 동학구조관계를 분석한다. 주가는 기업의 내재가치를 나타내며 이는 상당부분 현재와 미래의 경제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 미래경제상황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으나 경제 주체들은 미래경제상황을 예측하게 되며 그 예측은 주가에 반영될 수 있다. 검증결과 BSI 전망치와 같은 경제주체들의 기대심리가 주가결정에 가장 중요한 단일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변량 공적분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질주가지수는 BSI와 장기균형관계에 있는 반면 다른 거시경제변수와는 공적분관계에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공적분분석에서도 BSI가 포함된 경우에만 KOSPI/P와 장기균형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벡터오차수정모형으로 동태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변량과 다변량 분석 모두에서 이들 두 변수의 오차수정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장기균형으로부터 이탈에 대하여 상호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cale Development for Youth Obesity Prevention and Unified Validity Test through the Health Belief Model-I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청소년 비만예방척도개발과 통합적 타당도검증-I)

  • Kim, Eung-Joon;Ko, Byoung-Goo;Cho, Eun-Hyung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v.58 no.1
    • /
    • pp.295-308
    • /
    • 201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pply a health belief model to the serious perception of an increase in youth obesity,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tool for youth obesity prevention among this group who are experiencing increasing rates of obesity. The specific goals of this study are to 1) apply a health belief model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obesity prevention among youth who are seeing rising rates of obesity, and 2) provide an integrated validation procedure and foundation for developing this measurement tool. A total of 1801 high school students[sample1: 902(male:464,female:438); sample2: 899(male:464,female:438)] were recruited and collected data from 12 high school in Seoul and Kyonggi area. For this study the analytic framework of unified validity was developed which can comprehensively reflect unified validity be Messick(1995), framework for conducting a strong program of construct validation by Benson(1998), the unified validity implementation method of Rasch model suggested by Wolfe and Smith(2007a, 2007b). Furthermore, after dividing the developed analytic framework into each stage(the substantive domain), the evidence of validity of Youth Obesity Prevention Scale(YOPS) applying Health Belief Model was systematically suggested. The YOPS suggested the evidence about the substantive domain of unified validity. The developed YOPS was consist of Susceptibility, Severity, Benefits, Barriers and Cues to Action. After 3 stage in substantive domain, the components of YOPS(5factors and 28items) satisfied the unidimensionality, and the 5 point Likert scale had the significant discrimination of the respondents' response.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in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Geum-River (금강 중하류에서의 수질모의에 관한 연구)

  • Sin, Jae-Gi;Im, Chang-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2
    • /
    • pp.145-157
    • /
    • 2000
  • The Water Quality Analysis Simulation Program 5 (WASP5) and HEC-2 models have been coupled and appl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simulation of long-term river water quality variation. The EUTR05 as a simulator of water quality simulation in WASPS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water quality variables in the downstream of Geum-River from Daechung multi-purpose dam during the dry period. The water quality and flow rate conditions have been measured at the stage measurement stations located in the downstream of Geum-River from Daechung dam in December, 1998 and January and March, 1999.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was calibrated with January data of 1999, and verified with December data of 1998 and March data of 1999. The trend of longitudi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variables simulated by model is consistent with that of measured water quality constituents except chlorophyll-a, $BOD_5,\;NH_3-N\;and\;PO_4-P$ simulated with March data of 1999. Furthennore,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mainstream of Geum-River was simulated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s of $PO_4-P$ and/or $NH_4-N$ flowing into the mainstream of Geum-River from Gabcheon and Mihocheon. The variation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mainstream was almost ignorable except only when $NH_3-N\;and\;PO_4-P$ concentrations decreased by 70% flow into the mainstream from Gabcheon and Mihocheon.

  • PDF

An Efficiency Analysis of OECD Countries and Korea in Health Service Industry (한국과 OECD 국가의 의료서비스산업의 기술효율성 분석)

  • Jang, Young-Jae;Yang, Dong-Hyu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2 no.1
    • /
    • pp.87-109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technical efficiencies of health service industry of OECD countries with DEA and SFA approaches using 10 year data from OECD Health Databas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 was found the best practice among 15 OECD countries based on CRS nondirectional SBM models. Second, it was found that some inefficiencies were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Third, we found that environmental factors were important factors in efficiencies of health service industry by observing that there were large efficiency changes after adjusting slacks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From the above, Korea led the OECD countries in health service industry and was the most competent. Bu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 since the quality and cost of health care was not taken into account.

  • PDF

A Study on the Integrated System Implementation of Close Range Digital Photogrammetry Procedures (근거리 수치사진측량 과정의 단일 통합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 Yeu, Bock-Mo;Lee, Suk-Kun;Choi, Song-Wook;Kim, Eui-M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7 no.1 s.13
    • /
    • pp.53-63
    • /
    • 1999
  • For the close range digital photogrammetry, multi-step procedures should be embodied in an integrated system. However, it is hard to construct an Integrated system through conventional procedural processing. Using Object Oriented Programming(OOP), photogrammetric processings can be classified with corresponding subjects and it is easy to construct an integrated system lot digital photogrammetry as well as to add the newly developed classes. In this study, the equation of 3-dimensional mathematic model is developed to make an immediate calibration of the CCD camera, the focus distance of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object. Classes for the input and output of images are also generated to carry out the close range digital photogrammetric procedures by OOP. Image matching, coordinate transformation, dirct linear transformation and bundle adjustment are performed by producing classes corresponding to each part of data processing. The bundle adjustment, which adds the principle coordinate and focal length term to the non-photogrammetric CCD camera, is found to increase usability of the CCD camera and the accuracy of object positioning. In conclusion, classes and their hierarchies in the digital photogrammetry are designed to manage multi-step procedures using OOP and close range digital photogrammetric process is implemented using CCD camera in an integrated System.

  • PDF

개방경제하(開放經濟下)의 "거시적 증권정책(巨視的 證券政策)"

  • Kim, Yu-Man;Lee, Il-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0 no.2
    • /
    • pp.1-51
    • /
    • 1993
  •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자본자유화로 인해 통화공급 구조가 이미 균형에서 이탈하여 심각한 수준의 불균형 상해에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고자 한다. 둘째, 자본유입에 따른 정책조정 비용을 감안한 통화정책 모형을 통해 주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정책 조절에 수반되는 손실비용(損失費用)과 Mundell의 $\ulcorner$할당 문제(割當 問題)$\lrcorner$를 다시 조명해 보고자 한다. 세째, 자본유입에 따르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정책방안들을 Modigliani ar Miller의 명제(命題)에 입각한 새로운 각도에서 합리적 인 증시정책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분석의 이론적 틀로서는 자본유입에 따라 수반되는 불확실성하의 정책조절 비용을 감안한 손실비용 최소화(loss cost minimization)를 통해, 통화 당국자는 총통화량을 정책적으로 내정된 목표값에 수렴시킨다고 가정하였다. 다른 한편, 자본유입에 따르는 문제점들을 통화시장에만 제한시키는 부분적(部分的) 균형분석(均衡分析) 대신, 이를 증권시장으로 직접 연계시켜 두 시장으로 확장된 틀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다음 두가지 측면의 접근식을 따랐다. 첫째, 자본자유화정책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자본자유화 시점을 기준으로 삼아 과거 자본통제 시대의 $\ulcorner$사후적(事後的)인 중화정책(中和政策)$\lrcorner$에 의존하는 $\ulcorner$소극적(消極的)인 증권정책(證券政策)$\lrcorner$과 자본자유화시대의 $\ulcorner$사전적(事前的)인 상살정책(相殺政策)$\lrcorner$에 의한 $\ulcorner$거시적(巨視的)인 증권정책(證券政策)$\lrcorner$을 통해 고찰하는 비교분석론에 입각한 접근식을 택했다. 둘째, 외국자본의 유입동기(流入動機)를 문제해결의 시발점으로 삼아 이를 새로운 개방정책과 직결시켜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풀어 보려는 선험적(先驗的) 접근식(接近式)을 택했다.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on Distributed Watershed using Topographic Data (공간정보를 이용한 분포형 유역 수질 모의)

  • Ryu, Byong-Ro;Jung, Seung-Kwon;Jun, Kye-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11
    • /
    • pp.897-913
    • /
    • 2004
  • There has been continuous efforts to manage the water resources for the required water quality criterion at river channel in Korea. However, we could not obtain the partial improvement only for the point source pollutant such as, wastewater from urban and industrial site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Therefore, it is strongly needed that the Best Management Practice(BMP) throughout the river basin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clud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This problem should be resolved by recognizing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from upstream river basin to the outlet depends on the land use and soil type characteristic of the river basin using the computer simulation by distributed parameter model based on the detailed investigation and the appl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Used in this study, Annualized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AnnAGNPS) model is a tool suitable for long term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BMPs and can be used for un gauged watershed simulation of runoff and sediment yield. Now applications of model are in progress. So we just describe the limited result. However If well have done modeling and have investigated of propriety of model, well achieve our final goal of this study.

Web-based Evaluation Framework for the Flood Warning Facilities and Operational System (홍수예경보 시설 및 운영시스템에 대한 웹기반의 평가체계)

  • Kang, Boo-Sik;Lee, Joo-Heon;Hong, Il-Pyo;Kwon,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94-1498
    • /
    • 2009
  • 세계기상기구(WMO)에 의하여 홍수예경보시스템의 평가를 위하여 개발된 MOFFS Ver.3의 개선을 위하여 특정유역의 홍수방어체계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홍수방어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이기위한 DSS-FOP를 개발하였다. DSS-FOP는 지점별, 홍수사상별로 예보시스템 운영결과를 간단한 평가양식에 나타내는 시스템이며, 홍수방어구조물(Flood control infra)과 홍수조절운영(Flood control operation)으로 분류한다. 홍수방어구조물은 수문관측, 홍수방어구조물, 홍수조절지휘소로, 홍수조절 운영은 자료처리 및 전송, 홍수예측모형, 예경보발령의 총 6가지 주요평가항목과 하부의 23가지 세부평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점수부여체계는 최대점수, 목표점수, 성과점수, 부족점수, 취약점수의 산정을 통하여 구조물인프라와 운영측면에서의 시스템취약부분을 평가 진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DSS-FOP를 이용하여 국내의 한강유역과 UN/ESCAP 태풍위원회의 회원국인 태국의 Khlong U-Taphao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한강유역의 경우 하천정보센터 신설 및 조직강화로 인적자원측면에서 높은 성과점수를 보였으며, 향후 수문레이더 설치 등으로 관측분야에서의 개선이 기대된다. 태국의 Khlong U-Taphao 유역의 경우 목표수준을 다소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비상행동계획의 마련이 시급하다. 더불어 홍수방어구조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DSS-FOP의 평가결과는 국가별, 유역별, 호우사상별로 관리되며, 태풍위원회 회원국의 적용 및 기술지침의 작성을 위해 많은 평가 및 조사가 축적되어야 한다.

  • PDF

노동력수요의 중장기 전망-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

  • 최강식;김정호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0 no.1
    • /
    • pp.59-89
    • /
    • 1997
  • 세계화 추세의 가속, 급속한 기술진보 및 정보화의 확산 등은 국제간의 분업구조 뿐만 아니라 국내의 산업구조 및 취업구조를 급격히 변화시키고 있다. 국내 취업구조의 변화는 산업간 직업간 취업비중을 모두 변화시키고 있어 고용의 양적 측면은 물론이고 질적 측면에서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그러므로 중장기적인 노동력수요 예측은 향후 인력양성의 방향과 체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될 뿐만 아니라 노동시장 정책에 있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노동력에 대한 중장기 수요를 일반균형적인 접근을 통하여 산업별 직업별로 예측하고 이 예측결과에 따른 향후 노동시장 및 인력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사용한 방법의 이론적 약점을 보완하면서 실증 결과의 예측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산업별 취업자를 전망하는데 있어 기존 연구결과들은 주로 노동시장의 단일방정식만을 추정함으로써 생산요소의 수요가 비탄력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생산요소간의 대체가능성을 무시하고 있으며, 인력수요에 중요한 결정 요인인 기술변화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거나, 취업계수의 변화를 통해 기술진보의 효과를 고려한다고 하여도 기술진보가 생산요소간에 비중립적(factor non-neutral technology changes)으로 일어날 경우 요소간 대체가능성을 간과하고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산업별 취업자 전망에서 노동시장의 단일방정식 추정이 아닌 일반균형에 입각한 경제 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직종별 취업자 전망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필요 인력량에 대한 고정계수(fixed coefficient manpower requirement)를 추정할 때 이중비례행렬모형(二重比例行列模型)을 이용하여,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한 직업별 인력수요 변화가 충분히 고려되도록 하였다. 전망의 결과에 따르면 향후 우리 경제는 지식기반경제(knowledge-based economy)로 이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산업구조면에서 지식집약적산업으로의 구조조정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산업별 취업구조에서도 고기술산업의 취업준비중이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직업별 취업분포에 있어서도 전문기술직 행정관리직 등의 고숙련 사무직의 비중은 크게 증가하는 반면 생산관련직과 농림어업직의 비중은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경제가 지식집약화되어 감에 따라 고학력자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현재 적절한 인력양성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향후 기술이나 기능에 따른 수급부일정(需給不一政)(skill mismatch)현상이 매우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의 인력정책에서 가장 주안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첨단기술산업과 관련된 인력의 양성에 있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