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 염색

Search Result 27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쪽과 괴화를 이용한 양모직물의 복합염색

  • An, Seon-Yeong;Bae, Jeong-Suk;Heo, Ma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69-70
    • /
    • 2009
  • 천연염색의 색상다양화를 위하여 단백질 섬유인 양모직물에 쪽과 괴화를 이용하여 복합염색을 실시하였다. 복합염색시 쪽염액으로 먼저 염색한 후 괴화염액으로 복합염색한 경우가 괴화염액으로 염색한 후 쪽염액으로 복합염색한 경우에 비해 염착량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염색시, 양모직물의 경우 색상의 다양한 효과는 괴화로 먼저 염색하는 것이, 중간색상 발현의 경우에는 쪽으로 먼저 염색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

Dyeabilities of Elastic Composite Yarn Woven Fabrics (탄성복합사를 이용한 직물의 염색성에 대한 연구)

  • Kim, Ji-Yeon;Kim, Sang-Wook;Min, Mun-Hong;Lee, Sang-Bong;Park, Yeon-Bong;Kang, Shin-Hyeok;Yeum, Je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108-108
    • /
    • 2012
  • 이전의 연구에서 기존의 ATY 장치에 ITY 노즐을 접목하여 개조한 사가공기로 제조한 탄성복합사를 자동차 시트용 트리코트 원단으로 편직하여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염료를 선정하고 $125^{\circ}C$에서 염색하여야 견뢰도와 spandex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폴리에스테르 탄성복합사의 염색성 평가에 이어 본 연구에서는 나일론 필라멘트 (70/24, Full-dull, 2ply사와 40D spandex 1ply사 복합)와 레이온사(75D, 1ply)를 투입하여 직물 원단(중량 216g/yd, 밀도 경사 78, 위사 52본/inch)을 제직한 후 2욕에서의 염색공정을 거칠 경우, 탄성복합사의 견뢰도와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나일론, 레이온, 폴리우레탄의 3종 원단을 염색성 평가를 위하여 반응성염료로 먼저 레이온 부분을 염색한 후 산성염료로 나일론 부분을 염색하였으며, 이 때 spandex가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spandex가 함유되지 않은 나일론, 레이온 복합 제직원단도 함께 염색한 후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레이온 부분은 CPB염색법과 제트염색기로 나누어 염색하여 염색기에 따른 인장강도와 인열강도를 평가하였다. 레이온 염색에는 셀룰로오스용 2관능기 반응성염료 3원색을 이용하여 khaki color로 combination염색하였으며, 나일론 부분에는 입자크기가 커서 견뢰도가 우수한 산성염료를 선정하여 combination염색한 후 냉수세하였다. 견뢰도를 비교한 결과, spandex가 포함된 탄성복합사 원단과 나일론과 레이온 만으로 제직된 원단 모두 세탁, 마찰, 물, 땀, 일광 견뢰도 모두가 4~5급으로 우수하여 spandex에 이염된 염료가 견뢰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레이온 부분의 반응성염료 염색 시 CPB와 제트염색법의 두 가지 종류에 대한 인장강도와 인열강도 평가결과는 CPB 염색물이 제트염색물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지만 3% 이내의 차이로 거의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제트염색 시 원단은 로프상으로 이동하고, CPB염법은 확포상태 그대로 염색되기 때문에 제트염색 시 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탄성복합사를 경사, 위사 모두 사용함으로써 spandex가 신장하는 특성 때문에 강도의 저하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Migration Properties and Color Fastness of Disperse Dyes on Acetate, Tri-Acetate, PET and Mixture Fabrics (Acetate, Tri-Acetate, PET 및 복합소재에 대한 염색성 및 물성분석)

  • Kim, Gyeong-Mi;Woo, Jong-Hyeong;Chung, Yea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51-51
    • /
    • 2011
  • Acetate 섬유는 고감성 제품의 대표적 핵심소재로서 실크와 같은 우아한 광택과 청량감을 주어 고가의 의류제품으로 사용되지만 편직 및 염색가공 공정이 까다롭고 비교적 저분자량의 분산염료로 염색되어 내열성, 염색견뢰도 및 물에 대한 형태안정성이 떨어진다. 특히, Acetate 편직물은 이태리나 일본 등 섬유선진국에서도 제조가 까다로운 기술적 난이도가 매우 높은 제품군이다. 반면 Tri-Acetate는 Acetate의 장점을 가지면서 내열성, 내세탁성, 원상회복력(resilience)등이 우수하여 기존 Acetate 시장의 고급제품 용도로의 전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PET 등의 물성 및 형태가 다른 복수의 소재성분을 직물 사이에 공존시킴으로써 새로운 태, 기능, 외관, 광택의 부여가 가능하며 이를 활용한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시장의 창출이 기대된다. Acetate와 Tri-Acetate 모두 셀룰로오스의 친수기가 아세틸화된 구조를 가지는 소수성 섬유로 분자구조가 치밀하여 분산염료로 염색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Acetate 섬유의 경우 Acetate용 일반분산염료를 사용하여 저온상압염색을 하는 반면, Tri-Acetate의 경우 고온고압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고온고압염색을 한다. PET와 Tri-Acetate 복합소재의 경우, 두 소재의 염색거동이 비슷하여 고온고압 분산염료로 염색이 가능하지만 T/P 복합소재에 상응하는 염색을 위해서는 복합소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소재에 적합한 염료의 선정 및 염색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Tri-Acetate 및 T/P 복합소재에 대한 염색최적조건을 규명하고자 염색온도별, 2종의 분산염료의 농도별 염색성, 염색시료의 인열강도 및 견뢰도를 측정하여 적정조건을 도출하였다.

  • PDF

Antibacterial, Water-repellent, Antisoil finish of Composite Wool Fabrics (Wool복합직물의 항균, 발수, 방오 복합염색가공)

  • Gwon, Il-Jun;Park, Seong-Min;Kim, Ji-Yeon;Son, Won-Seok;Kim, Cheol-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8.04a
    • /
    • pp.204-206
    • /
    • 2008
  • 본 연구는 양모 복합섬유용 복합가공제 및 이를 이용한 양모 복합섬유의 복합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 실험조건을 통해 양모를 포함하는 다종 섬유간에 손상 또는 침해가 없으면서 색상의 균염성을 확보하고, 우수한 항균성, 발수성, 방오성을 발현할 수 있는 양모 복합섬유가공에 관한 연구이다.

  • PDF

Natural Dyeing of Silks Dyed Singly with Caesalpinia sappan, Dactylopius coccus, Combination-Dyed with Caesalpinia sappan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 and with Dactylopius coccus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 (소목 및 코치닐로 단독 염색한 견직물, 그리고 소목과 황벽 및 코치닐과 황벽으로 복합 염색한 견직물의 천연염색)

  • Jung, Jin So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4
    • /
    • pp.275-281
    • /
    • 2020
  • We studied the dyeability and functionality of silks dyed singly with Caesalpinia sappan, Dactylopius coccus, combination-dyed with Caesalpinia sappan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 and with Dactylopius coccus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 The color of silk dyed singly with Caesalpinia sappan was Red with Hue of 2.2 R, the color of silk dyed singly with Dactylopius coccus was Reddish Purple with Hue of 3.0 RP, The color of silk combination-dyed with Caesalpinia sappan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 was 2.7YR being in the Orange family, and the color of silk combination-dyed with Dactylopius coccus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 was Red with Hue of 4.3R. In the case of antimicrobial activity, except for silk dyed only with Dactylopius coccus, the other three types of dyed silk showed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chieving higher than 91.1% of bacteria reduction rate. Against Klebsiella pneumoniae, silk combination-dyed with Dactylopius coccus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 and with Caesalpinia sappan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 presented very excellent antimicrobial property achieving bacteria reduction rate of 99.9%.

Dye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ilks Dyed Singly with Sophora japonica L., Curcuma longa L., Combination-Dyed with Polygonum tinctorium L. and Sophora japonica L., and with Polygonum tinctorium L. and Curcuma longa L. (회화 및 울금에 의한 단독 염색 견직물 그리고 쪽과 회화 및 쪽과 울금에 의한 복합 염색 견직물의 염색성 및 항균성)

  • Jung, Jin So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4
    • /
    • pp.45-52
    • /
    • 2020
  • We examined the dye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ilks dyed singly with Sophora japonica L., Curcuma longa L., combination-dyed with Polygonum tinctorium L. and Sophora japonica L., and with Polygonum tinctorium L. and Curcuma longa L.. The color of silk dyed singly with Sophora japonica L., Curcuma longa L. was Yellow with Hue of 5.0Y and 0.6Y, respectively. Two types of combination-dyed silk were Blue Green with 2.6BG and 1.5BG, respectively. In the case of dry Cleaning fastness and rub fastness, all four types of dyed silk was good, achieving grade 4~5.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taphylococcus aureus of silk dyed with Sophora japonica L. extract showed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of 99.5% and the other three types of dyed silk of 99.9%. In addition, in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Klebsiella pneumonia, silk dyed with Sophora japonica L. extract showed 99.6%, and the other three types of dyed silk exhibited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of 99.9%.

형태안정성 레이온 복합소재 염색가공 연구

  • Kim, Myeong-Sun;Park, Seong-Min;Gwon, Il-Jun;Seo, Mal-Yong;Kim, Hye-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103-103
    • /
    • 2011
  • 비스코스레이온(Viscose Rayon)소재는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한 재생섬유(습식방사)로서 Drape성과 반발성은 탁월하나, 습식방사에 따른 분자구조적 불안정성으로 건 습열처리시 형태불안정(치수변화율이 큼)으로 제직(준비) 및 후공정상 여러 가지 Trouble 유발과 완제품 세탁시 수축발생으로 종종 Dry Creanning 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수분흡수시 강도저하, 수축과 구김, 염색 불균염 등의 문제점과 섬유공정상 생활취급상에 많은 애로를 가지고 있으며, 구성고분자가 수소결합에 의해 강고하여 "신축문제", 수분흡수시 팽윤(Swelling)에 의한 형태불안, 즉 "수축문제"가 개선해야 할 고질적 문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이온 소재의 형태안정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복합사고공 및 염색가공 기술을 개발하고자한다. 신축 및 복합기술에 의한 Rayon DTY, N/R 신축 및 복합기술에 의한 Rayon DTY, N/R 복합가공사를 개발, 제편직 요소기술과 염가공기술을 연구하므로서 형태안정성 레이온 복합소재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Rayon 소재의 후공정 용이성과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레이온 DTY가공사, Rayon-합섬 장(長)-장(長) 복합사를 개발하여 CoolBiz용 냉감소재 및 스포츠 웨어 소재 등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사가공기술에 의한 신도 16%, 수축률 1.6%인 형태안정 Rayon DTY 소재를 개발하였으며, 선연후가공기술에 의하여 N/R 복합가공사를 개발, 신도 18%, 수축률 1.2%인 차별화 레이온 소재를 개발하였다. 이에 기존 Rayon 후가공 및 염색공정과 상이한 개발된 선연후 가연 Rayon DTY가공사 및 T/R혼방사를 활용한 직물에 대하여 최적 전처리, 염색 후가공 공정의 최적 조건을 알아보았다.

  • PDF

형태안정성 레이온 복합소재의 염색특성에 관한 연구

  • Kim, Myeong-Sun;Park, Seong-Min;Gwon, Il-Jun;Seo, Mal-Yong;Kim, Hye-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61-61
    • /
    • 2011
  •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yon)은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한 재생섬유로서 은은한 광택과 발색성, 흡습성 등의 기능 뿐만 아니라, 천연섬유에 찾을 수 없는 Numeri감(Smoothness), Drape(처짐)성, 반발탄성을 가지고 있는 지극히 친환경적이며 자연순환형 소재로 인식, 지구온난화에 따른 CoolBiz Look 패션소재인 레이온 소재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레이온 소재는 수분흡수 시 강도저하, 수축과 구김, 염색 불균염 등의 문제점과 섬유공정상 생활취급상에 많은 애로를 가지고 있으며, 구성고분자가 수소결합에 의해 강고하여 "신축문제", 수분흡수시 팽윤(Swelling)에 의한 형태불안, 즉 "수축문제"가 개선해야 할 고질적 문제로 남아 있다. 또한, 습식방사에 따른 분자구조적 불안정성으로 건 습열처리시 형태불안정(치수변화율이 큼)으로 제직(준비) 및 후공정상 여러 가지 Trouble 유발과 완제품 세탁시 수축발생으로 종종 Dry Creanning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이온 소재의 형태안정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복합사가공 및 염색가공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며, 신축 및 복합기술에 의한 Rayon DTY, T/R 신축 및 복합기술에 의한 Rayon DTY, T/R 복합가공사를 개발, 제편직 요소기술과 최적의 전처리 조건, 다양한 염료의 종류, 염색온도 조건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Dyeing Properties of PU-impregnated Nylon Fibers (폴리우레탄과 나일론 복합소재의 염색성)

  • Lee, Seung-Kwan;Kim, Sung-Dong;Kim, Young-Tae;Kim, Byu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41-41
    • /
    • 2012
  • 고급 스포츠웨어와 이너웨어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나일론/폴리우레탄 혼방제품은 염색에 있어서 Grin-through 현상, 인공피혁의 염료 이염 현상 등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나일론과 폴리우레탄 복합소재에서 나타나는 염색거동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폴리우레탄 복합소재의 염색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폴리우레탄 복합소재는 해성분이 용출되지 않은 나일론 초극세사 소재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침하여 인공피혁과 같은 느낌을 주도록 직접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함침 나일론 초극세사 소재의 해성분을 용출하였고, Red 색상의 밀링형 산성 염료, 함금속 염료와 반응성 염료에 따라 달라지는 염색특성 및 세탁 견뢰도 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나일론 초극세사와 폴리우레탄 수지를 준비하여 습식공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한 함침 소재를 알칼리 감량하였고, 감량률은 15~17% 정도로서 대부분의 해성분이 용출됨을 확인하였다. PPG와 PTMG로 구성된 폴리올을 기반으로 한 폴리우레탄 함침 피혁과 PTMG를 단독으로 사용한 함침 피혁의 염색성을 비교한 결과, PPG+PTMG 타입이 더 우수한 염색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밀링 타입과 함금속 타입 염료의 경우는 거의 2배 이상의 흡진율과 겉보기 색농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반응성 염료의 경우는 두 종류의 폴리우레탄 필름에 거의 염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앞으로의 염색실험에서 제외하였다. 견뢰도 측면에서는 각각의 피염물의 등급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인공피혁 제조시 PPG+PTMG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함침시 더 높은 색강도와 염착률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사용하는 염료의 종류를 좀 더 다양하게 하여 실험을 실시하고 폴리우레탄의 물성 및 분석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인공피혁의 염색시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s of Colorimetric Properties and Color Sensibility Factors on Color Preferences for Green Yellow Natural Dyed Silk Fabrics: Focused on Combination Dyeing with Indigo and Japanese Pagoda Tree (연두색 천연염색 견직물의 색채특성과 감성요인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쪽과 괴화의 복합염색을 중심으로)

  • Shin, Judong;Kim, Yeowon;Choi, Jongmyou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1 no.1
    • /
    • pp.143-154
    • /
    • 2018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suggest useful data for color planning of eco-friendly and sensible fashion products. Silk fabrics were dyed in combination with natural indigo and Japanese pagoda tree and were treated with four kinds of mordants after combination dyeing. Then, their colorimetric properties were evaluated. From these composite-dyed silk fabrics, color sensibilities and color preferences of green yellow (GY) color were evaluated among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us, the influences of colorimetric properties and color sensibilities on color preferences were analyzed. When the silk fabrics were dyed in the combination of natural indigo and Japanese pagoda tree and were treated without mordants, they turned green color when indigo 10 g/L was used, and blue-green when indigo 20 g/L was added. And when they were dyed in combination of natural indigo and Japanese pagoda tree and were treated with four kind of mordants after combination dyeing, they turned GY color in almost all cases. The color sensibilities of the GY silk fabrics with the combination dyeing of indigo and Japanese pagoda tree,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pleasantness, gracefulness, and comfort. Color sensibility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indigo and the kinds of mordants. There were almost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olorimetric properties and color sensibilities factors of compositely dyed GY silk fabrics. The color preferences of the GY fabrics, which were dyed in the combination of using natural indigo and Japanese pagoda tree and four kinds of mordants, were found to be predicted by the color sensibility in a regress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