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만족도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8초

시설아동과 원가족 상호작용 프로그램 평가 연구 (A Study Evaluating a Program for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and their Original Families)

  • 김성천;장혜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91-9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아동과 원가족(연고자) 상호작용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과정과 성과평가를 통해 아동양육시설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언하는 것이다. 서울과 청주에 위치한 두 시설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참여자인 시설아동과 부모, 실무자를 대상으로 과정평가와 성과평가를 수행하였다. 우선, 과정평가에 나타난 문제점은 원가족(연고자)참여자 모집과 유지였다. 만족도를 살펴보니, 함께 거주하지 않는 가족의 특성상 다양한 체험을 공유하거나 소소한 일상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았고, 관계증진에도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성과평가를 살펴보면, 두 시설 모두 부모의 가족관계 변화정도가 사전보다 사후에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질적평가를 통해 단순히 일회성 활동 프로그램보다 캠프나 일상 생활에서 함께 하지 못했던 활동을 가족이 함께 하는 프로그램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났다.

배우자 선택시 여성의 개인적 자원과 부모관련 자원이 초기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Personal and Parental Resources of Women on the Early Marital Satisfaction)

  • 장은영;유지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9권2호
    • /
    • pp.127-14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change resources when women choose their spouse, and their marital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ose resources. For this, women under marriage of less than five years were subjected,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ge difference of the couple, and were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and parental resources when choosing their spouse on the early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and parental resources for each age difference of the married couple didn't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in general. Second, it is shown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of each age difference group that there is no particular meaningful difference. Finally,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exchange resources, the personal resources ha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value field in case of having the same religion. In case both the husband and wife were the second child or young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utual action field than there was when they were both first-born. In the emotional and the mutual action field of marital satisfaction,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een when the couple had the same kind of jobs than when wives had upper level jobs. Concerning the parental resources,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the mutual action field of the marital satisfaction when the parents of the both sides had the same level of scholastic attainment.

  • PDF

입원 아동 부모의 병원서비스 기대수준과 만족도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of Parents with Inpatient Hospital Service)

  • 최은경;김선희;정송이;조은희;최경숙;심소정;목미수;강은경;조윤경;변은숙;김경희;유일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2호
    • /
    • pp.228-23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pediatric inpatient care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parent satisfaction.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pediatric wards of a tertiary children's hospital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361 parents of children who were inpati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Pediatric Family Satisfaction Questionnaire) at the time of discharge. Results: The highest parent expectation domain was medical service. The parents were most satisfied with nursing service and least satisfied with general hospital service and accommodation. The parents expressed lower satisfaction with hospital facilities, equipment, noise, cleanliness, and communication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Parents with younger children reported higher expectation from the complete hospital service and those who had a longer length of stay reported higher expectation from the nursing service. Conclu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hospital services, we need to understand parent expectation and improve and provide clear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general hospital service and accommodation should not be overlooked for improvement.

발달장애 성인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가족탄력성,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The caregiving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and coping styles)

  • 이원남;김경신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5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valuate the overall process that the caregiving stress of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levels of family resilience, and coping styles on the basis of stress-coping-adaptation model of Lazarus and Folkman(1984). Method: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by 394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data was analysed by AMOS 20.0 version. Result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various paths that parents' caregiving stress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The model's goodness-of-fit was fine($x^2=225.20$, df=95, p=000. RMSEA=.06, TLI=.95).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ing stress and family resilience(${\beta}=-.36$, p<.001), emotion-focused coping style(${\beta}=.47$, p<.001), life satisfaction(${\beta}=-.53$, p<.001). Second, family resilience and emotion-focused coping showe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ing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strategies for enhancing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ervices for applying effective coping methods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diminish the caregiving stress of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중학생과 학부모의 청소년을 위한 건강가정 교육에 관한 요구도와 생활 만족도 (Healthy Family Educational Need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 이연숙;이윤정;정선희;전진유;김윤선;김하늬;손주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5-111
    • /
    • 2006
  • 본 연구는 청소년 건강가정교육에 대한 중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도와 관련변수를 분석하여 청소년 건강가정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674명과 학부모 5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방법, one-way ANOVA, Duncan 검증, pearson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은 가족관계영역에서 가족과의 열린 대화법, 친구와의 관계에서 친구에게 비춰지는 나, 소비생활영역에서 물건 구매 후 피해보상 받는 방법과 영양과 비만영역에서 자신의 신체와 외모에 대한 자신감 찾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들의 요구는 가족과의 열린 대화법, 친구를 잘 사귀는 방법, 저축방법, 자신의 신체와 외모에 대한 자신감 찾는 방법에서 높았다. 부모들의 경우는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관계없이 건강가정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내용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요구를 보이고 있다. 셋째, 중학생의 생활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는데 특히 친구관계에 대한 만족이 가장 높았고 부모와의 관계에서도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생활만족도는 중학생의 건강가정교육 요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서 학생들이 불만스러워하는 영역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아짐을 볼 수 있다.

  • PDF

가족간 식사, 통화 및 여가활동과 중년기의 행복 (Family Activities and Well-being in Midlife: Meal, Phone Conversation, and Leisure)

  • 김경미;류승아;최인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2호
    • /
    • pp.279-300
    • /
    • 2012
  • 가족은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구체적인 가족활동이 미치는 영향력을 광범위하게 살펴보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과 함께 식사하고, 통화하며, 여가활동을 보내는 것이 중년기의 행복, 건강 및 가족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5세(평균연령: 50.13세) 사이의 총 283명이었다. 독립변인은 배우자 및 자녀와의 식사횟수와 통화횟수, 가족과 여가활동을 보내는 시간이었고, 이에 따른 종속변인은 행복, 심리적·신체적 건강 불편증상, 가족만족도, 성생활 만족도 및 부모 효능감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기에는 배우자 및 자녀와 식사를 자주 할수록 행복, 건강, 가족생활 만족도가 높았으며, 통화를 자주 하는 것 역시 행복, 건강, 가족 및 성생활 만족도와, 부모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과 여가활동을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행복과 가족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과 함께 하는 일상적 활동들이 중년기 행복, 건강 및 가족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 경험적 결과임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PDF

어린이, 부모, 교사를 위한 웹기반 감염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 김동희;박정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30-43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감염예방 교육을 위하여 아동,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웹기반 감염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평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웹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결과,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 단계로 2015년 2월 1일에 시작하여 2015년 10월 5일에 웹기반 프로그램이 완성되었다. 완성된 웹사이트는 CHILD4HEALTH라고 명명하였다. 감염예방을 위한 교육 콘텐츠는 아동, 부모, 교사의 3 영역으로 구성된다. 대상에 따른 9개의 카테고리는 애니메이션, 어린이 사전, 엄마와 함께, 노래, 퀴즈, 게임, 부모를 위한 교육내용, 교사를 위한 교육내용, 가정통신문이다. 흥미와 교육적 효과를 위해 6개의 캐릭터가 개발되었다. 웹기반 교육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연구결과는 웹사이트, 신뢰도, 만족도로 제시된다. 웹사이트 평가결과, 부모들은 사용 용이성 $3.77{\pm}0.70$, 흥미성 $4.07{\pm}0.27$, 유아 적합성 $3.82{\pm}0.67$, 교육적 가치 $4.02{\pm}0.75$, 디자인 특성을 $3.65{\pm}0.53$점으로 평가하였다. 교사들은 사용 용이성 $3.98{\pm}0.37$, 흥미성 $4.00{\pm}0.17$, 유아 적합성 $4.34{\pm}0.60$, 교육적 가치 $4.25{\pm}0.43$, 디자인 특성을 $3.81{\pm}0.56$점으로 평가하였다. 신뢰도 평가는 부모 $8.33{\pm}0.62$, 교사 $8.50{\pm}0.73$, 만족도 평가는 부모 $7.80{\pm}0.77$, 교사 $8.10{\pm}0.74$이었다. 향후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교육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것이다.

소아정신과 환아 부모의 부부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OF CHILD PSYCHIATRIC PATIENTS)

  • 임계원;홍강의;이근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160-175
    • /
    • 1991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의 기본이 되는 부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부부관계와 부모자녀 관계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1987년 7월부터 9월사이에 소아 정신과에서 치료받은 환아의 부모들과 일반 아동이 부모들을 대상으로 결혼 만족도 검사(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 MSI)와 부부 적응도 척도(Dvadic Adjustment Scale ; DAS)의 두가지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환아 부모군은 환아의 진단면에 따라 정신증, 신경증, 틱, 자폐증, 정신지연의 5군으로 분류하였고 각군의 결과가 평가되었다. 1) 환아부모군은 대조군보다 결혼만족도가 낮다. 2) 환아부모군은 대조군보다 부부 적응도가 유의하게 낮다(P<0.01). 3) 환아부모군, 대조군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역할개념이 더 진보적이며 환아부모군에서 역할부담이 여자에게 편중됨으로써, 양육갈등(conflict in child rearing)은 모성 우월현상과 연관됨을 시사한다. 4) 원래 가족의 고통스러운 가족력(Family History of Distress)는 결혼의 정서적 의사소통, 성생활, 자녀양육과 연관이 깊다. 5) 결혼 만족도 검사(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 MSI)의 전반적 고통 척도(Global Distress Scale ; GDS)에 의하면 정신증, 신경증, 자폐증, 정신지체, 틱의 순서로 불만족도를 보였다. 6) 부부 적응도 척도(Dvadic Adjustment Scale ; DAS)에 의하면 정신증, 신경증, 틱, 자폐증, 정신지체의 순서로 부적응도를 보였다. 7) 틱군은 자녀양육 갈등 및 양육태도에 문제점을 시사하였고 부부관계 자체는 유의한 장애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로서 부부의 부적응 및 불만족은 자녀양육 및 자녀문제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소아의 정신증과 신경증군의 발병요인은 결혼 불만족과 부적응과 관련이 깊으며 자폐증이나 정신지연군의 발병요인은 결혼 불만족과 부적응과 관련이 깊지 않음을 시사한다.

  • PDF

유아교육기관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한 학부모 관점에서의 만족도 및 활용도 분석 (An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from the Parents' Perspective on the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임정희;한상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40-152
    • /
    • 2020
  •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해 학부모 관점에서 만족도와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5개 사립유치원에 자녀를 둔 학부모로 최종 443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구 통계적 기술통계, t검정, F검정 통계분석방법으로 이용에 따른 만족도, 활용도 차이를 확인하였고, 각 만족도 하위요인과 활용도 변수 간 영향 관계의 검증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부모의 직업 유무에 따른 만족도와 활용도 차이 t검정 결과, 전체 만족도에서 이용편리성, 전체 활용도에서 의사소통, 자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만족도와 활용도 차이에 F검정 결과, 만족도에서 학력은 모든 변수, 이용 동기는 교육 활용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용도에서 학부모 학력은 기본생활과 전체 활용도, 자녀연령은 의사소통과 자녀관계, 이용동기는 기본생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이용편리성, 의사소통, 교육활동만족도 등 모든 예측변수는 활용도 준거 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대적 기여도는 의사소통 만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관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학부모와 활발한 의사소통 및 교육 활동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교육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으로 유아기 학부모와 적극적인 의사소통과 교육활동에 활용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환경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의 상호작용 (Adolescent's Self-Esteem,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Interaction of Positive Self-Evaluation and Negative Self-Evaluation)

  • 정득;이종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73-284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3차년도(2012)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 2,040명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환경특성(부모친밀도, 친구친밀도, 교사친밀도, 학습적응도)과 개인특성을 고려하였다. 개인특성으로서 자아존중감을 긍정적 자아와 부정적 자아에 대한 평가라는 별개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였을 때,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서 두 평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했다. 즉 부정적 자아평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자아평가 수준에 따라 달랐는데, 긍정적 자아를 높이 평가할수록 부정적 자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음(-)의 영향은 감소했다. 또한 부정적 자아평가 수준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지만, 긍정적 자아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서는 삶의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부정적 자아 형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긍정적 자아 형성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정적 자아 형성의 문제해결을 넘어 긍정적 자아 형성을 위한 방안과 정책들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