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밴드 특징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46초

음악 장르 분류를 위한 부밴드 분해와 특징 차수 축소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subband decomposition and feature-dimension reduction for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 서진수;김정현;박지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4-150
    • /
    • 2017
  • 음악 장르는 음악 검색 및 분류 등의 정보 처리 시스템 구현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장르 분류를 위한 스펙트럼 특징은 음악의 화음 및 강약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부밴드로 분해하여 구해진다. 본 논문은 음악 장르 분류 성능 개선을 위한 특징 추출을 위한 부밴드 분해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또한 부밴드 음악 특징의 차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장르 데이터셋들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옥타브 스케일보다 세분화된 부밴드 분해가 장르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징 차수 축소를 결합하여 분류기의 계산량도 줄일 수 있음을 보였다.

압축 도메인 특징을 이용한 강인한 오디오 핑거프린팅 (Robust Audio Fingerprinting Using Compressed-Domain Features)

  • 서진수;이승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75-38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압축도메인 특징을 이용한 오디오 핑거프린팅 방법을 제안하였다. 압축도메인을 이용함으로써 계산량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오디오 압축에 널리 쓰이고 있는 MDCT 도메인을 이용하였으며, MDCT 도메인을 부밴드로 나누고 대표적인 모멘트 특징인 에너지, 무게중심, 평탄도로 부터 각각 핑거프린트를 얻었다. 추출된 특징을 차분 필터링하고 부호를 취하여 이진 핑거프린트를 얻었다. 실험을 통해서 고려한 MDCT 도메인 특징들로부터 얻은 핑거프린트들의 인식 성능을 비교하였다. 수 천곡 규모의 오디오에 대해서 다양한 변환에 대한 인식 성능을 고려하였으며, 실험결과 부밴드 에너지가 가장 우수한 핑거프린팅 성능을 보였다.

부밴드 스펙트럼의 무게중심을 이용한 강인한 오디오 인식기 (Robust Audio Identification Using Spectro-Temporal Subband Centroids)

  • 서진수;이승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39-24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의 주파수 및 시간 방향의 특성을 결합한 오디오 인식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스펙트럼의 형태를 모사하기 위해 부밴드로 나누고 주파수와 시간 방향의 무게중심을 구하고 정규화하여 인식기에 사용하였다. 무게중심 값은 스펙트럼의 형태적 특징을 잘 나타내면서도 간결하여 인식기에 사용되는 특징 DB의 크기를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 천곡 규모의 오디오에 대해서, 부밴드 스펙트럼의 주파수와 시간 방향 무게중심의 인식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주파수와 시간 방향 특징을 결합하면 상보적으로 인식 성능을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고, 선형 변환을 이용하여 주파수와 시간 방향 특징을 하나로 결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부밴드 블록 적응 필터의 수렴 속도 향상 (Convergence Speed Improvement of Subband Block Adaptive Filter)

  • 박봉수;이대영;강석종;류근택;배현덕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제13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7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부밴드에서의 수렴 성능 향상을 위하여 새로운 블록 LMS 알고리듬과 부밴드 각 적응필터에 가변 적응이득을 사용하는 가변 적응이득 블록 LMS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이들 알고리듬들을 유도하기 위해 새로운 비용함수를 제안하며, 유도된 비용함수는 적응 필터 계수에 대해 2차 형식인 특징을 가진다. 제안한 알고리듬의 수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밴드 LMS 알고리듬과 가변 적응이득 알고리듬을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비교함으로서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서브밴드 가중치를 이용한 잡음에 강인한 화자검증 (Noise Rabust Speaker Verification Using Sub-Band Weighting)

  • 김성탁;지미경;김회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9-284
    • /
    • 2009
  • 화자검증은 발성화자가 제시화자 (claimed speaker)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것이다. 기존의 화자검증 시스템인 GMM-UBM 방식의 화자검증 시스템은 무잡음 환경에서는 높은 검증성능을 보이지만, 잡음환경에서는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멀티밴드를 이용한 방법인 특징벡터 재결합방법이 제안되었지만, 특징벡터 재결합방법은 전체 서브밴드 특징벡터들을 사용하여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 발표된 이전 논문에서 각 서브밴드 유사도를 독립적으로 계산하는 변형된 특징벡터 재결합방법을 제안하였고, 본 논문에서는 변형된 특징벡터 재결합방법과 각 서브밴드들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가중치를 이용하여 잡음환경에서 기존의 특징벡터 재결합방법에 비해 에러를 28% 감소시켰다.

고유얼굴과 웨이블릿을 이용한 얼굴인식 (Face Recognition Using Eigenfaces and Wavelet)

  • 박상근;전준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340-342
    • /
    • 2003
  • 본 논문은 웨이블릿 변환을 통해 얻어진 부밴드들을 고유얼굴을 이용한 얼굴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여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고유얼굴을 이용한 얼굴인식 방법은 속도가 빠르고 단순하며 학습능력이 졸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훈련 얼굴영상들의 증가에 따라 계산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웨이블릿 변환를 통해 얻어진 해상도가 작은 부밴드 얼굴영상을 인식 과정에 사용되는 얼굴영상으로 사용함으로서 계산량의 증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얼굴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웨이블릿 변환시에 나타나는 하나의 저대역 부밴드와 세 개의 방향성분을 가진 부밴드 얼굴영상의 특징벡터들을 벡터적으로 결합하여 인식과정에서 사용하여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려 한다.

  • PDF

Wavelet 기반의 칼라와 질감 특징을 이용한 영상 검색 (Wavelet-based Image Retrieval Using Color and Texture Feature)

  • 정소영;이상미;정성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4-39
    • /
    • 1998
  • 영상검색을 위해 Wavelet 변환을 사용한 특징추출 접근방법은 영상들을 압축과 동시에 인덱스 할 수 있어서 영상 데이터베이스 저장과 관리의 복잡성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각 영상의 Hue값에 대해 위치 정보의 주파수 정보를 가지는 Wavelet 변환의 성질을 이용하여 2단계 Wavelet 변환 후 생성된 저대역 부밴드에서 칼라 특징을 추출하고 나머지 부밴드에서 질감 특징을 추출하여 영상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에 이용한다. 200개 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은 recall과 precision에서 약 97%, 81%의 검색 효율을 보였다.

  • PDF

웨이블렛 부밴드의 조인트 모멘트를 이용한 스테그분석 (Steganalysis Using Joint Moment of Wavelet Subbands)

  • 박태희;현승화;김재호;엄일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3호
    • /
    • pp.71-78
    • /
    • 2011
  • 본 논문은 웨이블릿 도메인 상에서 부모와 자식 부밴드간의 비독립성에 기반한 영상 스테그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커버 영상과 비밀 메시지가 삽입된 스테고 영상에 대해 3-레벨 Haar UWT 웨이블릿 변환을 수행하여 12개의 부밴드로 분해한 후 부모와 자식 부밴드간의 통계적 의존성을 분석한다. 이러한 통계적 의존성은 비밀 메시지가 삽입된 스테고 영상의 경우 커버 영상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므로 커버 및 스테고 영상을 구분하기 위한 특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분해된 12개의 각 부모와 자식 부밴드간의 조인트 특성 함수에 대해 첫 9차의 통계적 모멘트를 추출함으로써 총 72차의 통계적 조인트 모멘트를 특징 벡터로 사용한다. 추출된 특징 벡터는 MLP(다층 퍼셉트론 신경망) 분류기에 입력되어 커버 영상과 스테고 영상을 학습하고 판별한다. 제안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LSB 및 SS, BSS 삽입 방법에 의한 다양한 삽입률의 스테고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은 기존의 기법에 비해 삽입 정보 유무의 검출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판별의 정확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상검색을 위한 다중 영상특징 추출과 결합 방법에 관한 연구

  • 송석진
    • 방송과미디어
    • /
    • 제8권2호
    • /
    • pp.149-159
    • /
    • 2003
  • 현재 사회 전반에 걸쳐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기반 영상검색을 위한 다중 영상특징 추출방법과 특징결합 방법을 제시한다. 우선 전처리 및 캐니 에지 검출법으로 질의영상내 물체영역의 에지를 검출한다. 그 다음에 제안한 볼록 다각형 알고리즘을 통해 분할된 물체영상을 획득한다. 분할된 물체영상은 HSV 공간으로 변환되고 히스토그램 인터섹션 방법으로 유사도가 측정된다. 또한 분할된 물체영상은 웨블릿 변환 영상으로도 변환된다. 이러한 변환후 웨블릿 부밴드의 LL 영역에 제안하는 거리 밴드 평균 오토코릴로그램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오토코릴로그램 유사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GLCM을 이용한 엔트로피와 콘트라스트 유사도는 LH, HL 영역에서 측정된다. 전 과정을 통해 얻은 4개의 다중 영상특징은 수정된 보다 카운트 방법으로 결합되고 최종 유사도가 결정된다. 실험결과 제안한 다중 영상특징을 사용한 검색 방법이 단일 영상특징을 사용하는 검색 방법보다 소환성과 정확성의 성능에 있어 우수함을 보였다. 그리고 NMRR 측정에서도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Wavelet 변환 영역에서 칼라 정보와 GLCM 및 방향성을 이용한 영상 검색 (Image Retrieval Using Color feature and GLCM and Direction in Wavelet Transform Domain)

  • 이정봉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85-58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특징 추출을 기반으로 한 계층적인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조명 변화 및 영상의 이동과 크기 변화 그리고 회전과 같은 기하학적 변형에도 강한 속성을 가지는 영상 검색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질의 영상을 웨이블릿(Wavelet) 변환을 한 후 동일한 크기의 부영역으로 나누어진 저대역 부밴드에서 칼라의 특징으로 추출된 모멘트와 질감 특징인 GLCM(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의 Contrast를 사용해 유사 영상들의 1차 분류 과정을 거친다. 보다 정확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1차 분류된 후보 영상들에 대해 고대역 부밴드에서 추출된 수평, 수직, 대각선 방향별 에너지(Energy)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의 상대적인 성분 분포의 비교가 수행됨으로써 효율적인 영상 검색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