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갑상선 선종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유두상 갑상선암과 동반된 기능성 낭종성 부갑상선 선종 1예 (A Case of Functionary Cystic Parathyroid Adenoma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장우진;정현희;박상현;손세훈;윤지성;이형우;원규장;조인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7권2호
    • /
    • pp.139-145
    • /
    • 2010
  • Cystic parathyroid adenoma is one of rare causes of hyperparathyroidism, and tends to cause increased serum level of parathyroid hormone, alkaline phosphate and serum calcium level similar to when compared to those of solid adenoma. The possibility of a coincidental appearance of primary hyperparathyrodism and nonmedullary thyroid cancer is rare, and often neglected. A 40-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constipation and weight loss for 3 months. The serum calcium, phosphate and alkaline phosphate were 16.6 mg/dl, 2.2 mg/dl and 505 IU/L respectively and serum parathyroid hormone level was 1556.2 pg/mL. Neck US showed mixed nodules at both thyroid lobes, and PET-CT showed a right thyroid nodule without FDG uptake. The patient was diagnosed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and underwent parathyroidectomy and a total thyroidectomy. Histopathologic results revealed parathyroid adenoma with cystic change (2 cm greater diameter) in the right lower parathyroid gland and coexistent papillary carcinoma of the right lobe of thyroid gland (infiltrating, 0.3 cm in greater diameter). She remained well and serum calcium, phosphate, parathyroid hormone level were normalized within 24 hours.

  • PDF

Tc-99m pertechnetate/Tl-201 감영 신티그라피에서 부갑상선 선종으로 오인된 흉선종 1예 (A Case of Thymoma Misdiagnosed as Parathyroid Adenoma on Tc-99m pertechnetate/Tl-201 Subtraction Scintigraphy)

  • 정용안;유이령;김성훈;정수교;왕영필;정지한;이교영;김병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4-279
    • /
    • 2001
  • A large superior mediastinal mass was found incidentally by ultrasonography in a 60-year-old man. There was an abnormal accumulation of Tl-201 in the lower pole of left thyroid gland, extending into left superior mediastinum on Tc-99m pertechnetate/Tl-201 subtraction scan. Laboratory findings relating thyroid and parathyroid were all within normal range. We considered the mass as a non-functioning parathyroid adenoma tentatively. However, subsequent surgery and 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the mass to be a benign mixed thymoma. We report a case of patient with thymoma showing unusual Tc-99m pertechnetate/Tl-201 subtraction imaging and laboratory findings, and suggest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other mediastinal tumors rather than parathyroid adenoma.

  • PDF

분화성 갑상선암과 공존한 부갑상선 선종 (Coexistent Parathyroid Adenoma and 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reinoma)

  • 이준호;정웅윤;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1-246
    • /
    • 1997
  • It has become evident in recent years that parathyroid adenoma and 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occur together more than would be expected by chance alone.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them is not well understood. We have experienced 4 cases of coexistent parathyroid adenoma and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during the past 16 years. None of them had a familial incidence or a history of radiation exposure. Three cases showed symptomatic hypercalcemia(including renal stones, bone pain, joint pain) and in two of them(patient 1 and patient 2), thyroid abnormalities were detected preoperatively by neck ultrasonography or neck CT for evaluation of parathyroid lesions. However, in patient 3, a parathyoid humor was identified and removed incidentally during the course of thyroidectomy. In 3 cases, surgeries for thyroid carcinoma and parathyroid adenoma were performed during the same exploration of the neck, but in patient 4, thyroidectomy preceded parathyroidectomy; The interval between thyroidectomy and subsequent parathyroidectomy was 11 yeras. The thyroid tumors in 3 cases were papillary carcinoma, the sizes of which ranged from 1.0 cm to 1.5 cm in greatest diameter. The remaining case(patient 4) was minimal invasive follicular carcinoma. Total or near-total thyroidectomy with various types of cervical lymphnode dissection and bilateral neck exploration for the parathyroid lesion was performed in 3 cases with papillary carcinoma. Ipsilateral lobectomy and contralateral partial thyroidectomy with consequent unilateral neck exploration for the parathyroid tumor was performed in the case of follicular cancer. In our experience, parathyroid adenoma and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s can be coexistent and we felt that the attention to the hypercalcemic patients would be needed for detection of this rare condition.

  • PDF

공터키안(Empty sella)을 동반한 급성췌장염으로 발현된 부갑상선 선종 1예 (A Case of Parathyroid Adenoma Presenting as Acute Pancreatitis Accompanied with Empty Sella)

  • 전언주;오지혜;배경륜;장샛별;전승운;정의달;손호상;원규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63-69
    • /
    • 2009
  • The incidence of coexisting hyperparathyroidism and empty sella syndrome is rare and the etiology end incidence of their coexistence is not known. The association of hyperparathyroidism and the empty sella syndrome may be related to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MEN) syndrome due to a genetic disorder.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hyperparathyroidism presenting as acute pancreatitis combined with empty sella. We report here a 37-year old female who manifested epigastric pain because of acute pancreatitis. She had hypercalcemia due to parathyroid adenoma. A pituitary gland was not visible in the sella turcica on MRI scans. On genetic analysis, she did not show a mutation of the MENIN gene. Empty sella is thought to be a coincidental finding with hyperparathyroidism.

  • PDF

수술 중 근적외선 자가형광으로 확인된 갑상선 내부의 부갑상선 선종 1예 (A Case of Intra-thyroidal Parathyroid Adenoma Confirmed by Intraoperative Near-infrared Autofluorescence)

  • 최동규;차준상;김영준;이형신;이강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3-57
    • /
    • 2023
  • In general, the anatomical location and number of parathyroid glands are well known, but they are often found in a variety of loc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find parathyroid glands during surgery. Besides Intra-thyroidal parathyroid adenoma is extremely rare case, and it is harder to identify in surgery. We encountered a 51-year-old patient with a thyroid nodule. The results of the additional blood test and the Tc-99m MIBI were combined to determine that the left lower lobe parathyroid adenoma was highly likely. This patient was treated with left thyroid lobectomy with parathyroid identification using Near-infrared (NIR) imaging. Afterwards, the biopsy confirmed that it was a parathyroid adenoma, and has since been monitored through outpatient observation without any problem. We present this rare case with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일차성 및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에서 Double-Phase Tc-99m Sestamibi 스캔에 의한 병변의 국소화에 관한 비교 (Comparison Study of Lesion Localization in Patients with Primary and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using Double-Phase Tc-99m Sestamibi Scintigraphy)

  • 전태주;이종두;유영훈;박정수;장항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68-380
    • /
    • 1999
  • 목적: 일차성 및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에서 Tc-99m-sestamibi double-phase 스캔이 병변의 국소화에 보이는 성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로 확진된 14예의 단일 병변과 2예의 다발성 병변을 가지는 총 16명의 18개의 일차성 병변과 11명의 44개의 이차성 병변을 대상으로 Tc-99m-sestamibi 스캔 소견에서의 섭취 정도, 지연 스캔에서의 섭취 변화 등의 영상을 분석하고 진단율을 알아보았다. Tc-99m-sestamibi double-phase 스캔은 LEM (Seimens, Germany) 카메라를 사용하여 얻었으며 740 MBq을 순간 주사한 후 평행 그리고 바늘구멍 조준기를 사용하여 기저 및 지연 영상을 각각 얻었다. 남녀비는 일차성 2명 및 이차성 질환의 3명을 제외한 모든 증례가 여자였으며 (M:F=5 :22) 연령분포는 $29{\sim}65$세로 평균 49.1세였다. 결과, 일차성 병변의 경우는 총 18병변 중 13예는 선종, 5예는 부갑상선증식증이었으며 이차성 병변의 경우는 모두 부갑상선증식증이었다. 일차성 병변은 조직 소견상 선종으로 진단된 13예를 스캔 상에서 모두 발견한 반면 부갑상선증식증에서는 5예중 2예(40%)만이 스캔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일차성 병변 중 3예에서는 기저 스캔에 비하여 지연 스캔에서 섭취의 감소를 보였다. 일차성 병변에서 Double phase 스캔에 의한 민감도는 58.8% (10/17), 특이도 83.3% (10/12), 양성 예측률 83.3% (10/12) 및 정확도 75.9% (22/29)였으며 이차성 병변에서는 민감도 37.5% (15/40), 특이도 50% (2/4), 양성 예측률 88.2% (15/17) 그리고 정확도 38.6% (17/44)였다. 일차성 및 이차성 병변 모두에서의 전체적인 민감도는 43.9% (25/57), 특이도는 73% (12/16), 양성 예측률 86.2% (25/29) 및 정확도 53.4% (39/73) 였다. 그 외에 일차성 및 이차성 부갑상선 병변 간에 무게의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Tc-99m-sestamibi 스캔은 일차성 부갑상선 병변의 국소화에 높은 민감도 및 특이도를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지연스캔상의 섭취가 감소하므로 기저 스캔 영상을 참조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차성 병변의 경우, 전반적으로 낮은 예민도를 보이지만 이소성 병변을 수술 전에 검사함으로써 수술의 성공률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계속된 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고체상 추출법을 기반으로 한 [18F]Fluorocholine 합성법의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Automated Solid Phase Extraction-based Synthesis of [18F]Fluorocholine)

  • 박준영;손정민;강원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61-268
    • /
    • 2023
  • [18F]Fluorocholine은 임상에서 부갑상선 선종, 전립선암 및 간세포암 진단 등에 사용되는 PET용 콜린 방사성의약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체상 추출 카트리지법을 방사성의약품 자동합성장치에 적용하여 [18F]fluorocholine을 제조하는 방법을 최적화하였다. [18F]Fluorocholine은 하나의 반응용기를 사용하여 두 단계 표지반응으로 합성하였으며, [18F]fluorocholine 합성과정 중 생성되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SepPak Silica 카트리지의 개수를 3개로 최적화하였고, 전구 물질인 DMAE를 10%로 희석하였을 때 가장 높은 방사화학적 수율을 획득 할 수 있었다. 또한 최종 생산된 [18F] fluorocholine 주사액은 유럽약전에 명시된 품질관리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체상 추출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방사성의약품 자동합성장치에 최적화한 [18F]fluorocholine의 합성법은 임상 현장에 안정적으로 [18F]fluorocholine을 공급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결절성 갑상선 질환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Nodular Thyroid Disease)

  • 이규준;박순태;하우송;권수인;최상경;홍순찬;이영준;이영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44-252
    • /
    • 1998
  • 저자들은 1987년 1월부터 1997년 2월까지 만 10년간 경상대학교병원 외과학 교실에서 갑상선 결절 환자 298예에 대하여 임상적 검토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갑상선 결절 총 298예 중 양성 결절은 214예(71.8%), 악성 결절 84예(28.2%)이었고, 악성율은 진단방법의 발달과 수술 적응증의 강화로 증가 되었다. 양성 결절과 악성 결절은 30대에서 50대 사이에서 호발하였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악성 빈도가 증가하였다. 남녀비는 양성 결절에서 1:5.88이었고, 악성 결절에서 1:11이었다. 2)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양성 결절 214예중 여포선 종 136예 (63.5%), 선종성 선종 67예 (31.3%), 휘틀 세포 선종 4예(1.9%), 낭종 3예(1.4%), 기타 갑상선염 4예 (1.9%)이었고, 악성종양 84예중 유두암 728예 (85.72%). 여포암 8예(9.5%), 미분화암 2예(2.4%), 수양암 1예 (1.2%), 악성 림프종 1예 (1.2%)이었다. 3) 술전 시행한 세침 천자 흡인 세포 검사의 민감도는 52.8%, 특이도는 98.4%, 위음성율은 47.2%이었다. 4) 총 298예 중 단일 결절 85.6%, 다발성 결절 14.4%이었으며 이중 악성결절의 빈도는 단일 결절의 26.6%, 다발성 결절의 37.3%이었고, 고형 결절의 악성도는 83.3%로 낭성 결절의 16.7%보다 높았고, 갑상선 주사소견상 악성 결절에서 cold nodule이 22.7%였다. 5) 수술 방법은 양성결절 214예중 동측 전엽 절제술과 협부 절제술이 86%에서 시술 되었고, 악성 결절 84예 중 경부 곽청술을 동반한 갑상선 전절제술 27.3% 갑상선 전절제술 23.8%, 동측 전엽 절제술과 협부 절제술 23.8%에서 시술되었고, 술후 합병증은 전체 7.1% 중 양성 결절의 1.9%, 악성 결절의 20.2%에서 발생하여 악성 결절 수술시 유의하게 높았다. 영구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 2예(0.7%)에서 발생하였다. 악성 결절의 수술후 재발은 주로 유두상암의 임프절 재발이 다수였고 미분화암에서는 국소 재발 및 림프절 재발이 있었으나 원이부 전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