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볼트 개수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8초

실내실험 및 수치해석을 이용한 막장볼트의 최적 타설 개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Optimum Installation Number of Face Bolts Using Laboratory Tests and Numerical Analysis)

  • 서경원;;김창용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6호
    • /
    • pp.467-475
    • /
    • 2006
  • 최근 국외에서는 터널막장의 안정을 위해 막장볼트의 시공실적이 급증하고 있고 관련된 많은 실험, 계측 등의 자료가 발표되고 있지만 현장마다 지반조건, 볼트 종류가 틀리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 최적의 타설개수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현장조사를 통하여 사용되는 막장볼트의 종류, 개수 등을 분석하였다. 이결과 막장볼트는 다른 공법과 병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반조건과의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한 실내시험 및 수치해석을 통해 터널 막장이 볼트로 보강되었을 경우 지반 및 볼트의 거동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타설개수에 초점을 맞추었다. 실험결과 막장볼트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지표면 침하 및 막장수평변위는 지수함수 형태의 변위감소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직경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안전성 및 경제성 평가 (Estimation of Safet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Large High Tension Bolted Joints)

  • 성기태;경갑수;이승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통권58호
    • /
    • pp.97-10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대직경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안전성 및 경제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F10T-M30 대직경 고장력볼트를 사용한 시험편을 대상으로 정적 인장시험을 실시하여 미끄러짐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고 볼트의 강도등급 및 직경에 따른 소요볼트 개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M30 고장력볼트의 평균 미끄러짐 계수는 도로교설계기준의 기준인 0.4를 초과하며, M22 고장력볼트와 동등한 미끄러짐 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장력볼트의 강도등급 및 직경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F10T-M22 고장력볼트를 기준으로 하여 F13T-M22 고장력볼트를 적용하면 소요볼트 개수가 21% 감소하며, F10T-M30 고장력볼트를 적용하면 4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장력볼트의 대직 경화에 따른 경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볼트수의 변화가 더블앵글 접합부의 회전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Variation of the Number of Bolts on the Rotational Stiffnesses of Double Angle Connections)

  • 양재근;김호근;김기환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69-75
    • /
    • 2004
  • 저층 철골조의 시공에 있어서 더블앵글 접합부는 매우 효과적인 접합부의 한 형태로 취급된다. 더블앵글 접합부의 접합부 강성은 앵글의 두께, 볼트 게이지 거리, 볼트의 개수 등과 같은 여러 변수에 따라서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볼트수의 변화가 더블앵글 접합부의 모멘트-회전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세 개의 더블앵글 접합부 실험이 수행되었다. 각각의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각 실험에 사용된 더블앵글의 회전강성은 회귀분석을 통하여 산정되었다. 회귀분석결과 더블앵글 접합부의 접합부 강성은 볼트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함께 증가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소규모 철골조 보-기둥 약축 모멘트 접합부의 내진성능 (Seismic Performance of Beam-to-column Weak-axis Moment Connection of Small-size Steel Structure)

  • 임우영;유영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169-1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규모 철골조 건축물에서 실제 시공된 보-기둥 약축 접합부에 대한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시공성을 향상시킨 약축접합부 상세를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약축접합부에 대한 반복가력 실험을 통해 접합부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변수는 보-기둥 접합부에 사용된 볼트의 개수이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보-기둥 약축 접합부의 거동은 수평 스티프너에 연결되는 고력볼트의 개수의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합부에 4개 이상의 볼트접합이 사용될 경우 현행 기준에서 요구하는 부분 강접합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실험체는 플랜지 연결플레이트의 연단쪽 보 플랜지 볼트 구멍 주위에서 국부적인 지압파괴와 파단 등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웨브 높이와 플랜지 폭이 작은 기둥을 사용할 경우, 접합부에 사용되는 고력볼트의 개수가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볼트 접합부의 거동 해석을 위한 수치해석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Numerical Analysis Model for the Behavior Analysis of Bolted Connection)

  • 김광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1-9
    • /
    • 2007
  • 다중 볼트 접합부에서는, 해석적인 방법으로는 볼트의 개수가 두 개까지 만으로 제한되고 다양한 여러 형태의 접합부 거동 해석이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볼트의 개수에 구애받지 않고 거동을 예측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여러 접합부의 거동을 해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적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수치해석법을 이용하여 거동 해석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 변수로는 r=0.35, Kx=137.5, Ky=257.4가 각각 얻어졌다. 기존의 이론적 방법에 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치해석 모델의 거동 해석 정확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막장볼트가 수평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추가해 주어야 하는 본수에 대한 실내실험 및 수치해석 (A Laboratory Test and Numerical Analysis to Determine the Number of Additional Installation of Face Bolts due to the Deviated Bolts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 서경원;이성원;김창용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345-354
    • /
    • 2006
  • 막장볼트는 시공중 지반조건 및 천공기계의 기계적 원인에 의해 수평으로부터 벗어나게 타설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실내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막장볼트가 수평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 대한 보강효과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해 주어야 하는 볼트의 개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막장 중앙부부터 타설하는 막장볼트는 가능한 한 수평으로 타설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벗어나는 경우에는 볼트를 추가해 주어야 하는 것이 명확해 졌다. 본 연구의 조건하에서는3본/단면을 타설 할 경우 모든 볼트가 $R15^{\circ}$로 수평으로부터 벗어나면 1.5본/단면을 추가해 주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볼트풀림 상태의 볼트 체결력 예측을 위한 주파수응답 유사성 기반의 합성곱 신경망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Prediction of Bolt Clamping Force in Initial Bolt Loosening State Using Frequency Response Similarity)

  • 이제현;한정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221-23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볼트로 체결된 구조체에 대하여 초기 볼트풀림 상태에서의 볼트 체결력 예측 합성곱 신경망 훈련 방법을 제시한다. 8개의 볼트의 체결력이 변경된 상태에서 계산한 주파수응답들을 완전 체결된 상태의 초기 모델과의 크기 및 모양 유사성을 표현하는 유사성 지도로 생성한다. 주파수응답 데이터들의 생성에는 크리로프 부공간법 기반의 모델차수축소법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합성곱 신경망 모델은 회귀 출력 계층을 사용하여 볼트의 체결력을 예측하도록 하였으며, 훈련 데이터의 개수와 합성곱 신경망 계층의 개수를 다르게 준비하여 훈련시킨 네트워크들을 비교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주파수응답에서 파생되는 유사성 지도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여 초기 볼트풀림 영역에서 볼트 체결력의 진단 가능성과 유효성을 제시하였다.

다중 생체 특징 기반 퍼지볼트 (Multi-biometric feature based fuzzy vault)

  • 손호식;노용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57-1060
    • /
    • 2008
  • 생체 암호 시스템에서 키로 사용하는 인간의 생체 특징은 외부 환경이나 인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개수, 같은 값의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퍼지볼트 체계 (Fuzzy vault scheme) [1]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 할 뿐만 아니라, 등록된 생체 데이터의 보안을 보장해 주는 알고리즘으로서 얼굴, 지문이나 홍채와 같은 단일 생체 특징으로의 적용 방법이 소개되어 왔다 [2,4,5]. 본 논문에서는 퍼지볼트 시스템의 인식 성능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단일 생체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보완할 수 있는 다중 생체 특징 (얼굴과 지문) 데이터를 퍼지볼트 체계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효성을 검증한다.

배관 구조물의 상시 건전성 모니터링 (Real-time Health Monitoring of Pipeline Structures)

  • 김주원;김태헌;이창길;박승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666-669
    • /
    • 2010
  • 여러 가지 지하시설물 중 국가 주요 자원의 수송망을 책임지는 주요구조물인 수도관, 가스관등의 배관구조물은 접근이 쉽지 않은 지하공간에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그 중요성에 비해 유지, 관리, 보수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배관구조물을 균열, 조인트 풀림 등의 손상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상시적 배관구조물 손상진단기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배관 구조물 시험체에 볼트풀림, notch 등과 같은 손상에 대하여 대표적인 압전센서인 PZT와 MFC를 부착하고 임피던스기법 및 유도 초음파기법을 적용하여 볼트풀림개수, notch 손상개수 증가에 따른 출력신호를 반복 계측하였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계측된 신호를 신호처리기법인 웨이블렛 변환을 수행하고, RMSD 및 1-CC의 손상지수를 사용하여 구조물손상을 정량화 시켰으며 이를 토대로 구조물의 건전성의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설정함으로서 임피던스와 유도초음파 두 검색기법을 이용한 상시적 배관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PDF

더블앵글 접합부의 초기강성 산정을 위한 해석모델 (An Analytical Model for Calculating Initial Stiffnesses of Double Angle Connections)

  • 양재근;김기환;김호근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55-63
    • /
    • 2004
  • 더블앵글 접합부는 저층 철골조에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더블앵글 접합부에 사용된 볼트의 개수 변화가 접합부 회전강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을 통하여 파악하고, 모멘트-회전각 관계 곡선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초기강성, 소성강성, 참조모멘트, 곡선형태변수 등을 획득하였다. 또한 더블앵글 접합부의 초기강성이 접합부의 모멘트 지지능력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라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이러한 초기강성 산정을 위한 해석모델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