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력식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3초

활하중 분포에 따른 콘크리트 부유식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조성능 및 거동 (Structural Performance and Behavior of Concrete Floating Container Terminal by Live Load Distributions)

  • 이두호;정연주;유영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72-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총 10가지 다양한 컨테이너 활하중 분포에 따른 콘크리트 부유식 컨테이너 터미널 하부슬래브의 휨응력분포와 변위분포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대상구조물의 구조성능과 거동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활하중 분포에 따른 구조성능 검토결과 3가지 하중분포 (A, B, D-type)는 인장거동을 보이며, 그 외의 7가지 하중분포 (C, E, F, G, H, I, J-type)에서는 압축거동을 나타내었다. 특히, D, F-type에서는 과도한 압축응력이 발생하였으며, 부력 프리플랙션 제어를 통하여 압축응력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활하중 분포에 따른 구조거동 검토결과 B, E, F, I-type에 대한 부유구조체의 기울기가 메가플로트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이와 같은 하중분포는 컨테이너 적하 시에 회피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부유식 컨테이너 터미널에 관련된 기준 및 연구가 많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조성능 및 거동을 검토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며, 사용 가이드라인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면에 발달하는 하층밀도류의 이차원흐름 (Bidirectional Spreading of Gravity Underflows on an Incline)

  • 최성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83-94
    • /
    • 1999
  • 대륙붕에서 부유사 하층밀도류는 양측이 수로에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주흐름방향인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흐른다. 횡방향흐름은 대륙붕 및 대륙붕사면을 따라 흐르는 밀도류의 종방향 도달거리를 크게 감축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사 밀도류 대신에 염수를 이용한 밀도류 실험을 대형 탱크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차원해석을 통하여 사면에서 밀도류의 흐름률에 관한 간단한 식을 개발하였다. 특성길이 및 특성시간은 유입부에서의 유량과 부력흐름률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유입부의 폭이 주어질 경우,개발된 흐름식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밀도류의 최대폭과 종방향으로의 전파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식에 의한 예측값과 관측값이 서로 잘 일치함을 보였다.

  • PDF

자기 변형 기술을 이용한 액체 밀도 측정의 보정 기술 (Calibration Technique of Liquid Density Measurement using Magnetostriction Technology)

  • 서무교;홍영호;최인섭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8호
    • /
    • pp.178-184
    • /
    • 2014
  • 자기 변형 기술의 거리 측정을 응용하여, 중력과 액체 밀도에 대응하는 부력의 평형 위치를 측정하는 액체 밀도 센서를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 액체 밀도변화에 따른 밀도 센서의 이동거리 사이의 관계식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액체 밀도 센서의 2 점 보정 방법을 마련하였다. 제작된 액체 밀도 센서 시스템과 유도된 관계식을 사용하여 액체의 밀도들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들을 U-tube 진동주기 측정방식의 고 정밀 밀도 측정기(Oscillating U-tube density meter: 분해능 0.000001 g/cc)의 측정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액체 밀도 측정 시스템간의 측정 편차가 0.001 g/cc 미만임을 확인하였다.

공기 제어에 의한 자동 부침 부자의 부침 성능 (Submerging Performances of Automatic Submersible Buoy Operated by Air Control)

  • 김태호;허정규;양경욱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743-749
    • /
    • 2010
  • 자동 부침식 가두리 시설을 개발하기 위해 가두리 시설을 구형 부자로 단순화하여 이것의 자동 침하 및 상승 관련 제어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실내 수조 실험을 통해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 결과의 수치와도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수치 모델 결과의 유용성을 재확인하게 되었다. 그리고 실물 실험에 대한 선행 연구로써 많은 변수들과 부력에 대한 비선형적인 메커니즘을 제어를 통해 극복하였으며, 이는 실물 실험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될 것이다.

제트 확산화염에서 $CH_4/O_2$의 화염길이 특성 (Flame Length Characteristics of $CH_4/O_2$ on Jet Diffusion Flame)

  • 김호근;이상민;김한석;안국영;김용모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28-1333
    • /
    • 2004
  • The Flame length of $CH_4$ with the Oxidizer of air and $O_2$ has been measured respectively for the nozzle diameter of 1.6mm, 2.7mm, 4.4mm and 7.7mm. In all $CH_4$ flame on oxidizer of air and $O_2$. the flame length was independent of the initial jet diameter, dependent only on the flowrate in laminar flame regime, and in turbulent flame dependent on the initial jet diameter. Using correlation equation of Delichatsios, the flame length has been expected exactly for $CH_4/air$ flame, but has been underestimated for $CH_4/O_2$ flame. This paper has proposed correlation equation of $CH_4/O_2$ flame.

  • PDF

내부 유체 슬로싱 효과를 고려한 부유이송 해상풍력 기초의 동적 안정성 해석 (Dynamic Stability Analysis of Floating Transport Wind-Turbine Foundation Considering Internal Fluid Sloshing Effect)

  • 홍석진;김동현;강신욱;강금석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3호
    • /
    • pp.461-467
    • /
    • 2016
  • 부유 이송식 해상풍력 기초를 목표 지점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중공부에 해수를 주입하여 착저 시키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중량 및 무게 중심과 부력중심이 변하게 되어 부유식 기초가 불안정해 질 수 있다. 부유 이송식 기초의 동적안정성 해석은 기초 외부의 수력학적 하중과 6-자유도 운동을 하게 되는 기초에 작용하는 파도와 조류 하중 및 설치 과정에서 기초 내부의 중공부로 투입되는 해수의 무게중심 이동까지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비정상 CFD 기법과 다물체 동역학 기법을 연성 (coupling)한 정밀 해석기법을 적용하여 부유 이송식 기초 내부 물의 슬로싱 운동까지 고려한 동적안정성 해석을 수행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CPW 전송선을 이용한 전자식 자동차용 연료 센더 장치 (Electric Fuel Sender Apparatus for the Vehicles Using CPW Transmission Line)

  • 손태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80-386
    • /
    • 2006
  • CPW(Co-Planer Waveguide) 전송선을 이용하여 자동차 연료 게이지 시스템인 전자식 연료 센더를 개발 제작하였다. 전송선 주위의 물질에 따라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되는 특성을 이용하였다. 자동차 연료통 속의 휘발유 혹은 경유의 높이에 따라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면 반사량이 달라지므로 반사된 전압을 증폭함으로써 기존의 기계식 장치를 대체하는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브이(buoy)에 의한 부력과 연동된 저항 변화를 이용한 기존의 floating 방식이 갖는 기계식 작동 고장을 없애고, 유량 높이 오차를 줄이도록 하였다. 두께 1.6 mm의 Epoxy 기판에 CPW 전송 선로 및 제반 전자 장치를 구성하여 실측한 결과 기존 시스템에 비해 높이 오차가 적고 선형성이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이 시스템은 PCB상 SMT로 제작되어 저가이면서도 양산성이 좋고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기존 시스템과의 경쟁력에서 우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발열체가 존재하는 개방된 정사각형공간에서 표면복사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Radi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an Open Cavity with a Heat Source)

  • 남평우;박명식;박찬우
    • 태양에너지
    • /
    • 제12권3호
    • /
    • pp.70-83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개방된 정사각형 공간안에 일정한 열유속을 방출하는 발열체가 존재할 때, 부력과 표면복사를 고려한 혼합대류특성을 수치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유입구를 통해 유체가 흘러들어와서 다시 유출구로 나가는 정사각형공간은 공냉식 전자장비를 모사한 것이다. 이러한 공간안에 존재하는 발연체는 전자칩과 같은 발열성 전자부품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모델의 크기는 높이 X 넓이가 $0.1[m]{\times}0.1[m]$이며 공간내부는 2차원 층류유동으로 간주하였다. 공기의 유입속도는 0.07[m/s]이고, 유입온도는 $27^{\circ}C$이며, 유입구의 위치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주요 변수로는 발열체의 열유속, 유출구의 위치, 발열체의 위치, 그리고 벽면이 방사율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어지는 찬공기와 발열체에 의해서 부력의 상승하는 뜨거운 공기의 혼합에 의한 유동특성 및 열전달특성을 복사를 고려하여 고찰하였다. 결과로써 가장 열전달이 활발한 발열체의 위치는 바닥의 좌측벽으로부터 0.075[m]일때이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적으로 전자부품 같은 것의 효율적인 냉각목적에 적용되어질 수 있다.

  • PDF

홍수 규모별 대청호 유입 하천 밀도류 침강점 변화 (Variation of the Plunging Points of Inflow Density Currents in Daecheong Reservoir with Different Flood Magnitude)

  • 윤성완;정세웅;예령;최정규;오동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73-1377
    • /
    • 2008
  • 강우-유출에 의해 성층화된 저수지로 유입하는 하천수는 저수지 표층에 비해 낮은 수온과 높은 부유물질(SS) 농도를 가지므로 저수지 표층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유지한다. 하천으로부터 유입한 밀도류는 유속에 의한 관성력이 두 수체의 밀도차에 의한 음의 부력보다 큰 구간까지는 저수지 표층을 따라 진행하지만, 두 힘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밀도류는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저수지 수면 아래로 침강하며 이 과정에서 수체간의 많은 혼합이 일어난다. 따라서 홍수시 유입한 탁수의 침강점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수질관리를 위한 현장조사, 그리고 탁수거동 해석 및 최적관리대책 마련에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홍수시 대청호로 유입하는 하천 밀도류의 침강위치를 홍수규모별로 경험식과 수치모델을 통해 산정함으로써 두 방법 간의 장 단점을 비교하고, 탁수 현장조사와 최적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유입수의 모의조건은 그 동안 대청호에서 발생한 홍수 크기를 기준으로 9개의 등급으로 나누었으며, 저수지 성층조건은 여름철 탁수가 유입되기 전의 발달된 성층구조를 적용하였다. 유입수와 저수지 성층구조의 특성치는 밀도 Froude 수($Fr_i$)로 나타냈으며, $Fr_i$ 조건별로 침강점 위치를 저수지 단면을 삼각형태로 가정한 Hebbert et al.(1979) 경험식과 2차원 수치모델로 산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청호로 유입한 탁수는 홍수규모에 따라 대정리 수역에서 회남수역 사이 구간에서 침강하였으며, $Fr_i$ 값이 클수록 침강점 수심이 깊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경험식으로 산정한 침강점 수심은 정상상태 조건을 가정하므로 홍수에 의한 수위변화를 고려하지 못하며, 실제의 불규칙한 하상표고를 일정한 하상경사로 가정하기 때문에 2차원 모델의 결과보다 과대산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홍수가 연속해서 발생하며 수위변화가 심한 국내 저수지 여건에서 하천 유입 밀도류의 거동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2차원 또는 3차원 수치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조선시대 거북선 모델에 따른 내부 갑판구조 연구 (Study on Internal Deck Structure of Turtle Ships Developed in Chos$\breve{o}$n Dynasty Era)

  • 한원흠;정형식;이문호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71-879
    • /
    • 2011
  • The internal deck structure of turtle ship has been investigated with the following approach manner. Firstly the 5 species of turtle ship are identifie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5 turtle ships revealed by the librarian or paintings. Secondly the centers of gravity and buoyancy for each type a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turtle ship's buoyancy stability. Thirdly the optimal deck structures for 5 turtle ships are additionally asses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interoperability of soldier's missions to get more meaningful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btained by the well refined analyses above, one can identify that Changjeguyseon and Lee Chung Mu Gong descendent family's turtle ship possess one layer deck, and the tongjeyoung and jwasuyoung turtle ship consist of 1 and half story deck, and the one disclosed by Yoon has 2 story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