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피해지역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llium tuberosum, a New Hos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Korea (부추의 뿌리혹선충 피해 보고)

  • Kim, Dong-Geun;Lee, Joong-Hwan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4 no.1
    • /
    • pp.76-78
    • /
    • 2008
  • During the investigation of Allium decline in Pohang, Korea, root-knot nematode was found from root of Allium tuberosum Roth. It was identified as Meloidogyne incognita and was first reported from Allium tuberosum. Allium decline was associated with root-knot nematode, root mite and Fusarium sp. but root-knot nematode appeared to be the main cause of Allium decline.

Analysis of Freeboard of Levee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하천 제방 여유고 분석)

  • Kim, Kyung-Tae;Kim, Yon-Soo;Eo, Gyu;Choi, Chang-Hyu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56-258
    • /
    • 2015
  • 연안지역에서는 강우의 증가로 인한 재해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재해 등 두 개 이상의 재해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그 피해도 더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동시에 고려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화강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량의 증가와 해수면 상승이 연안 지역과 인접한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수문모형과 수리모형을 구축하였고, 미래 평균 확률강우량 증가율과, 해수면 상승고를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량 및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제방에 대한 여유고를 구하였고, 하천설계기준의 여유고를 만족하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구간 40.17km중 약57~78.9%의 구간이 여유고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해수면 상승의 영향으로 홍수위의 변화는 하류부의 일정 구간까지만 영향 미쳤고, 해수면 상승을 고려하지 않을 때 여유고가 만족하지 못하는 구간은 약1.9~3.8% 감소하였다.

  • PDF

Influence Factors Suggestion and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of Regional Building Damage Costs according to Typhoon (태풍에 따른 지역별 건물피해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출 및 피해 예측모델 개발)

  • Kim, Ji-myung;Kim, Boo-Young;Yang, Seongpil;Oh, Jeongill;Son,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5 no.5
    • /
    • pp.515-525
    • /
    • 2015
  • Currently,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erious damage by typhoon has been occurred in the world. In this respect, the research on the prediction model to minimize the damage from various natural disaster has been conducted in several developed countries. In the case of U.S, various models to predict building damage costs have been used widely in many organizations such as insurance companies and governments. In South Korea, although studies regarding damage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typhoon have been conducted, the scope has been only limited to consider the property of typho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typhoon information, geography,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socio-economy factors to predict the damages. Therefore, to address this issue, first,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between various variables based on the data of typhoon from 2003 to 2012. Second, the damage prediction model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is developed based on suggested influence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develop the model for predicting the damage costs of buildings by typhoon like HAZUS-MH of US.

Development of Multi-hazard Fragility Surface for Liquefaction of Levee Considering Earthquake Magnitude and Water Level (수위와 지진을 고려한 제방의 액상화에 대한 복합재해 취약도 곡면 작성)

  • Hwang, Ji-Min;Cho, S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4 no.6
    • /
    • pp.25-36
    • /
    • 2018
  • Soil liquefaction is one of the types of major seismic damage. Soil liquefaction is a phenomenon that can cause enormous human and economic damages, and it must be examined before designing geotechnical structur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practical method of developing a multi-hazard fragility surface for liquefaction of levee considering earthquake magnitude and water level. Limit state for liquefaction of levee was defined by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 which is frequently used to assess the liquefaction susceptibility of soils. In order to consider the uncertainty of soil properties, Monte Carlo Simulation based probabilistic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3D fragility surface representing the probability of failure by soil liquefaction as a function of the ground motion and water level has been established. The prepared multi-hazard fragility surface can be used to evaluate the safety of levees against liquefaction and to assess the risk in earthquake and flood prone areas.

IoT convergence with inundation response technology in coastal cities (IoT 융합 해안도시 침수대응 기술 개발 및 실증 연구)

  • Ha, Sangmin;Kim, Jiho;Lee, Gyuwon;Park, Jungkyu;Lee, I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0-340
    • /
    • 2020
  • 본 연구는 산지-도심-해안으로 연결된 해안도시의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해일과 같은 조위 상승 원인이 침수 및 홍수 위험을 증가시키는 복합재난에 대응하기 위하여 실시간 침수 위험정보 확인 및 대응, 대시민 상황전파 등이 가능하도록 IoT 융합 침수 대응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침수 및 홍수방어벽 등의 구조적대책을 검토하여 실시간 IoT 융합 침수 대응시스템과 연계운영함으로써 해안도시의 시설 및 재산을 보호하고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실증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침수 대응을 위한 구조적 대책은 양산형 IoT 침수 및 하천수위 감지 장비, 센서 연동 침수 및 홍수방어벽, 복합재난알림 디스플레이 등의 개발이며, 비구조적 대책은 강우-하천수위-조위 실측자료기반의 머신러닝 침수위험 분석 모듈 개발, 수치모의에 의한 예상 침수심 및 침수위험지도 작성, 재난상황 전파 알림서비스 등이 있으며 개발된 시제품과 기술을 테스트베드에 적용하고 부산광역시에서 운영하는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인 스마트빅보드(SBB, Smart Big Board)에 연계 및 탑재함으로써 향상된 침수대응 및 대시민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 및 실증하고자 한다. 센서, 통신, 자료연계 및 분석에 대한 IoT 융합 기술을 침수 대응 기술개발에 적극 활용하여 실측자료와 수치모의 분석 결과가 연계된 침수위험정보를 생산하고 실시간 대응이 가능한 효율적이고 실질적으로 피해를 저감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입증한다면 국내외 해안도시에 확대 보급이 가능해져 침수 피해로부터 효과적으로 국민의 재산과 생명 보호할 수 있다. 또한, IoT 기술을 연계한 재난 모니터링 시스템의 확산으로 복합재난 대응 연구에 기여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실측자료 수집, 연구에 소외되어 온 소하천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재난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atus of Government Supports to Overcome the Hebei Spirit Oil Pollution Accident and Suggestion of Responsive Policies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오염사고 극복을 위한 정부지원 현황 및 대응정책 제언)

  • Chung, Kwang-Yong;Lee, Seung-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7
    • /
    • pp.153-159
    • /
    • 2012
  • The Hebei Spirit oil pollution accident which occurred in Tae-an in 2007 has brought considerable impacts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struggles among the regions and the residents in the damaged area as well as devastation of local economy and ocean environment. The majority of the impact was related with economic problem. Also, the main factor to cause the regional community conflict was found to be firstly economic problems and secondly the insufficiency of government's management system and policy measures for the community conflicts. Therefore, the government's policy to overcome oil accidents should focus on improvement of the economic support systems and conflict resolution. In this study, the support policies taken by government after the Hebei Spirit accident was examined and responsive policies which can be used by government in future accidents are suggested.

The Analysis of Freeboard of Levee at Coastal Area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지역 하천 제방 여유고 분석)

  • Kim, Jong Sung;Kim, Kyung Tae;Choi, Chang Hyun;Kim, Yon Soo;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4-284
    • /
    • 2016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재해의 빈도와 피해의 규모는 점점 커지고, 예측의 불확실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와 관련된 자연재해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지만, 대부분의 기후변화 관련 연구는 미래 강우량과 해수면 상승을 분리하여 각각의 인자들에 따른 재난영향을 평가하였다. 그러나 연안지역에서는 강우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재해 등 두 개 이상의 재해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동시에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태화강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 하였고,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의 증가와 해수면 상승이 연안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유역의 토지피복도, 수치고도자료, 토양도, 해당 유역의 단면 등을 이용하여 수리 수문모형을 구성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증가량을 고려하여 시나리오별 유출량을 산정하였고, 산정된 유출량 및 기점수위를 경계조건으로 입력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산정된 홍수위와 하천설계기준 해설에서 제시하고 있는 제방 여유고를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목표기간별로 현재상태보다 최대 25.5%까지 첨두유출량이 증가하였고,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홍수위 변화는 하구부근에서 기점을 기준으로 약 7.1km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여유고의 부족 구간을 검토한 결과, 전체 구간 40.17km 중 약 31.7km인 79.5%가 여유고를 만족하지 못하였고, 해수면 상승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여유고를 만족하지 못하는 구간이 최대 3.8% 감소하였다. 연안지역의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 강우량 증가와 해수면 상승을 동시에 고려한다면, 심각한 홍수 피해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치수대책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Visual Techniques For Preventing Blackout in Power System (전력계통 광역정전 예방을 위한 시각화 기법)

  • Hur, Jin;Moon, Young-Hwan;Oh, Tae-Ky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1b
    • /
    • pp.204-206
    • /
    • 2005
  • 2003년 8월 14일 미국 동북부와 캐나다 동부지역을 포함한 북미 지역에서 발생한 대정전을 비롯하여 비슷한 시기에 유럽, 아시아, 중남미 등 해외 여러 곳에서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광역정전사고가 발생하여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피해가 약대하였다 특히 사회기반시설의 기능 마비로 인한 사회적 혼란 양상은 전력공급 안정성 확보를 국가재난방지대책 차원에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확산의 계기가 되었고 국내외적으로 광역정전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특히, 계통운영 자는 외란과 같은 계통사고 시 계통상태 변화 및 결과를 신속히 인식하고 대응하여 광역정전으로의 확산을 방지해야 한다. 이러한 신속한 정보인식을 위해 전력계통 현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전력계통을 감시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광역정전 예방을 위한 3D 기반의 전력계통 시각화(Visualization) 기법을 제안한다.

  • PDF

Forest Fire Risk Analysi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emporal and Spatial on Slope Direction Line (시공간 사면향 특성을 고려한 산불 위험성 평가)

  • Kim,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206-209
    • /
    • 2012
  • 산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일반적으로 산림 연료와 기상 그리고 지형인자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지형인자는 경사와 사면의 방향 그리고 해발고, 사면의 길이 등 여러 조건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산의 형세를 이룬다. 지형 조건 중 경사는 산불 발생 후 확산속도에 영향을 주며 사면의 방향은 태양복사에너지 일사량에 따른 연료의 건조와 연료의 온도 등에 영향을 줌으로써 산불의 발생과 확산에 영향을 준다. 특히 산불이 시작되는 이른 봄철에는 강설 후 사면향에 따라 적설지역과 눈이 녹아 건조한 지역이 사면의 향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산불위험 예보시에도 사면향에 따른 산불발생위험을 달리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방향에 따른 산불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먼저 태양복사에너지의 일사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산불사례조사를 통해 사면의 방향에 따라 산불발생 위험과 피해면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태양복사에너지 일사량이 가장 많은 사면의 향인 남사면을 중심으로 산불발생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method to construct system of u-Safe disaster management support (u-safe 재난대응지원(災難對應支援) 시스템 구축방안(構築方案)에 관한 연구(硏究))

  • Jeon, Jai-Pil;Yang, Hae-Soo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1-124
    • /
    • 2008
  • 서울에는 지상 60층이 넘는 초고층 건물과 지하 8층 이상의 초심층 건축물. 지하철과 상가, 백화점, 호텔, 전시장등이 연결된 대규모 복합유통시설 지역 등이 있다. 이런 지역이나 시설에서 화재와 같은 재난사고가 발생시 진압작전을 위해 투입된 소방관의 위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으면 투입된 소방관의 안전은 물론 효율적인 지휘통제가 제한되어 결국 더 많은 자체 피해와 더불어 화재 진압 및 시민 구조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대형재난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여 투입한 소방력의 효율적인 운영과 과학적인 진압작전을 구사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재난대응지원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