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봉화군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4초

산림 인접시설의 산불 위험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for Forest Fire Danger Characteristic of Facilities in Wild Land Urban Interface)

  • 박흥석;이시영;권춘근;이병두;구교상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65-65
    • /
    • 2011
  • 도시의 확대와 산림의 개발을 통해 산불은 산지의 피해뿐만 아니라, 인접지에도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사례가 되어, 이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의 울진군, 봉화군, 경주시를 대상으로 산림에 인접한 시설물의 빈도와 거리를 분석하여, 산불 발생 시 대피 및 진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도시형으로 선정한 경주시가 전체 시설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산악형으로 분류한 봉화군이 가장 빈도가 낮았다. 가옥의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봉화군이 축사의 빈도가 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인접시설물의 산림과의 평균거리분석결과 산악형의 시설물의 평균 산림 인접 거리가 가장 가까우며, 도시형인 경주시의 인접거리가 가장 먼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산악형(봉화 군)은 인접 시설의 산림과의 평균 거리가 100m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산불 발생시 큰 피해가 예상되는 가옥, 의료/복지시설, 주유소, 축사 등 전 시설물의 산림인접 100m 이내 비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산불 발생 시 인접지의 피해가능성이 높은 산림 이격 거리를 100m 이내로 가정할 경우, 봉화군의 경우 산불발생 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구를 보다 확대하여 향후 산불 발생에 대비한 지역단위 진화와 대피교범과 기준 제작으로 발전시키며, 인접지역 시설물에 대한 산림 위험 시설에 대한 정책수립의 근거로 삼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산 소나무의 지역(고성, 홍천 및 봉화군)에 따른 물리적 특성 (Phy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s According to Provinces (Goseong, Hongcheon and Bonghwa-gun))

  • Kim, Min-Ji;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437-448
    • /
    • 2018
  • 본 연구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동(고성군), 영서(홍천군), 영남(봉화군) 세 지역 간 소나무의 재질차이의 유무를 알기위해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건함수율 및 생재함수율(인위적)의 산지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중은 심재부와 변재부에서 봉화군 소나무가 두 산지보다 높았으며, 고성군과 홍천군 소나무 사이에는 심재부에서는 고성군 소나무가 높고 변재부에서는 홍천군 소나무가 고성군 소나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심재부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 고성군 소나무가 강도적으로 홍천군 소나무보다 클 것으로 판단된다. 수축율은 방사방향의 경우 산지 간 차이가 없고, 접선방향의 경우는 가도관장이 긴 봉화군 소나무가 높게 나타났다. 흡습율은 산지 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소나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육종적으로 좋은 재질의 품종생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산 소나무의 지역(고성, 홍천 및 봉화군)에 따른 역학적 특성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s according to Provinces (Goseong, Hongcheon and Bonghwa-gun))

  • Kim, Min-Ji;Kim, Ji-Yeol;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666-675
    • /
    • 2020
  • 본 연구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동(고성군), 영서(홍천군), 영남(봉화군) 세 지역 간 소나무의 재질 차이 유무를 알기 위해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측정한 역학적 성질은 압축강도, 경도 및 전단강도였다. 압축강도는 미성숙재에서 지역 간 차이가 없으며, 심재부와 변재부에서는 봉화, 홍천, 고성군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경도는 횡단면에서는 봉화군이, 방사 및 접선 단면에서는 고성군이 크게 나타났다. 전단강도는 심재부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변재부에서는 봉화군이 고성, 홍천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 간 가도관장, 마이크로피브릴경각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 간 재질특성의 차이 규명으로 국내산 소나무재를 효율적이고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또한 우수한 수형목을 선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환선굴지역의 지형 및 지질에 관한 연구

  • 정창희
    • 동굴
    • /
    • 제34권35호
    • /
    • pp.11-22
    • /
    • 1993
  • 환선굴은 강원도의 삼척군에 위치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동굴로 비공개 상태이다. 이 동굴의 주변지역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자연환경 즉 그중에서도 특히 지형과 지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환선굴이 위치하고 있는 삼척군의 지리적 위치를 살펴보면 삼척군은 강원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북쪽은 동해시에 남쪽은 경상북도 울진군과 봉화군에 서쪽은 선선군 임계면에 서남은 태백시 등 4개 시ㆍ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중략)

  • PDF

지역 농산업산지의 혁신환경과 클러스터 육성전략 : 봉화군 고추농산업 사례 (The Innovation Milieu of Red Pepper Agro-Industry District in Bonghwa County : A Cluster Perspective)

  • 이종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33-246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낙후지역이자 고추주산지의 하나인 경상북도 봉화군의 고추 농산업의 혁신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 고추 농산업의 육성 전락을 클러스터 관점에 기초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봉화군 고추농산업의 혁신인프라는 매우 취약하고 산학연관 네트워크 또한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므로, 클러스터 발전단계 상으로 단순 고추 주산지 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커뮤니티의 결성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산학연관 네트워크 육성 의지 둥에 따라 혁신환경이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변화양상도 확인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봉화 고추 농산업을 클러스터화를 위해서는 학습 커뮤니티 조직의 활성화, 공동 브랜드 구축, 네트워크 매개기관으로서의 농업기술센터의 역할 제고, 지식창출의 중심 연계기관으로서 지역 대학과의 연계 강화 등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안한다.

  • PDF

영남지방 지명에 관한 연구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경우- (A Study on Village Names of Youngnam Provinces : the Cases of Changnyeong-Gun, Bonghwa-Gun and Namhae-Gun)

  • 박태화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4
    • /
    • 1999
  • 본 연구는 영남지방의 지리적 성격이 상이한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촌락명을 분석하였다. 지명의 명명은 인간의 환경지각의 결과이고, 또 지명에는 그 당시의 문화가 각인되어 있다고 본다. 그래서 지명이 포함하고 있는 주요 지리적 개념, 지명의 어구조, 개념구성의 결합관계 등을 구명하여 지역차를 고찰한 것이다. 첫째 지리학의 개념별로 보면 산지지역인 봉화군은 자연에서, 평야지역인 창녕군과 도서지역인 남해군은 인문에서 인식한 촌락명이 상대적으로 많아 지역차를 보인다. 둘째 지명 어구조의 전 후어에서 전어는 주로 작명으로 사용된 고유명인데, 촌락의 문화경관, 위치, 변천을 설명하고 있다. 후어는 지명을 분류하는 유형 명으로 촌락의 자연환경, 촌락 공동체 표현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셋째 개념 구성은 봉화군은 자연 그대로, 창녕군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 과정, 남해군은 상호작용의 결과가 인식, 명명되어 역시 상이한 지역성을 보이고 있다.

  • PDF

봉화군에 도입된 마을하수도 하수 특성 및 처리 공법 분석 (Analysis of RCSTP Wastewater Characteristics and Installed Treatment Process in Bong-Hwa Gun)

  • 임지열;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53-460
    • /
    • 2013
  • 소규모 농촌 지역 하수도 보급률은 도시지역의 약 40% 이하 수준이다. 농촌지역의 낮은 하수도 보급률은 상수원의 수질악화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안동댐과 임하댐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봉화군에 신설된 마을하수도 11개소의 운전 결과를 분석하였다. 운전결과를 바탕으로 봉화군 마을하수도 특성과 도입된 처리 공법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봉화군 유입 하수는 도시지역에 비해 고농도의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함유하고 있다. 마을하수도에 도입된 처리 공법은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처리 효율을 보였다. 하지만 영양염류의 경우 처리 효율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마을하수도 운전 시영양염류 처리에 있어 운전 조건 관리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봉화군 문수산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Munsu in Bonghwa-gun)

  • 변준기;이동혁;허태임;이준우;박병주;김성빈;신재권;김동갑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25-25
    • /
    • 2018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문수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2010년 3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계절별 출현식물을 대상으로 총 12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 내 관속식물은 85과 241속 372종 5아종 58변종 7품종으로 총 442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경상북도 관속식물 1,684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6)의 26.2%, 한반도 관속식물 4,499 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8; Http://www.nature.go.kr/kpni/)의 9.8%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수산 일대의 한국특산식물은 12분류군(세잎승마,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노랑갈퀴, 고려엉겅퀴 등),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VU등급(주목, 백작약, 꼬리진달래 등) 5분류군, LC등급(쥐방울덩굴, 도깨비부채, 태백제비꽃, 꽃개회나무 등) 10분류군으로 총 1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등급 2분류군,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16분류군, II등급 25분류군, I등급 30분류군, 외래식물은 서양벌노랑이, 토끼풀, 달맞이꽃, 미국가막사리, 개망초, 주걱개망초, 털별꽃아재비, 서양민들레, 오리새, 큰김의털 등 10분류군으로 도시화지수(%) 3.1%, 귀화율은 2.3%에 해당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338분류군(76.5%), 섬유용식물 3분류군(0.7%), 약용식물 75분류군(17.0%), 관상용식물 21분류군(4.8%), 목초용식물 95분류군(21.5%) 목재용식물 16분류군(3.6%) 등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가 봉화군 문수산 일대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