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단수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Studies on Screening Rice Cultivars for Drought Resistance I. Screening at Seedling Stage (수도 한발저항성 품종 선발에 관한 연구)

  • Hak-Soo SUH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4 no.3
    • /
    • pp.7-12
    • /
    • 1979
  • Seven hundred and forty eight rice cultivars were screened for drought tolerance at seedling stage in a special green house. A number of cultivars such as Wonkiljo, Hanyangdo, YR 52-$_{x}\textrm{BF}_7-67, Satominori, Mamoriaka, Akanomochi 114, Thkebenimochi, IR 937-55-3, IR2735-F_3B-6-2, IR 2871-53-2, $_{x}\textrm{BFI76}^9/Dwan, Khoo lliok Mali-4-2-105, Os6, Palawan, IRAT10, TOS 2583 and H-l05 seemed to be tolerant to drought at seedling stage.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rought resistance score and growth of plant height and water content of culm and leaf after drought treatment, an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istance to blast and resistance to drought at seedling stage.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drought resistance and germination speed, plant height before drought treatment.

  • PDF

A Fundamental Study on Leak Detection System for Water Supply Valve Using Smart Bolt (상수도 밸브 누수 탐지용 스마트 볼트 적용의 기초 연구)

  • Park, Chul;Kim, Young-seok;Jung, Hae-Wook;Choi, Sang-sik;Lee, Yong-Beo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1
    • /
    • pp.144-154
    • /
    • 2020
  • Purpose: This paper is a fundamental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he smart bolt developed for monitoring system to detect the leakage of water supply valve. Method: A leak detec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smart bolt having embedded strain sensors and accelerometer. The smart bolt used in study meets the allowable criteria of torque and tensile stress for water supply system, and it can be applied to a joint of the water supply valve by behaving well within the allowable limits. Result: As a result of the simulated leak tests, a leak signal at the valve leak point was detected in a band of 60Hz, and the main pipe leaking point was observed to produce a leak signal having much higher frequency than that of the valve leak point. This seems to result in a total coupled vibration under unconfined conditions of the pipes. Conclusion: The smart bolts appeared applicable to detecting a leaking signal from the water supply valve.

Genome Size Estimation of the Two Wing Morphs of Vollenhovia emeryi (Hymenoptera: Myrmicinae) (에메리개미 (Vollenhovia emeryi Wheeler)의 날개이형체의 유전체 크기 추정)

  • Noh, Pureum;Park, Soyeon;Choe, Jae Chun;Jeong, Gilsang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7 no.4
    • /
    • pp.317-322
    • /
    • 2018
  • In Vollenhovia emeryi (Hymenoptera: Myrmicinae), the queen and the male are known to be clonally reproduced. Its colonies can be classified into the two morphs with the wing length of the queen caste. The morph with normal wings is called the long-winged and the other the short-winged that is brachypterous. Even though the two morphs are considered a species, investigation on the species status of the two morphs was suggested with natural separation in nature and the distinctive wing morphology. It has yet to be determined whether the clonally reproduced queen caste is haploid or diploid. Our data clearly show that the two morphs are the same species and the queen caste is diploid on the basis of the genome size data comparison.

향류식 역삼투 농축공정을 이용한 NaCl 용액의 농축연구

  • 조한욱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b
    • /
    • pp.3-10
    • /
    • 1997
  • 제염농축공정은 증류, 증발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나,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전기투석 (Electro dialysis)장치를 증발기 선단에 도입한 복합공정을 국내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기투석장치는 전기적인 소모와 막의 재생, 교체처리비가 문제점이 되므로 역삼투 장치를 제염농축 공정 최선단에 도입한 복합공정을 이용할 경우 전기 투석 및 증발 복합공정에 비해 40%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역삼투 공정은 공급용액의 삼투압보다 큰 적용압력을 막표면에 가하여 물질분리를 수행하므로 농축공정에서 유발되는 배제액 농도의 상승은 삼투압의 증가를 일으켜 실적적용압력의 효과를 떨어뜨리게 되며 결과적으로 농축효과를 감소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염농축 공정을 위하여 막모듈 투과부에 고농도 삼투압 감소액(osmotic sink solution)을 향류식(막투과흐름을 맞받아치며 흐르는 방식)으로 유입시키는 향류식 역삼투 (counter-current reverse osmosis, CCRO) 나권형 모듈을 고안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모듈을 기존 역삼투 공정과 향류식 염삼투 공정에 적용하여 염농축도의 성능을 상호 비교하고 염농축에 관계되는 공급농도, 공급유량, 투과유량, 배제유량, 향류 유입유량, 압력구배, 삼투압차 및 농축단수 등의 인자들을 이용하여 두 공정에 대한 염농축 분리조작의 제반조건과 제작된 모듈 내의 농축관련 특성을 실험 및 수치적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 PDF

Water Pipe Deterioration Assessment Using ANN-Clustering (ANN-Clustering을 이용한 상수관로 노후도 평가)

  • Lee, Slee Mi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10-110
    • /
    • 2018
  • 상수관로의 노후화는 단수유발, 수압부족 및 수질악화, 싱크홀 발생 피해와 누수로 인한 경제적 손실 등을 초래한다. 최근 상수관로의 노후화에 의한 피해가 심각해짐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전국적으로 노후관로를 개량 및 교체하는 작업을 시행하고 있다. 다만, 모든 노후관로를 일시에 보수 및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사용 중인 관로의 노후도를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개량우선순위를 결정해야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상수도 기술진단' 매뉴얼에 따른 관망성능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상수관로의 노후화 정도를 평가하고 있다. 이는 평가항목 별로 기준을 나누어 조건값과 가중치를 부여하고, 총 점수를 합산하여 해당 관로의 평가 점수에 따라 등급을 판정하게 되는 점수평가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점수평가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ANN(Artificial Neural Network)-Clustering 기법이 상수관로의 노후도 평가를 위한 새로운 평가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강원도 Y지역의 상수관로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기존의 관망성능평가 항목을 이용하여 전체 관로를 세 가지 등급으로 분류하여 노후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ANN-Clustering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기존의 점수평가법 결과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체 대상관로의 노후도 정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계산된 노후도 등급을 관망도에 도시하였다. ANN-Clustering방법은 관로의 다양한 특성값을 손쉽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점수평가법과 더불어 상수관로의 유지관리를 위한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관망성능평가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Ultrasonic Multi-Beam Sludge Meter For Effluent Facilities Automation (정수장에서 배출수 공정 자동화를 위한 초음파 다중빔 슬러지 농도계 개발)

  • Jang, Sang-Bok;Hong, Sung-Taek;Chun, Myung-Ge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9
    • /
    • pp.2313-2321
    • /
    • 2014
  • A concentration meter is widely used at purification plants, sewage treatment plants and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to sort and transfer high concentration sludge and to control the amount of chemical input. This study has been prepared for improving efficiency of operation on sludge processes and to establish a basic for factory automation by accuracy improvement and problem solution of sludge concentration meter. The concentration meter's accuracy and stability is improved by applying multi-beam sensors and minimum deviation linear average filtering. Furthermore maintenance without cut-off of water in sludge operation is possible by detachable sensors. The performance of multi-beam concentration meter has been variously verified by the pilot plant experiment.

Estimation of Heading Date using Mean Temperature and the Effect of Sowing Date on the Yield of Sweet Sorghum in Jellabuk Province (평균온도를 이용한 전북지역 단수수의 출수기 추정 및 파종시기별 수량 변화)

  • Choi, Young Min;Choi, Kyu-Hwan;Shin, So-Hee;Han, Hyun-Ah;Heo, Byong Soo;Kwon, Suk-Ju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4 no.2
    • /
    • pp.127-136
    • /
    • 2019
  • Sweet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compared to traditional crops, has been evaluated as a useful crop with high adaptability to the environment and various uses, but cultivation has not expanded owing to a lack of related research and information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heading date in 'Chorong' sweet sorghum based on climate data of the last 30 years (1989 - 2018) from six regions (Jeonju, Buan, Jeongup, Imsil, Namwon, and Jangsu) in Jellabuk Province. In addition, we compared the growth and quality factors by sowing date (April 10, April 25, May 10, May 25, June 10, June 25, and July 10) in 2018. Days from sowing to heading (DSH) increased to 107, 96, 83, 70, 59, 64, and 65 days in order of the sowing dates,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was 77.7 days. The effective accumulated temperature for heading date was $1,120.3^{\circ}C$. The mean annual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Jeonju,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Jeongup, Buan, Namwon, Imsil, and Jangsu. The DSH based on effective accumulated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d in all sowing date treatments in the six regions during the last 30 years. DSH of the six region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ean temperature (sowing date to heading date) and predicted DSH ($R^2=0.9987**$) calculated by mean temperature was explained with a probability of 89% of observed DSH in 2017 and 2018. At harvest, fresh stem weight and soluble solids content were higher in the April and July sowings, but sugar content was higher in the May 10 ($3.4Mg{\cdot}ha^{-1}$) and May 25 ($3.1Mg{\cdot}ha^{-1}$) sowings. Overall, the April and July sowings were of low quality and yield, and there is a risk of frost damage; thus, we found May sowings to be the most effective. Additionally, sowing dates must be considered in terms of proper harvest stage, harvesting target (juice or grain), cultivation altitude, and microclimate.

Safety factor simulation of the transplanter bevel gear by planting condition (주간거리에 따른 정식기 베벨기어의 안전율 시뮬레이션)

  • Kim, Du Han;Choi, Chang Hyun;Jang, Hyeon Jun;Kim, Yong 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5-15
    • /
    • 2017
  • 본 연구는 필드 작업 시 작업조건에 따른 정식기의 PTO 부하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작업조건에 따른 안전율 시뮬레이션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부하 계측 시스템은 PTO 축의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토크 센서, 토크 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장치, 노트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컨트롤러로 구성하였다. 토크센서에서 입력된 부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Labview(Version 2011, National Instrument, USA)를 사용하였다. 포장시험은 유사한 토양 조건에서 4회 반복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작업속도 고속 조건에서 4개의 주간거리(26, 35, 43, 80cm)와 3개의 식부깊이 (85, 105, 136mm)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안전율 시뮬레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KISSsoft(Version 2016, Kissling & Co. AG, Switzerland)를 사용하였다. 식부깊이 85mm에서 주간거리 26, 35, 43, 80cm일 때 작업시 각각 굽힘 안전율은 2.2874, 2.4507, 2.7139, 2.8064로 나타났으며 접촉 안전율은 1.1787, 1.2799, 1.3205, 1.3275로 나타났다. 식부깊이 105mm에서 주간거리 26, 35, 43, 80cm일 때 작업 시 각각 굽힘 안전율은 2.1261, 2.2781, 2.4879, 2.5866로 나타났으며 접촉 안전율은 1.1296, 1.1425, 1.2710, 1.2507로 나타났다. 식부깊이 136mm에서 주간거리 26, 35, 43, 80cm일 때 작업 시 각각 굽힘 안전율은 1.6587, 1.6651, 1.7824, 2.2198로 나타났으며 접촉 안전율은 1.0030, 1.0104, 1.0450, 1.1931로 나타났다. 주간거리에 따른 식부깊이의 굽힘 안전율과 접촉 안전율은 가장 차이가 큰 주간거리 80cm에서 식부깊이가 85, 105, 136mm일 때 작업 시 각각 굽힘 안전율은 2.8064, 2.5866, 2.2198로 나타났으며 접촉 안전율은 1.3275, 1.2507, 1.1931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결과 정식기 베벨기어의 안전율은 주간거리가 짧을수록, 식부깊이가 깊을수록 더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식 작업 시 정식기의 부하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작업조건을 선정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향후 다양한 토양 조건 및 작업 단수 등에 따른 포장시험을 추가로 진행하여 여러 조건에서의 안전율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예정이다.

  • PDF

Multi-Strata Lexikon vs. Constraintranking: Degemination im Deutschen (다층어휘부와 어휘부 대 제약우위도)

  • Yu Si-Taek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1
    • /
    • pp.313-348
    • /
    • 1999
  • 이 논문은 독일어의 겹자음회피현상을 설명함에 있어 어휘음운론에서의 분석이 보이는 문제들을 지적하고, 이 문제들이 제약에 바탕을 둔 이론에서는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가를 보인다. 제약들간의 상호작용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단일형태실현제약 (Uniform Exponence)으로서, 이 제약을 통해 독일어 동사의 현재시제, 단수, 2인칭 형태와 3인칭형태에서 나타나는 겹자음회피현상이 동사의 어형변화표 (Verbparadigma)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규칙들을 통해 2인칭과 3인칭의 올바른 형태를 각각 개별적으로 찾아내는 어휘음운론의 분석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왜냐하면 어휘음운론의 분석에 따를 때, 예를 들어 3인칭 동사 arbeitet에서 Schwa 모음의 삽입은 겹자음회피를 위해 일어난다고 설명되지만 겹자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Schwa 모음이 마찬가지로 삽입되는 2인칭동사 arbeitest는 설명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분석에서는 2인칭 형태와 3인칭 형태가 서로 아무런 관련 없이 각기 따로 존재하게된다. 이에 반해 단일형태제약은 이 두개의 형태를 동시에 비교하므로, 동사 굴절형태에서 마치 불필요한 것으로 보이는 모음삽입이나 자음탈락의 원인에 대해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즉 2인칭 형태와 3인칭 형태는 보다 상위의 제약들이 막지 않는 한 서로 최대한 비슷한 형태를 가지려고 한다. 이 논문은 겹자음 회피를 위한 수단으로서 모음삽입이나 자음탈락은 오로지 이를 통해 동사의 어형변화표가 좋아질 때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규칙이론이 포착하지 못하고 있는 중요한 일반화를 제시하고 있다. 단일형태 실현제약의 중요성은 접두사 in- 과 un- 이 어간과 결합할 때 보이는 대조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여기서도 어휘음운론의 다층어휘부 구조에 의한 설명이 갖는 문제점이 제약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해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VII-1 및 VII-2공의 3600 m 하부층은 건성 가스 생성 단계에까지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JDZ VII-1, VII-2 시추공의 3500 m 하위 구간의 올리고세 퇴적층에서 유기물 함량 및 수소 지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매몰 심도가 깊어지면서 유기물이 열 분해되어 이미 탄화수소를 생성한 것으로 해석된다. JDZ VII-1 및 VII-2 시추공의 가스징후 및 길소나이트 (gilsonite)는 탄화수소가 생성되어 이동한 흔적을 시사한다.을 해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PLAYMAKER2가 보다 신뢰할 만한 퇴적환경 해석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으로 구축되기 위해서는 향후 많은 퇴적학 전문가들이 추가로 참여하여 기존 규칙들을 재검증하고 새로운 규칙들을 첨가함으로써 보디 세련된 지식베이스를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이며 세 개의 산소가 이루는 평면에서 $1.68{\AA}$ 소다라이트내로 이동하여 위치한다. 32개의 $Tl^{+}$ 이온은 결정학적 자리 II에 존재하고 있으며 산소와의 결합거리를 $2.70(1){\AA}$을 유지하면서 큰 동공속으로 $1.48{\AA}$ 이동하여 위치한다. 약 18개의 $Tl^+$ 이온은 결정학적 자리III에, 또 다른 10개의 $Tl^+$ 이온은 결정학적 자리III'에 존재하고 골조 산소와 각각 $2.86(2){\AA},\;2.96(4){\AA}$의 결합거리를 이룬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Water Supply and Demand Monitoring System and Drought Response Plan of Small-scale Water Facilities (소규모수도시설의 공급량-수요량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가뭄 대응 방안 연구)

  • Choi, Jung-Ryel;Chung, Il-Moon;Jo, Hyun-Ja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4
    • /
    • pp.469-481
    • /
    • 2019
  • In addition to structural stabilization measure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Sand Dam, non-structural management measures such as reasonable water demand and supply volume management are needed to prevent limited water supply damage due to drought. In this study, water supply-demand monitoring system was established for drought response in Seosang-ri basin in Chuncheon, the main source of domestic water for small water facilities. The flow rate of the stream was measured for monitoring the supply volume, and the daily flow rate was calculated by using it to calibrate the parameters of the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o monitor demand, the daily usage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lly calculated daily supply and demand amount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shortage of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