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분은퇴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Retirement Preparing Behavior Analysis of Pastors with Applic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목회자의 은퇴준비 행동분석)

  • Kim, Young-Chun;Kim, Jin-Yo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8
    • /
    • pp.201-2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n all factors from the research design by pastors.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214 pastors and they were analyzed. In order to derived the results of a study, we used the statistical processing technique SPSS, to perform verification of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AMOS analysis was perform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norms and intention,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intention of retirement preparing. Second,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and behavior,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behavior of retirement preparing. Third, intention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behavior of retirement preparing.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comprehensiv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of retirement preparing by pastor.

Relationship between Retirees'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은퇴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 Won, Kyung-hye;Kim, Young-h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0 no.6
    • /
    • pp.225-23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mediated effect of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n their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Data used for analysis wa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conducted by Korea Welfare Panel Study(2013).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January 1, 2013 to December 31, 2013. Answers of 3,976 peopl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variables. SPSS21.0 were used as statistics program. showed that retiree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hether to own house, living expense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have an influ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alysis revealed that retirees'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path which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That retirees' health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proves that the better retirees'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re, the higher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is. In addition, that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proves that retirees'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draw higher path through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that retirees'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and provide data which is useful in preparing ways to improve retirees' health.

  • PDF

A Exploratory Study on Multiple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During Retirement Transition: Applie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은퇴 전후 생활만족도의 다중 변화궤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잠재집단성장모형을 중심으로)

  • Kang, Eun-N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4 no.3
    • /
    • pp.85-112
    • /
    • 2013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retirees and to examine what factors differentiate different trajectory classes. This study used three waves of longitudinal data from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nd data collected every two years(2005, 2007, and 2009). Subjects were respondents aged 50-69 who identified to be retired between wave 1 and wave 2. Finally, this study used 243 respondents for final data analysis. Life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seven items. The latent class growth model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ree distinct trajectory classes: high stable class(47.7%), high at the early stage but decreased class(42.8%), and low at the early stage and then decreased class(9.5%). This study founded that approximately 50% of the retirees experienced the decline of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and about 10% of the sample was the most vulnerable group. This study analyzed what factors make different among the distinct trajectory groups. As a results, retirees who experienced the improvement in health change were more likely to be in 'high stable class' compared to 'hight at the early stage but decreased class'. In addition, retirees who were less educated, maintained the same health status rather than the improvement, worked as a temporary or a day laborer, and had less household income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low at the early stage and then decreased class' relative to 'high stable clas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distinct three trajectorie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retirees and finds out factors differentiating between trajectory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further study.

직장인의 Hybrid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Gang, Yeong-Cheol;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131-136
    • /
    • 2021
  • 산업 패러다임과 트랜드의 변화 속에서도 저성장, 고령화는 뉴 노말 시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자도생이 필요하며, 결국 창업이 대세인 시대가 되었다.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많은 준비와 실패 노하우의 축적이 필요하나 실패를 용납하지 않는 우리 사회분위기상 이는 쉽지 않다. 조사에 따르면 창업 장애요인으로 '창업실패 및 재기에 대한 두려움', '창업 준비부터 성공까지의 생계유지'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요인을 줄이는 방법으로 Hybrid창업을 제시할 수 있으나 국내 많은 기업이 직장인의 겸직을 제한하는 탓에 Hybrid창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고 관련 연구도 거의 없는 수준이다. 그러나 52시간 근무제로 직장인이 투잡(two-job)을 통한 수익창출 기회는 증가하였고, 고용불안과 은퇴이후를 고민하는 직장인들이 우회 창업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Hybrid창업 현상은 조기은퇴, 고령화의 영향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연구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Hybrid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창업가 특성, 창업역량, 경력지향성과 Hybrid창업의도간의 관계와, 직장인의 조직불안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사학연금 연기연금제도의 적정 증액률 산출

  • Lee, Gyeong-A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5
    • /
    • pp.219-241
    • /
    • 2020
  • 연기연금제도는 연금 지급개시연령 도달 이후 일정 기간 연금수급을 포기하는 대신 급여에 일정액을 가산하여 지급하는 제도이다. 연기연금은 지급개시연령 도달 이전에 수급을 신청하면 일정액을 가산하여 차감하고 지급하는 조기연금과 상호보완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유연은퇴(flexible retirement)의 주요한 축을 구성한다. 연기연금제도의 정책적 목적은 수급자별 다양한 재무적 상황에 따라 보다 유연한 은퇴설계와 노후소득 확충을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연기연금제도는 국민연금에는 시행되고 있으나 사학연금을 비롯한 직역연금에는 도입되지 않고 있다. 최근 공적연금간 급여규정 수렴화에도 불구하고 사학연금을 비롯한 직역연금에서 연기연금을 도입하지 않는 배경에는 공적연금간 급여 형평성 등 많은 쟁점사항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 연구는 그러한 기저의 논쟁에서 벗어나 제도의 재무적 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는 연금수급을 위한 요건을 충족한 퇴직자 중 연금수급연령 미도달자로 이들 대기자 그룹의 미시자료를 이용해 연기연금 적용 시 제도의 총급여액 증가를 야기하지 않는 재정 중립적 증액률(plan-neutral deferral rate)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분석자료를 대상으로 한 산술적 증액률은 6.75%였으나 민감도 분석의 결과를 반영한 적정수준은 6% 이하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장기적 추정의 특성상 적용되는 가정변수 수준에 따라 변동폭이 클 뿐만 아니라 하위 구성집단간의 이질적 특성으로 산출되는 증액률의 편차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정 안정성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서는 보수적 관점의 접근이 필수적이다. 연구의 구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II장에서는 소득활동관련 연금의 주요한 수단으로 연기연금의 제도적 필요성을 검토하고, III장에서는 실제 사학연금 가입자 자료를 이용해 재정 중립적 증액률을 산출하고 주요 변수별, 특성 집단별 증액률에 대한 분석결과 및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IV장에서는 장기 재정안정성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 적정 증액률 산정 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되는 재무적 관련사항을 기술하였다.

The Study for Actual Application of Modeling Method for Master Controller of Coal-Fired Power Plant (석탄화력발전소 마스터 제어기에 대한 모델링 기법 실증적용에 관한 연구)

  • Lim, Geon-Pyo;Jeong, Tae-Won;Kim,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670_1671
    • /
    • 2009
  • 산업경제구조의 변화로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이 은퇴하고 경험이 적은 직원들이 그들의 업무를 대신하는 구조로 조직이 변화하고 있다. 동시에 녹색성장시대의 도래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설비에 대한 투자가 줄면서 점차로 노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불필요한 운전 과도현상에서 기인된 극단적인 손상은 설비자체 및 전력공급계통 전체에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석탄화력발전소 제어 시스템은 이러한 사안들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저비용 고효율 발전소 유지를 위해 중점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부분이다. 본 논문은 석탄화력발전소의 주구성요소인 보일러와 터빈을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기의 복잡한 로직을 모델 기반의 간단한 로직으로 개발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실제 발전소에 적용하기 위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실제 발전소는 많은 위험요소들을 안고 있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나는 급격한 제어동작을 수용할 수 없을 경우도 있으며, 실제 다른 많은 변수들이 제어불안정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차후 실제 적용한 결과는 예측제어의 사용과 같은 제어시스템 향상을 위한 개발과 운영효율 향상에 사용될 것이다. 튜닝 과정에서의 연구결과는 시간절약과 제어부분 결함제거 등 직원들의 전문지식 향상 등에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Crop planting data acquisition using the IOT (IOT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 데이터 취득에 관한 연구)

  • Cho,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55-5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작물재배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초심자를 위하여 IOT를 이용하여 작물 재배에 필요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가 진행되면서 도시농업의 증가와 정밀 고소득 장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어 이에 필요한 작물의 재배자료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각각의 작물에 따른 최적의 재배데이터를 계측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작물 재배 데이터의 취득은 작물 데이터를 취득하는 계측 및 제어부와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작물재배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부분으로 구성되며, 계측 및 제어부에서 재배환경의 온도, 습도, 그리고 광량, 수분공급시기, 영양분 투입 데이터를 계측하여 일정 시간마다 서버로 저장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IOT를 이용하여 작물 재배에 필요한 데이터는 최적의 작물 생장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비전문가의 농업활동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리라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Omni's Senior Service Support System Using Big Data Analytics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한 노인의 주기별 옴니서비스 지원시스템)

  • Park, Gyeongsu;Kim, Kwangsil;Kim, Chang Gi;Seo, Je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75-176
    • /
    • 2016
  • 최근 빅 데이터 및 분석기술을 이용한 분야가 다양화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사회복지분야로의 적용은 매우 미약한 것이 현실이다. 사회복지분야에서의 빅 데이터를 이용한 각종 개인화 복지 서비스의 제공은 경제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들에게 모두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사회 조직으로부터 은퇴하거나 떨어져서 개인적인 삶을 영위해야 하는 노인들에게 있어 그들의 라이프 로그와 같은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복합적이며 융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법은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인들의 빅 데이터를 이용한 시간의 흐름별 옴니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그들의 환경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Study on the public interest type of the senior's job programme, Efficiency measures in the market-type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공헌형, 시장진입형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Cho, Woo-H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12
    • /
    • pp.349-357
    • /
    • 2014
  • Korea is going to the structure of low fertility and aging population, which is so difficult to find a precedent in the world. Furthermore, since population structure is changing to the upside down pyramid type, it acts as a factor that makes the production population matters worse. In this situation, senior's job programme has fixed those problems to a certain extent, but more effective support system should be provided in the respect of economic and social integration. Also efforts should be made for a view to a wide range of job creation and dissemination. Decent jobs can be created in the area of culture, welfare, health care, tourism, by utilizing skills and experience that senior had before they retired.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an efficient measure of senior's job programme.

Old Age Early Retirement and Careering Ending Patterns : Centering around the US Older Men (노년기 조기퇴직과 경력마감 형태 : 남성노인을 중심으로)

  • Lee, Hyun-K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2
    • /
    • pp.33-61
    • /
    • 200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arly retirement and the subsequent career ending patterns and explain the phenomena in terms of social security policies and labor market perspectives. Although many older workers retire early, there are very few studies to examine how the retirees end their careers after quitting the long-time jobs. The paper investigates individual work experiences 55 through 61, identifies the career ending patterns, constitutes the micro and macro analytical models to estimate the impacts of labor market and work-related variables. The findings show that many older workers have diverse career ending patterns after long-time career jobs, that is, still working at age-55 job, exiting and reentering, sporadic work, retired permanently from age-55 job, a repeat of labor force entry. Also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pension, social security, labor market condition, work structure variables better explain the career ending behaviors than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f health, education, attitudes toward retirement and job, ethnicity.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oretical importances of labor market perspectives and policy implications at the end of the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