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희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문왕팔괘(文王八卦)에 관(關)한 연구(硏究)

  • 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8-67
    • /
    • 2000
  • 통과대문왕팔괘차서도화문왕팔괘방위도적연구(通過對文王八卦次序圖和文王八卦方位圖的硏究). 득도요여하결론(得到了如下結論). 1. 최초명명위문왕팔괘차서도화문왕팔괘방위도적인시소옹(最初命名爲文王八卦次序圖和文王八卦方位圖的人是邵雍). 문왕팔괘차서도화문왕팔괘방위도수연몰유시문왕소화적확체적근거(文王八卦次序圖和文王八卦方位圖雖然沒有是文王所畵的確切的根據), 단시종추연복희이(但是從推演伏羲易), 동사상결합(同事相結合), 최종확립여금적역학체계적인시문왕(最終確立如今的易學體系的人是文王). 이차환부합현금적역리(而且還符合現今的易理), 인차구유일정설복력(因此具有一定說服力). 2. 재문왕팔괘차서도중삼남유일양이음구성(在文王八卦次序圖中三男由一陽二陰構成). 삼녀유일음이양구성(三女由一陰二陽構成). 저가이용음양호근적원리진행설명(這可以用陰陽互根的原理進行說明). 3. 복희팔괘방위도현시모종공간상(伏羲八卦方位圖顯示某種空間相). 이문왕팔괘방위도칙현시사시(而文王八卦方位圖則顯示四時). 팔절적변화화만물생장적류행주기등시간상적변화(八節的變化和萬物生長的流行周期等時間上的變化). 4. 문왕팔괘방위도동사시적오행상일치(文王八卦方位圖同四時的五行相一致). 시상생관계(是相生關係), 팔괘당중각유양개목김토(八卦當中各有兩개木金土). 시유우형흔왕성(是由于形흔旺盛), 수화각유일개시유우기흔왕성(水火各有一개是由于氣흔旺盛). 5. 문왕팔괘방위도재표면상간호상시오행상생적관계(文王八卦方位圖在表面上看好象是五行相生的關係). 단시(但是), 상호성대면적팔괘적오행도성상극관계(相互成對面的八卦的五行都成相剋關係). 화동측상임적감수(和東側相臨的坎水) 간토(艮土) 진목(震木) 손목도시성상극관계(孫木都是成相剋關係). 종차가이지도상극시발전만물적주체(從此可以知道相剋是發展萬物的主體). 6. 대우복희팔괘전화위문왕팔괘적원리(對于伏羲八卦轉化爲文王八卦的原理), 수유각종이론제출(雖有各種理論提出). 단시상무확체적설법(但是尙無確切的說法). 7. 복희팔괘주요체현천도화외상등(伏羲八卦主要體現天道和外象等), 문왕팔괘측체현인사화내정등(文王八卦側體現人事和內情等). 8. 복희팔괘위체(伏羲八卦爲體), 문왕팔괘위용(文王八卦爲用). 복희팔괘중(伏羲八卦中), 위변화적주체적천지즉건곤위우중축(爲變化的主體的天地卽乾坤位于中軸). 문왕팔괘중(文王八卦中), 위변화적대용적일월즉감리위우중축(位變化的大用的日月卽坎離位于中軸). 9. 복희팔괘도속우표현춘천적변화지상적제일괘도(伏羲八卦圖屬于表現春天的變化之象的第一掛圖), 생괘도화창조도(生掛圖和倉曹圖), 문왕팔괘도칙속우표현하천적변화지상적제이괘도(文王八卦圖則屬于表現夏天的變化之象的第二掛圖), 장괘도화발전도(長掛圖和發展圖). 10. 문왕팔괘도시류행이치기용적역지용(文王八卦圖是流行以致其用的易之用), 표현무질서화혼란(表現無秩序和混亂), 위화여괴리상호란무적난음난양지상(韋和與乖離相互亂舞的亂陰亂陽之象). 11. 문왕팔괘도화낙서적변화원리상일치(文王八卦圖和洛書的變化原理相一致), 가이장낙서적수직접대응도문왕팔괘도중(可以將洛書的數直接對應到文王八卦圖中). 우명낙서팔괘도(又名洛書八卦圖). 구수도혹일구역(九數圖或一九易). 12. 문왕팔괘도적상대응적수자지합도위십(文王八卦圖的相對應的數字之合都爲十). 저예시료성괘도십수도적출현(這豫示了成掛圖十數圖的出現).

  • PDF

『태극도통감』의 도상을 통해 본 대순사상의 '선·후천' 개념 (The Concept of 'the Former World and the Later World' in Daesoon Thought as Introduced via the Diagrams of The Comprehensive Mirror of Taegeukdo)

  • 이봉호
    • 대순사상논총
    • /
    • 제47집
    • /
    • pp.65-103
    • /
    • 2023
  • 대순사상의 핵심 경전인 『전경』에는 선천과 후천을 상극의 시대와 상생의 시대로 구분한다. 이러한 선천과 후천 개념은 『태극도통감』에서는 역학의 도상으로 나타난다. 역학에서 선천과 후천은 송대 도서역의 주요한 개념이다. 역학의 도상에서 「복희8괘차서도」, 「복희8괘방위도」, 「복희64괘차서도」, 「복희64괘방위도」는 선천에 해당하고, 「문왕8괘차서도」, 「문왕8괘방위도」 등은 후천에 해당한다. 『태극도통감』에서는 이 역학의 도상들을 대순사상에 따라 재해석한다. 「문왕시대 팔괘도」는 역학에서 「문왕팔괘도」에 해당한다. 이 도상은 「설괘전」 제5장의 경문에 따라 그려진 도상이다. 이 도상은 곤(坤)을 중심으로 한 "지존시대(地尊時代)"에 해당한다. 역학의 「복희팔괘방위도」는 대순사상에서 「복희시대 팔괘방위도」에 해당한다. 이 도상에서 가장 큰 특징은 동서남북 정방위에서 남북 방위에 배당된 괘가 천지비괘라는 것이다. 이는 비괘(否卦)가 음양의 교류와 소통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괘상을 의미한다. 당연히 이는 음양의 상극을 상징한다. 이를 대순사상에서는 "천존시대(天尊時代)"라고 표현한다. 『태극도통감』의 「정역시대 팔괘도」의 도상의 가장 큰 특징은 동서남북 정방위에서 남북 방위에 배당된 괘가 지천태괘(地天泰卦)이다. 이는 감리괘가 정방위에서 벗어나 있어 오행에서 상극이 해소된 도상이다. 그래서 이 도상은 "어떠한 상극의 이치도 없는(全無相克之理)" 세상이자 "인존시대(人尊時代)"를 상징한다. 『전경』의 내용에 따르면, 상제께서 선천의 상극을 바로 잡는 삼계공사를 행하시고, 이 삼계공사의 결과로 후천 세계의 상생 도가 구현된다. 상제의 삼계공사는 신명계에서 행한 일이지만, 이는 후천 세계에서는 상생의 도가 구현되는 선경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후천의 세계를 도상으로 구현한 것이 『태극도통감』의 「정역시대 팔괘도」이다.

복희(伏羲) 차서도(次序圖)에 입각한 음식물의 섭취와 소화 및 배설 과정에 대한 팔괘(八卦) 배속(配屬) (Assignment of the Eight Trigrams for the Process on Intake, Digestion, Excretion of Food, Being Based BEOK-HEE's Diagram of Eight Trigrams Order)

  • 김경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86-589
    • /
    • 2005
  • To study on the assignment of the eight trigrams (八卦) for the process on intake, digestion, excretion of food. Being based BEOK-HEE's diagram of eight trigrams order(伏羲次序圖), provisional namely six entera are assigned eight trigrams(八卦). Eight trigrams(八卦) are attached to the air(GEON 乾), the month(TAE 兌), the stomach(LEE 離), the small intestine(JIN 震),the large intestine(SON 巽), the rectum(GAM 坎), the anus(GAN 艮), the excrements(GON 坤). The BEOK-HEE's diagram of eight trigrams order(伏羲次序圖) means immutable order naturally. The process of six entera's digestion is also unchangeable in region and program. Therefore we can set up the process of six entera's digestion as the category of observation on the basis of BEOK-HEE's diagram of eight trigrams order(伏羲次序圖), and then we can arrange eight trigrams(八卦) on the process of six entera's digestion.

산학서의 서문(序文)에 나타난 산학(算學)에 대한 인식 (A viewpoint of mathematics through the preface of the mathematics text(算學書))

  • 이경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563-58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산학서의 서문에서 산학과 산학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표현들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첫째 육예지일(六藝之一), 둘째 복회(伏羲) 주공(周公) 공자(孔子) 공문(孔門), 셋째 도(道) 색 미오(微奧) 정미(精微), 넷째 경세지실용(經世之實用)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여러 산학서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이러한 표현들을 통해 산학의 활성화를 위한 산학서 저자들의 노력을 되짚어 보고자 한다.

  • PDF

온라인 열람목록의 이용자연구 (OPAC user studies)

  • 사공복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118
    • /
    • 1998
  • CLR-OPAC 연구와 그 이후에 수행된 주요 온라인 열람목록의 이용자연구 결과를 분석, 종합하였다. 각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적 특성, 이용자 교육, 이용자 인터페이스의 세가지 범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이용자 연구에 사용되는 각 데이터수집방법의 장단점과 각 방법을 통하여 입수할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 PDF

정보추구행태모형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Models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 사공복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3-119
    • /
    • 2003
  • 정보추구행태를 연구한 문헌에서 제시된 모형들을 검토하고, 비교 ·분석하여, 정보추구행태에 관한 경험적 연구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일반적 모형들을 제시하였다. 어떤 복합적 상황, 직업, 역할, 학문 영역에도 적용할 수 있는 모형에 초점을 맞추어 선택하였다. 논의된 모형은 Wilson(1981. 1996), Krikels(1983). Dervin(1983, 1996), Ellis(1989), Ellis, Cox와 Hall(1993), Kuhlthau(1991), Leckie, Pettigrew와 Sylvain(1996), Johnson(1997)에 의해 제시된 모형들이다. 모형이 구축된 시점을 중심으로 연대순으로 살펴보고, 비교 · 분석하였다.

연구활동에 있어서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Informal Communication in Research Activities)

  • 사공복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7-145
    • /
    • 1984
  • 연구자들은 정보폭발에 대처하고 또 공식 커뮤니케이션으로 충족되지 않은 정보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정보제공이라는 정보시스팀의 궁극적인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 공식채널이 갖지 못한 비공식채널이 기능을 공식시스팀에 적용시키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이 방면에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정보서비스의 효율화, 나아가서 과학 기술의 발전이 촉진될 수 있기 위하여 그 기초작업으로서 연구활동에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및 기능,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사회조직인 비공식연구집단,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공식화 등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조선후기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Ki Ho School of Neo-Confucianism on Yi Xue Qi Meng in Later Chosun Period)

  • 이선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35호
    • /
    • pp.275-308
    • /
    • 2012
  • 이 글은 조선후기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자료의 측면에서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는 대체로 한원진을 중심으로 그의 동료, 문인들에 의해 연구되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퇴계학파의 "역학계몽"연구가 이황 "계몽전의"이후, 16세기말로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진데 비하여,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는 18세기에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그 이전과 이후에는 비중있는 연구저작들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본고에서 채택한 주제는 3가지로, 그들의 태극론, 하도와 8괘형성에 관한 이론, "본도서"의 이른바 '오위상득설'이 그것이다. 태극론의 경우 기호성리학파는 "역학계몽"의 상수적 태극을 이기지묘의 이기론과 인기질의 인성론을 바탕으로 해명하는 독특성을 보여준다. 하도와 8괘형성에 관한 이론에 있어서는 기호성리학파내부에서도 논의가 분분하여 명쾌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결국 그들은 종래 주희와 호방평이 하도와 복희팔괘횡도, 복희팔괘원도를 종합하여 하나의 원리로 설명하려던 시도를 유보한다. 한원진은 하도와 원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양자의 관계를 보다 명쾌하게 설명해내는 방식을 취하고, 이는 그의 동료문인들에게 지지를 받는다. 이러한 과정은 전통적 진리체계의 보편성에 대한 의식의 균열을 내포하며, 이러한 기류는 홍대용과 같은 기호실학자들에 의해 전통과학과 진리체계가 부정되면서, 19세기 "역학계몽"연구가 지속되지 못하는 한 원인이 되었다는 것이 필자의 가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