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볼록성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4초

곡면 배열 소나의 빔 균일화를 위한 빔 패턴 분석 (Beam pattern analysis for beam homogenization of conformal array sonar)

  • 최정웅;홍우영;임준석;이근화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37-646
    • /
    • 2022
  • 임의의 곡면 배열에서 단위 빔 형성에 사용되는 부배열은 조향 방위마다 기하학적 형상이 다르다. 이 때문에 조향 방위 별 부배열의 빔 패턴은 항상 균일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볼록 최적화를 이용한 빔 형성 기법을 곡면 배열에 적용하고, 조향 방위별 빔 성능의 균일성이 향상되는 것을 보였다. 시뮬레이션은 절단 구면 형상의 곡면 배열에 대해 수행되었다. 고각 3 dB 빔 폭의 표준 편차가 크게 감소하였으나 반대급부로 지향 지수도 감소하는 것을 관찰했다.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쉐이딩 함수를 이용한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산림환경인자에 의한 임도 절토비탈면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Cut Slope in Forest Roads by Forest Environment Factors)

  • 전권석;오성윤;마호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3-51
    • /
    • 2003
  • 임도의 절토비탈면의 각 조사구를 토양침식 및 붕괴발생의 발생 유무에 따라 안정구와 불안정구로 구분하고 절토비탈면의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하여 비탈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절토비탈면에서 발생한 토양침식량은 표고, 상부(사면위치), 볼록사면(凸), 사면경사, 비탈면길이, 사질식양토(SiL), 남쪽(South)사면과는 정의 상관을, 식생피복도, 평형사면(${\square}$), 미사질식양토(SiCL)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절토비탈면의 안정성 판별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는 식생피복도, 토양경도, 사면경사, 표고, 미사질양토, 볼록사면, 복합사면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절토비탈면에서 안정구(2)와 불안정구(1)의 중심값은 각각 -1.194와 1.127로 나타났으며, 이때 판별구분치는 -0.072이었다. 4. 절토비탈면 조사구의 불안정구와 안정구에 대한 판별능력의 적중율은 불안정구는 125개 중 117개가 판별됨으로서 93.6%의 적중율을, 안정구는 117개의 조사구 중 102개를 판별 시켜 87.2%의 적중율을 보였으며 두 그룹의 전체 판별능력은 90.4%였다.

시변 시간지연을 가지는 불확실 특이시스템의 변수 종속 강인 안정성 (Parameter-dependent Robust Stability of Uncertain Singular Systems with Time-varying Delays)

  • 김종해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7권4호
    • /
    • pp.1-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상태에 시변 시간지연과 폴리토픽 변수 불확실성을 가지는 특이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지연 종속 및 변수 종속 강인 안정성 조건을 제시한다. 새로운 변수종속 리아푸노프 함수를 기반으로 구한 강인 안정성 조건은 볼록최적화가 가능한 선형행렬부등식으로 나타난다. 제안하는 조건은 비특이시스템과 특이시스템의 강인 안정성 문제에 동시에 적용가능한 일반적인 알고리듬이다. 수치예제를 통하여 제시한 강인 안정성 조건의 타당성을 보이고, 기존의 비특이시스템의 결과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한 조건이 덜 보수적임을 확인한다.

지지부 형상에 따른 튜브 프레팅 마멸기구의 연구 (A study on wear mechanism of tube fretting affected by support shapes)

  • 이영호;김형규;하재욱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2년도 제35회 춘계학술대회
    • /
    • pp.73-79
    • /
    • 2002
  • 상온 공기분위기에서 두 가지 형태의 스프링에 대한 연료봉 피복관의 마멸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가장 큰 마멸부피는 스프링 형상이 오목할 경우 틈이 존재할 때 발생하였으며, 형상이 볼록한 경우에는 접촉하중이 존재할 때 마멸부피가 크게 나타났다. (2) 접촉형상이 오목한 형태로 연료봉을 감싸고 있는 경우, 마멸입자의 방출은 다소 어렵게 되며 이에 따라 마열거동은 표면에서 생성되는 마멸입자가 외부로 방출되는 용이성에 따라 최종적으로 마멸부피는 결정된다. (3) 볼록한 형상의 스프링의 경우, 충격마모에 대하여 저항성을 보였으나, 접촉하중이 존재할 경우 높은 마멸량을 보이고 있다. (4) 오목한 형태의 스프링 조건에서 축 방향의 마멸보다는 횡 방향의 마멸량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이것의 주된 원인은 오목한 형태의 스프링이 충격하중에 있어 가이드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 방향 모두 마멸입자의 고착 흔적이 나타났으나 횡 방향의 경우 연삭에 의한 경향이 보다 뚜렷이 나타났다.

  • PDF

첨예정점의 측지거리 평균군집화를 이용한 메쉬 분할 (Mesh Segmentation With Geodesic Means Clustering of Sharp Vertices)

  • 박영진;박찬;이위;하종성;유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94-10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3차원 메쉬의 분할에 $\kappa$-평균군집화 기법을 적용한다. 국부적인 최적의 수렴을 피하고 계산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먼저 주어진 메쉬에 대한 첨예정점들을 인지과학적 측면에서 각각 국부적 전역적 기하 특성을 반영하는 곡률과 볼록성을 분석하여 추출한다. 다음에 추출된 첨예정점들은 그들간의 유클리디언 거리대신 측지거리에 기반한 $\kappa$-평균군집화 기법의 반복 수렴으로 $\kappa$ 개의 군집으로 분할된다. $\kappa$-평균군집화의 효과성에 매우 중요한 요인은 적절한 $\kappa$의 초기값을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kappa$의 초기값으로 합리적인 군집 개수를 자동으로 계산한다. 최종적으로 첨예정점들에 속하지 않는 메쉬의 나머지 정점들은 측지거리로 가장 가까이 존재하는 $\kappa$개의 군집에 병합함으로써 메쉬분할이 완성된다.

평면 응력 조건에서 정의된 비이차 비등방 변형률 속도 포텐셜 (Non-Quadratic Anisotropic Strain Rate Potential Defined in Plane Stress State)

  • 김대용;김지훈;이영선;;정관수
    • 소성∙가공
    • /
    • 제20권5호
    • /
    • pp.369-376
    • /
    • 2011
  • 본 연구를 통하여 비이차 비등방 항복 응력 포텐셜들의 근접 짝되는 변형률 속도 포텐셜들에 대해서 정리하고 Yld2000-2d의 근접 짝되는 Srp2003-2d에 대해서 상세 설명하였다. 제안된 비이차 비등방 변형률 속도 포텐셜 Srp2003-2d 식 형태가 소개 되었고, 볼록성이 증명되었다. 아울러 이방성 상수를 구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Srp2003-2d의 소성 거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자동차 용 알루미늄 합금 판재 AA6022-T4와 항공재료용 알루미늄 합금 AA2090-T3에 응용되었다. Srp2003-2d는 항복 응력 포텐셜 Yld2000-2d와 거의 흡사한 짝됨을 보여 주었으며, 알루미늄 판재의 비등방성을 적절히 묘사하였다. Srp2003-2d는 알루미늄 판재의 성형 공정의 모사를 위하여 이상 공정 이론을 비롯한 강소성체 재료에 대한 정식화에 적절히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Buyer-Seller 워터마킹 프로토콜 상에서 POCS 기반의 디지털 워터마킹 (POCS Based Digital Watermarking in Buyer-Seller Watermarking Protocal)

  • 권성근;이지혜;이석환;권기룡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569-582
    • /
    • 2007
  •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와 불법 복제 및 배포 방지를 위한 기법인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은 'Buyer-Seller 워터마킹 프로토콜'과 같은 암호학적인 프로토콜과의 결합을 통해 전자상거래 상에서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신뢰할 만한 계약절차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워터마킹 기법의 이용을 전제로 한 여러 암호학적 프로토콜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프로토콜 내 워터마킹 기법의 실제 적용 및 구현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Buyer-Seller 워터마킹 프로토콜 상에서 POCS 기반의 워터마크 삽입 방법은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EZW에 기반한 견고성 볼록 집합과 PSNR 비가 우수한 비가시성 볼록 집합을 정의한 후 이들 두 집합으로 수렴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 투영시킨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다양한 공격에 대한 BER이 0.02-0.10정도 낮음을 확인하였다.

  • PDF

영화 데이터를 위한 쌍별 규합 접근방식의 군집화 기법 (Pairwise fusion approach to cluster analysis with applications to movie data)

  • 김희진;박세영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2호
    • /
    • pp.265-283
    • /
    • 2022
  • 사용자들의 영화정보를 기록한 MovieLens 데이터는 추천 시스템 연구에서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검증하는데 상당한 가치가 있는 데이터로, 기존 데이터 분할 및 군집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용자 평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항목 집합을 분할하는 연구 등에 사용되는 데이터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었던 영화 평점 데이터와 영화 장르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장르 선호도를 예측하여 선호도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를 군집화(clustering)하고, 유의미한 정보를 얻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MovieLens 데이터는 영화의 전체 개수에 비해 사용자별 평균 영화 평점 수가 낮아 결측 비율이 높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군집화 방법을 적용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MovieLens 데이터 특성에 모티브를 얻어 쌍별 규합 벌점함수(pairwise fused penalty)를 활용한 볼록 군집화(convex clustering) 기반의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결측치 대체(missing imputation)도 동시에 해결하는 최적화 문제를 통해 기존의 군집화 분석과 차별화하였다. 군집화는 반복 알고리즘인 ADMM을 통해 제안하는 최적화 문제를 풀어 진행한다. 또한 시뮬레이션과 MovieLens 데이터 적용을 통해 제안하는 군집화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노이즈 및 이상치에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청둥오리의 이동거리 및 행동권 연구 (Movements and Home-range of Mallards by GPS-Mobile based Telementary (WT-200) in Korea)

  • 강태한;김달호;조해진;신용운;이한수;서재화;황종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2-649
    • /
    • 2014
  • 청둥오리는 대표적인 한국내 월동 수조류로 넓은 농경지를 월동지로 이용한다. 한국의 중부지역에 위치한 만경강 하류지역에서 청둥오리 월동 행동권 및 월동지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2013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청둥오리 7개체에 GPS-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부착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MCP)에 의해서 $118.8km^2$(SD=70.1, n=7) 이었으며, 커널밀도측정법(KDE)으로는 $60.0km^2$(KDE 90%), $23.0km^2$(KDE 70%) and $11.6km^2$(KDE 50%)이었다.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 부착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는 평균 19.4km이었으며, 최대이동거리는 33.2km, 최소이동거리는 9.4km이었다. GPS좌표가 획득된 정점간 거리는 평균 0.8km이었으며, 정점간 이동거리는 최소 6.5km에서 최대 19.7km이었다. 청둥오리는 월동기 동안 매우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으며, 월동지에서 수계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

특수타의 채택이 침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doption of Special Rudders on Course Stability of a Ship)

  • 손경호;김진형;김현수;김윤수;하문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7-37
    • /
    • 1997
  • 본 연구는 특수타의 채택으로 인한 침로 안정성 개선 효과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여러 특수 형태의 타(본 연구에서는 특수타로서 볼록타, 오목타, 플랩타, 엔드플레이트타를 생각함)를 동일 선체에 설치하였을 때의 침로 안정성 개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먼저 특수타의 타 단독 시험을 실시하여 양력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선체-프로펠러-타 시스템에서의 각종 구속 모형 시험을 실시하여, 특수타가 타수직력과 관련된 실험 정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실험 결과로부터 특수타의 채택에 따른 조종성 미계수의 변화를 구하고, 침로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분석, 비교 및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볼록타와 오목타 그라고 플랩타는 침로 안정화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고, 엔드플레이트타는 침로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초기 설계 단계 또는 선박 건조 후 침로 안정성이 문제시된 선박에, 선미 형상의 설계 변경없이 타의 형상 개조만으로 침로 안정성을 개선시키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