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 역할 스트레스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4초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문제행동과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 비교 (The Comparisons of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 Roles of Grandparents in Nuclear and Extended families)

  • Hyejung Jin Hwang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27-3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핵가족과 확대가족의 구조가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는 417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문제행동을 Children's Behaviour Questionnaire(CBQ:Rotter, 1967)에 의해서 교사가 평가하였으며, 아동은 그들 조부모의 역할을 Grandmother's Role Questionnaire(GRQ:Suh, 1991)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확대가족의 아동은 핵가족의 아동보다 문제행동을 덜 보였으며, 확대가족의 조부모가 손자녀를 정서적으로 지지하고 돌보아주며 생활에 간섭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에 핵가족의 조부모는 손자녀를 훈계하는 역할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확대가족에서의 조부모는 손자녀의 정서적인 안정을 뒷받침하고 또한 부모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며 가족의 화목한 분위기를 증진시키는 등의 역할을 통해서 손자녀에게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조부모의 역할은 아동의 문제행동에 근간이 되는 가족의 역동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 (The Anxiety, Diabetes-Related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Parents Who Have Child with Type 1 Diabetes)

  • 김미영;강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57-26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의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와 각 변수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술적 조사 연구로 자료수집은 2016년 1월 4일부터 29일까지 1형 당뇨 인터넷 카페에서 온라인 설문으로 이루어졌고 77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측정변수는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외상 후 성장이었다. 통계분석은 t-test,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가 종교가 있는 경우 외상 후 성장이 유의하게 높았고(p<.05), 자녀의 연령이 6세 미만인 경우(p<.05), 저혈당 경험이 있는 경우(p<.05)와 당화혈색소가 높은 경우(p<.05) 부모의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았다. 그 외의 변수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관관계에서는 불안과 스트레스가 정적 상관관계(r=.684, p<.001), 불안과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은 부적 상관관계(r=-.401, p<.001; r=-.327, p<.05)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외상후 성장은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중재와 불안과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가 부모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s Determinants of Parenting Practices among Poor Single Mothers)

  • 한경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4권4호
    • /
    • pp.263-27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explain parenting practices. Those factors considered are stress and characteristics of single-mother/child together with psychological distress experienced by the single mother. A total of 285 poor single mothers with a child attending elementary school or junior high school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ai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analyzed by the pa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poor single mothers rely on affectiv $e^portive involvement more frequently then punitive/inconsistent discipline.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enviromental factors such as financial stress living environmental stress and job status play important role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parenting practices with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distress.ss.

  • PDF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rried Immigrant Women's Parenting Experiences on their Mental Health)

  • 강복정;강기정;박수선;손서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451-459
    • /
    • 2016
  • 본 연구는 방문 자녀생활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아 및 초등학생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녀양육 경험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28일까지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방문 자녀생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4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역할 인식과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사회적 지지와 관계가 있었으며, 우울은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 월평균 가구소득, 자녀양육 변인인 부모역할 인식, 양육스트레스, 자녀발달에 대한 지식, 가족 및 사회 관련 변인인 결혼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은 자녀양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에 따른 부담감 감소 및 부모역할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교육 서비스가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형 부모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THE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PARENTING STRESS INDEX)

  • 염현경;신윤오;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1호
    • /
    • pp.70-78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형 부모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Abidin의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Parenting Stress Index)의 적용을 통해 기초연구가 수행되었다. 1차 예비조사는 $3{\sim}12$세 아동의 어머니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382부의 데이타로 요인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영역의 문항 47개 문항 중 29개 문항, 5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부모영역의 문항 54개 문항 중 28개 문항,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1차 분석에서 추출된 57개 문항에 대해 2차 예비 조사에서는 만 $3{\sim}6$세 유아의 부모로부터 수집한 392부의 데이터로 재분석하였다. 문항변별도 분석을 위해 문항-총점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r=.20 이하의 문항을 삭제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와 구조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구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영역에서는'부모강화', '수용성', '주의산만성', '요구성'의 4개 요인, 24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아동영역의 전체 공통분산 가운데 설명되는 공통분산은 82.05%로 나타났다. 부모영역에서는'역할제한', '우울감', '사회적 고립', '건강', '배우자 관계'의 5개 요인, 24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부모영역의 전체 공통분산 가운데 설명되는 공통분산은 82.40%로 나타났다.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 지수를 산출하였는데, 아동영역에서는 전체 신뢰도 ${\alpha}$=.81을 나타냈고, 각 요인별로 .69, .70, .67, .66을 나타냈다. 부모영역의 신뢰도 지수는 ${\alpha}$=.83이며 각 요인별로 .73, .70, .70, .55, .73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미국판 PSI 척도를 적용하여 한국에서의 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한국문화에 알맞게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따라서 추후 국내 문화에 알맞은 문항과 요인을 추가한 2차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목표달성이론에 근거한 적극적 부모역할훈련이 학령기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tive Parenting Today based on Goal Attainment Theory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atisfaction in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 박경임;오상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59-67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the Active Parenting Today (APT) program based on King's Goal Attainment Theory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atisfaction in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Methods: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39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19 in the experiment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registered at two community children centers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APT program (2 hours/session/week) and telephone counseling (2 times/week) for 8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t-test, Fisher exact probability test, and ANCOVA with the SPSS/Win15.0 program. Results: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negative parenting behavi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PT program based on King's Goal Attainment Theory is useful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creating positive parenting behavior change, and promoting parenting satisfaction in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부모역할 만족도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Parenting Satisfaction among Mothers of Preschoolers)

  • 정인경;김영혜;손현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449-45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level of satisfaction among mothers of preschool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359 mothers of firstborn healthy preschoolers.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November 21, 2012.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Results: The mean score for degree of mothers' parenting satisfaction was 5.94 out of 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arent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mother's job (t=2.48, p=.014), planned pregnancy (t=3.07, p=.002), number of children (t=2.22, p=.027), and parenting education (F=4.33, p=.005).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f age of spouse (F=3.06, p=.048) and monthly income of the household (F=2.87, p=.036) also seemed to have an influence. Analysis of predictors such as the mother's job, planned pregnancy, parenting education, overall health problems, parenting stress, perception of emotional status and behaviors in children, age of spouse, and spouse's support explained 31.5% of the variance in mother's parenting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a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parenting stress reduction, and health programs for fathers to support mothers' child rearing.

부모역할행동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renting Style Inventory(PSI))

  • 김은정;김영아;김유진;문수종
    • 아동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19-23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hat can be used to measure critical aspects of a parent's attitude and behavior that influence child development and adaptation. This instrument is named Parenting Style Inventory and self-reporting assessment of parent for preschoolers. We reported findings from 578 preschooler's care-givers. Fiv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55 items developed for preschooler version and finally 29 items were selected. Subscales were empathy, respect, parental authority, coerciveness, perfectionism. Internal consistency of these subscales were .77, .86, .70, .74, .68 relatively. Empathy, respect and authoritative scales were regarded as the basic dimensions of parent's behavior. For clinical validation, we divided the preschooler care-giver sample into 8 groups according to scores of the basic dimensions and compared the 8 groups with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elf-efficacy sco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basic factors w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parental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We suggested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instrument.

  • PDF

아버지의 부모로서의 유능감, 역할만족도,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유아의 정서조절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ternal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arental satisfaction, conflict-coping behaviors,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on preschooler's social skills)

  • 김지현;한준아;조윤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63-47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ternal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aternal satisfaction, conflict-cop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on preschooler's social skills. Participants were 85 5- to 6-year-old preschoolers(41 boys, 44 girls) and their fathers. The Social Skill Rating Scale(Suh, 2004),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Shin & Chung, 1998), the Parental Satisfaction Scale(Seo & Lee, 2002), Conflict-coping behaviors(Cho & Kim, 2000) and the Emotional regulation(Kim & Kim, 1999) were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boys' and girls' social skills. (2) parental satisfac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explained social skills - cooperation. (3) conflict-coping behaviors(rationality and request for others) and emotional regulation explained social skills - self-control. (4) emotional regulation explained social skills - assertion. In conclusion, parental satisfaction, conflict-cop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influenc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ubscale of preschooler's social skills.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거더의 부모멘트 구간 거동 (Flexural Behaviors of PSC Composite Girders in Negative Moment Regions)

  • 강병수;주영태;이용학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69-176
    • /
    • 2006
  •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거더(PSC-CFT girder)는 PSC 합성거더와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이중합성 작용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저항능력을 증대시킨 새로운 개념의 교량형식이다. 부모멘트 구간에서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갖는 합성거더의 휨 거동은 지간장 3.6m인 2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수행한 실험 결과로부터 분석하였다. 보요소를 사용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및 단면해석법에 의해 예측된 수치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의 비교를 통해 PSC 합성 거더와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합성작용에 대한 역학적 및 구조적 역할과 파괴메커니즘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