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Study of Lesion Localization in Patients with Primary and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using Double-Phase Tc-99m Sestamibi Scintigraphy

일차성 및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에서 Double-Phase Tc-99m Sestamibi 스캔에 의한 병변의 국소화에 관한 비교

  • Jeon, Tae-Joo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ong-Doo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Rhyu, Young-Hoon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ung-Soo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ang, Hang-Seok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전태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학교실 핵의학과, 방사선의과학연구소) ;
  • 이종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학교실 핵의학과, 방사선의과학연구소) ;
  • 유영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학교실 핵의학과, 방사선의과학연구소) ;
  • 박정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장항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8.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scintigraphic findings and diagnostic accuracy of double-phase Tc-99m sestamibi scan in primary and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HP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6 cases of primary (18 lesions) and 11 cases of secondary HPT (44 lesions) who underwent Tc-99m-sestamibi scan before the surgical intervention. Scan was performed using LEM camera (Siemens, Germany) after the injection of 740MBq of Tc-99m sestamibi. Routine image consisted of baseline and 3-hour delayed images and each image was obtained using both parallel and pine hole collimator. The study population was 27 patients (male/female=5/22, age: $49.1{\pm}10.8$). Results: Eighteen lesions of primary HPT consisted of 13 adenomas and S hyperplasias, while all lesions of secondary HPT were hyperplasias. Among the case of primary HPT, we could detect all the lesions of 13 adenomas but only 2 lesions of 5 hyperplasias (40%) could be detected by double phase scintigraphy. Three cases of primary lesion showed decreased uptake in delayed images compared with baselin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accuracy of primary and secondary HPT were 58.8% (10/17), 83.3% (10/12), 83.3% (10/12), 75.9% (22/29), and 37.5% (15/40), 50% (2/4), 88.2% (15/17), 38.6% (17/44), respectively. Overall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accuracy were 43.9% (25/57), 75% (12/16), 86.2% (25/29), and 53.4% (39/73).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 of primary and secondary HPT lesion (p>0.05). Conclusion: Tc-99m sestamibi scan is fairly good modality to detect parathyroid lesion in patient with primary HPT before the surgical intervention. However, since some of cases may reveal decreased uptake in delayed image, a careful attention to the findings of baseline images may be helpful. Still the low accuracy of sestamibi scan in diagnosis of secondary HPT prohibits routine use of it for this disease.

목적: 일차성 및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에서 Tc-99m-sestamibi double-phase 스캔이 병변의 국소화에 보이는 성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로 확진된 14예의 단일 병변과 2예의 다발성 병변을 가지는 총 16명의 18개의 일차성 병변과 11명의 44개의 이차성 병변을 대상으로 Tc-99m-sestamibi 스캔 소견에서의 섭취 정도, 지연 스캔에서의 섭취 변화 등의 영상을 분석하고 진단율을 알아보았다. Tc-99m-sestamibi double-phase 스캔은 LEM (Seimens, Germany) 카메라를 사용하여 얻었으며 740 MBq을 순간 주사한 후 평행 그리고 바늘구멍 조준기를 사용하여 기저 및 지연 영상을 각각 얻었다. 남녀비는 일차성 2명 및 이차성 질환의 3명을 제외한 모든 증례가 여자였으며 (M:F=5 :22) 연령분포는 $29{\sim}65$세로 평균 49.1세였다. 결과, 일차성 병변의 경우는 총 18병변 중 13예는 선종, 5예는 부갑상선증식증이었으며 이차성 병변의 경우는 모두 부갑상선증식증이었다. 일차성 병변은 조직 소견상 선종으로 진단된 13예를 스캔 상에서 모두 발견한 반면 부갑상선증식증에서는 5예중 2예(40%)만이 스캔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일차성 병변 중 3예에서는 기저 스캔에 비하여 지연 스캔에서 섭취의 감소를 보였다. 일차성 병변에서 Double phase 스캔에 의한 민감도는 58.8% (10/17), 특이도 83.3% (10/12), 양성 예측률 83.3% (10/12) 및 정확도 75.9% (22/29)였으며 이차성 병변에서는 민감도 37.5% (15/40), 특이도 50% (2/4), 양성 예측률 88.2% (15/17) 그리고 정확도 38.6% (17/44)였다. 일차성 및 이차성 병변 모두에서의 전체적인 민감도는 43.9% (25/57), 특이도는 73% (12/16), 양성 예측률 86.2% (25/29) 및 정확도 53.4% (39/73) 였다. 그 외에 일차성 및 이차성 부갑상선 병변 간에 무게의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Tc-99m-sestamibi 스캔은 일차성 부갑상선 병변의 국소화에 높은 민감도 및 특이도를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지연스캔상의 섭취가 감소하므로 기저 스캔 영상을 참조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차성 병변의 경우, 전반적으로 낮은 예민도를 보이지만 이소성 병변을 수술 전에 검사함으로써 수술의 성공률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계속된 연구가 필요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