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부관계변인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7초

부모의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Inter-Parental Conflicts on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 조아라;양명숙;전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177-18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대전, 충청권 지역의 인문계고등학교 총 7개 곳을 선정하여 고등학생 2학년을 대상으로 총 73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부모의 부부갈등, 청소년의 정신건강,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부모의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부모의 부부갈등을 높게 지각하는 청소년이라도 회복탄력성에 따라서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은 정신건강의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하여 부모의 부부갈등을 감소시키고,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교육정책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부모의 이혼 유무와 부부갈등에 따른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Undergraduates: Focusing on the Divorce Status and the Marital Conflict of their Parents)

  • 한영숙;양명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379-387
    • /
    • 2020
  •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 여부와 부부갈등에 따른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은 정신건강, 커플관계탄력성, 부모자녀관계와 자아분화를 통하여 비교하였고, 부모의 이혼과 부부갈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혼을 하지 않은 부모들은 고갈등부모와 저갈등부모 자녀집단으로 나누어 이혼부모 자녀집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7개 지역에 위치한 4년제 1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 방법은 빈도분석과 t-검증, 상관분석, 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을 살펴보면, 대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은 부모가 이혼한 집단의 대학생들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고, 부모자녀관계와 자아분화는 이혼하지 않은 부모의 대학생들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커플관계탄력성은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자녀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이혼은 하지 않았지만, 부모의 부부갈등이 높은 집단의 대학생들이 가장 심리적인 적응의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 자체보다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심리적 적응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부-모간 양육행동(Coparenting)의 관련 변인 : 부부관계의 질, 어머니의 인성 특성 및 아동의 초기 기질 (The Correlates of Coparenting : Marital Quality Mother’s Personality, and Childrens’Initial Temperament)

  • 김수진;도현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5호
    • /
    • pp.101-114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coparenting, marital quality, mothers’personality and children’s initial temperament. Subjects were 174 mothers of 4~6 year-old children, and they answered questionnaires regarding coparenting, marital quality, personality, and initial temperatment of their children. For mothers of both boys and girls, positive marital quality wass related positively to warmth, support, and integrity coparenting and negatively to conflict coparenting. Only for mothers of girls, higher warmth and integrity coparenting was shown when they were extroverted. while those who were neurotic showed higher conflict coparenting. For mothers of boys, support coparenting was low when their sons were emotional. Mothers of girls showed lower level of warmth and integrity coparenting when their daughters were avoidant. emotional and sensitive.

  • PDF

사회적지원, 부부갈등, 자기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행동간 경로분석 (A Path Analysis of Social support, Marital conflict,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i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f infants)

  • 김종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24-393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원, 부부갈등, 자기효능감, 그리고 양육스트레스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이 양육행동에 각각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조사한 "한국아동패널연구: 2009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대상자는 11~18개월의 영아 1,467명(남아 739명, 여아 728명)의 어머니이고, 연구방법으로 양육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원, 부부갈등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했으며, 이들 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양육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원, 부부갈등과 양육행동 간의 상관은 사회적지원, 자기효능감이 정적 상관(p<.01)을,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p<.01)이 있었다. 둘째, 양육행동에 대한 이들 변인들의 중다상관계수는 .533으로써 양육행동 변량의 28.4%를 설명하고 있다. 그 중에 양육스트레스(${\beta}$=-.396)가 가장 많은 변량을 설명하고, 다음으로는 사회적지원(${\beta}$=.223)이였다. 부부갈등은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지만 간접적인 효과는 확인된 것으로 보아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나타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유아의 대인관계형성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사회 인구학적 변인, 부부조망수용능력, 유아 대처반응 및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of Children: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Marital Perspective-taking Ability, Children Managing Respons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장윤희;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3호
    • /
    • pp.179-19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analyze the effects of marital perspective-taking ability, managing responses of young childre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of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young children aged from four to seven attending private kindergartens or public day care centers in Seoul or Kyeongki-do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First, marital perspective-taking abilities were indicated higher on boys than girls, children in a full-day program than those in a half-day program, university graduates or higher degree holders than collage graduates, single-income families than double-income families. In case of managing responses of young children, boys showed high avoidance of offensive disposition and girls showed high emotions dissipation. Also, young children in a full-day program showed non-responses on managing responses but high responses on emotions dissipation, and children of mothers with bachelor's degree or higher education showed support and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y showed no responses in high. Moreover,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in a full-day program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in a half-day program,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ere showed higher on girls than boys, half-day children than full-day ones, children from single-income family than those from double-income family. 2) Meaningful relationships were indicated between these variables; managing responses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by partly showing correlations. 3) Children in a half-day program with low in emotions dissipation, non-responses, offensive dispositional managing responses but high on Avoi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hi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어머니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행동 간의 관계: 부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Gatekeeping and Paternal Paren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mmunication)

  • 정미라;김민정;이방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55-373
    • /
    • 2015
  • 본 연구는 어머니 문지기 역할, 부부 간 의사소통, 아버지 양육참여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걸음마기 자녀를 둔 아버지 210명이며 변인측정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통계 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Baron과 Kenny(1986)의 4단계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어머니 문지기 역할은 아버지 양육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 문지기 역할은 아버지 허용 방임적 양육행동을 강화하였으며, 이 때 부부 간 의사소통은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있어서 올바른 부부 간 의사소통의 정립의 중요성을 밝히고 아버지 양육참여와 양육행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 연령범주별 분석 (Conjugal Role Sharing on Women's Marital Satisfaction)

  • 이여봉
    • 한국인구학
    • /
    • 제33권1호
    • /
    • pp.103-131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해 수집된 2008년도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유배우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임금노동분담과 가사노동분담 및 여가공유활동 등의 다차원적 부부역할에 주목하고, 여성의 성역할 태도 및 성장기 부모 간 친밀도와 여타 인구학적 변인을 고려하였다. 연령에 따른 생애발달단계의 특성과 출생집단별 경험의 차이를 고려하고자 각 연령대별로 표본을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이는 변수간의 연관성이 연령대에 따라 상이하게 혹은 유사하게 나타나는지를 관찰하고자 함이다. 관계만족도와 결혼행복도로 측정된 두 변수로써 결혼만족도를 개념화하고 관련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성장기 부모의 친밀도가 자녀의 결혼만족도와 정적인 연관성을 보이면서 세대 간 전이 가능성을 예시하였다. 임금노동차원에서 결혼행복도와의 관련성에서는 30-50대에서 남편홑벌이 가정의 아내가 가장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맞벌이 여성이지만, 관계만족도와의 연관성에서는 40대에서 맞벌이 여성이 남편과의 관계에 가장 만족하고 다음이 남편홑벌이 가정의 아내로 나타나면서 50대 여성과 차별화된다. 가사분담 차원에서는 30-50대 여성들에서 자신의 부담이 줄어들수록, 결혼행복도 및 관계만족도가 높다. 그런데 가사분담의 평등성 자체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30대 연령층의 경우 관계만족도와의 연관성에 관해서뿐이다. 부부가 함께 공유하는 여가활동이 많을수록 결혼행복도 및 관계만족도가 높아서, 여가활동을 함께 해야 할 필요성이 강력히 제시된다. 나이든 연령대일수록 건강 및 가족경제상황을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여가공유활동의 빈도가 낮으며 결혼만족도가 낮다. 이는 연령이나 결혼기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만족스러운 결혼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건강과 경제상황 및 여가공유활동 등의 여타 여건들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행동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개인적 노력과 더불어 친가족적 기업문화와 사회정책 등을 통한 지원이 함께 할 때, 가족과 사회 간의 선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다.

임신기 부부의 태아 관련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The variables affecting married couples' fetus-related stress during pregnancy)

  • 강수경;박수경;정미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017-102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etus-related pregnancy stress and temperament, parenting attitude, parent-fetal attachment, and marital quality. Respondents were 285 pregnant women and their spouses who participated in Pregnant Education Programs.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fetus-related pregnancy stress level of pregnant couples demonstrated a higher relationship while parent-fetal attachment level demonstrated a ver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ouses with regard to fetus-related pregnancy stress, parenting attitude, parent-fetal attachment, and marital quality.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가 부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연구 (A Influence Effect of Mid-life Religious Life and Faith Maturity on the Couples' Life Satisfaction)

  • 정진오;변상해;김종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5-288
    • /
    • 2009
  • 본 연구는 인생의 봄은 지나고 인생의 가을을 맞이하는 중년기부부관계는 결혼 전의 영향도 있지만 결혼 후에 발생하는 갈등요인이 더 많이 있다. 이유는 부부 사이의 태도와 안정되고 적절한 수입 그리고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이 부부생활만족과의 깊은 관계가 있다고 본다. C. G. Jung은 인생의 전반기를 자기확산기로, 후반기는 자기수렴기로 구분하였는데, 자기 확산기에는 외부적.물질적 자아에 몰두하는 반면, 자기 수렴기에는 종교적 철학적 직관적 정신세계에 몰두해야만 인생전체가 균형과 통합을 이루는 중년기로 보았다. 이는 중년기의 발달과 심리적 위기를 잘 극복하고 보내면 노년기를 행복하게 맞는다. 본 연구는 중년기의 정의와 중년기의 발달특성, 중년기에서의 종교와 종교에서의 부부관계와 중년기 부부변화가 무엇인가를 연구한 후 종교에 대한 이해를 중점으로 중년기부부 생활만족도에 대한 이론들을 문헌연구로 제시하였다. 양적연구는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의 변인들이 중년기 부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 내에 있는 35세 부터 60세 까지의 중년기를 연구대상으로, 2009년 3월 25일 부터 4월30일 까지 400명에게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 그리고 부부생활만족도 등을 설문하고 통계 처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의 관계에서 신앙성숙도의 봉사, 관계, 영성은 종교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 결과는 영성적, 개인적, 공식적종교 활동은 신앙성숙도에 영향이 있음을 말한다. 둘째, 종교 활동에 따른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종교 활동(t=31.36, p<.001)이 신앙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과 종교활동(t=33.81, p<.001)이 부부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그리고 신앙성숙도(t=28.64, p<.001)가 부부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종교 활동에 따른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에는 인과관계가 있음을 말한다. 셋째,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생활만족도에 대해서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 사이에 주요효과를 분석한 결과 종교 활동(F=15.95, p<.001)과 신앙성숙도(F=23.94, p<.001)는 부부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 사이에 관계성이 높은 것으로 기독교 불교 천주교의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가 중년기 부부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기혼 남녀의 부부 상호작용 변인이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ect of Marital Interaction Variables o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on Married Male and Female)

  • 서윤희;박정윤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권4호
    • /
    • pp.549-57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in variables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which worsen marital conflicts in terms of marital interaction and to clarify the relative effects of such variables. The subjects were 295 married males and femal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progra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the tendencies of related variables showed that the levels of spouses' perspective taking and routine marital responsiveness were higher for both males and females, while the levels of irrational belief for marital relations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were low. Second, an analysis of spouses' perspective taking, routine marital responsiveness, irrational belief in marital relations and correlations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howed that spouses' perspective taking and routine marital responsiveness for both males and females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dysfunctional communication. The higher spouses' perspective taking and routine marital responsiveness, the lower the level of irrational belief related to marital relations and the lower the level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This study clarifies that spouses' perspective taking, routine marital responsiveness and irrational faith for marital relations influence marital dysfuctional communication and has an implication, in that th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eeking methods to solve problems of couples who experience conflicts derived from dysfunctional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