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전파흡수체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2초

복합 ferroxplana 전파흡수체의 재료정수와 전파흡수 특성 (The Material Constants and Microwave Absorbing Characteristics of ferroxplana Composite Microwave Absorber )

  • 신재영;오재희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9-54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복합 ferroxplana 전파흠수체의 X-band에서의 재료정수와 전파흡수특성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Ferroxplana 분말과 지지재인 고무와의 함량비(F/R)가 증가함에 따라 ${\mu}_{r}'$은 감소하며, ${\mu}_{r}"$은 증가하였다. 전파흡수체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반사감쇠량이 얻어지는 주파수 가 낮은쪽으로 이동하였으며, 흡수체의 두께가 2.6mm인 경우에는 대역폭이 우수하였고, 두께가 3.2mm인 경우에는 반사감쇠량이 우수하였다. 복합 ferroxplana 전파흡수체의 재료 정수를 광대역화에 요구되는 전파흡수체의 재료정수영역에 적용하여 전파흡수특성을 정량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재료 정수영역의 설정은 광대역 ferrite 전파흡수체의 설계지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적층판을 활용한 전파흡수체의 설계 및 성능에 대한 연구 (Study on Design and Performance of Microwave Absorbers of Carbon Nanotube Composite Laminates)

  • 김진봉;김천곤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38-4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유리섬유 강화 복합재 적층판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Dallenbach layer의 전파흡수체의 최적화 기법을 제시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복합재 적층판의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탄소나노튜브(CNT)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였다. 최적화 설계 기법은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에서 흡수체를 설계하고, 복합재의 두께 및 CNT 함유율을 최적화하였다. CNT 함유율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복합재의 복소 유전율의 수치적 모델이 사용되었다. 전파흡수체의 최적설계에서 주파수에 따라서 CNT 함유율은 비례하여 증가하고, 흡수체의 두께는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흡수체의 -10 dB 흡수대역폭은 흡수체가 설계된 중심주파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설계된 흡수체의 검증을 위해서 10 GHz에서 중심주파수를 갖는 흡수제를 제조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복합재 적층판의 복소 유전율과 전파흡수체의 반사손실은 벡터회로망분석기와 7 mm 동축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복합재의 두께와 복소 유전율에 있어서의 측정된 값과 예측치의 차이에 의해서 중심주파수의 이동, 중심주파수에서의 반사손실의 감쇄, 흡수대역폭의 감소가 발생하였다.

Ni-Cu-Zn Ferrite의 복합형 전파흡수체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icrowave Absorber Properties of Ni-Cu-Zn Ferrites Composite)

  • 민의흥;김문석;고재귀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38-241
    • /
    • 2007
  • 복합 전파흡수체로 사용할 Ni-Cu-Zn ferrite는 공침법을 사용하여 제조 하였고,제조 시편의 물리적 특성 및 전파흡수특성은 소결온도 변화에 따라 고찰하였다. Ni-Cu-Zn ferrite의 스피넬 구조는 XRD pattern을 통하며 확인하였다. 소결온도가 $1100^{\circ}C$에서 흡수 능력도 좋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소결된 페라이트의 초투자율은 평균 50 정도로 나타났다. $Ni_{0.7}Cu_{0.2}Zn_{0.1}Fe_2O_4$ 조성에서 소결 온도가 $1100^{\circ}C$ 일 때가 복합 전파흡수체로 사용할 조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복합 전파흡수체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Permalloy를 이용한 이동통신주파수 대역용 박형 전파흡수체의 제조 및 특성 연구 (Absorption Properties of Thin Permalloy-Rubber Absorber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Frequency Bands)

  • 김문석;민의홍;고재귀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5-119
    • /
    • 2008
  • Permalloy를 30시간 볼밀 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형상 및 입경을 분석하였으며, 볼밀 가공한 Permalloy의 입자들이 편편한 상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Permalloy를 실리콘 고무와 혼합하여 박형 전파흡수체를 제조하고 Network Analyzer을 이용하여 permalloy-고무 전파흡수체의 재료정수 및 전파흡수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그들의 상관 관계를 비교 조사하였다. 가공한 permalloy-고무 복합재료는 높은 복소유전율 및 복소투자율을 가지며 미가공한 permalloy-고무 복합재료 보다 전파흡수 특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전파흡수체 두께에 따라서 정합주파수가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shift 됨을 알 수 있고, 1.3 mm의 두께로 제조한 전파흡수체에서는 이동통신주파수 대역인 $1.65\;GHz{\sim}1.86\;GHz$에서 가장 우수한 전파흡수특성을 나타내었다.

옻을 지지재로 사용한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의 흡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osite EM Absorber's Absorption Characteristics Using Natural Lacquer by Binder)

  • 최동한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3 No.1
    • /
    • pp.622-629
    • /
    • 2003
  • 고성능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를 개발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지재로서 주로 Silicone 고무나 CPE가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공예에서 사용되어 오던 옻에 대한 전자파 흡수능을 조사하고 이를 지지재로 사용하여 MnZn 페라이트와 배합하여 전자파 흡수체를 제작한 경우의 전자파 흡수능을 조사하고, 흡수체의 두께에 따른 흡수능을 조사하였다. 옻을 지지재로 한 MnZn 페라이트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는 CPE나 Silicone 고무를 지지재로 한 전자파 흡수체에 비하여 우수한 전파흡수특성 나타내었으며, 옻의 두께 변화에 따라 정합주파수와 전파흡수능이 변화함을 알았다.

  • PDF

옻의 특징과 옻을 지지재로 사용한 전자파 흡수체의 두께에 따른 전파흡순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Natural Lacquer Characteristics and EM Wave Absorber's Absorption Characteristics Using Natural Lacquer as a Binder)

  • 김동일;최동한;김기만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861-867
    • /
    • 2004
  • 고성능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를 개발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지재로서 주로 Silicone 고무나 CPE(Chloride Polyethylene)가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공예에서 사용되어 오던 옻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옻의 전자파 흡수능을 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옻을 지지재로 사용하여 MnZn 페라이트와 배합하여 전자파 흡수체를 제작한 경우의 전자파 흡수능 및 흡수체의 두께에 따른 흡수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옻을 지지재로 한 MnZn 페라이트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는 CPE나 Silicone 고무를 지지재로 한 전자파 흡수체에 비하여 우수한 전파흡수특성 나타내었으며, 옻을 지지재로 사용한 전자파흡수체의 두께 변화에 따라 정합주파수와 전파흡수능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Hz 대역용 복합형 Ba 페라이트 전파흡수체의 개발 (Development of Composite Ba Ferrite EM Wave Absorbers for GHz Frequency)

  • 문상현;신승재;송재만;김동일;김기만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1329-1334
    • /
    • 2003
  • 폐 처리된 Ba 페라이트를 사용하여 GHz 대역용 전파흡수체를 개발하였다. 도전 손실재인 카본의 첨가에 따른 전파흡수능의 변화와 시편 제작시 제작온도 변화에 따른 전파흡수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GHz 대역용 Ba 페라이트 전파흡수체를 개발하는데 있어 카본의 첨가가 매우 유효함을 알았으며, 시편의 제작온도 또한 우수한 전파흡수체를 개발하는데 있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을 밝혔다.

섬유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된 전파흡수구조재의 설계 및 특성 (Design and Properties of Microwave Absorbing Structures Composed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s)

  • 김상영;김성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002-1008
    • /
    • 2001
  • 본 논문은 전파흡수기능을 갖는 경량, 고강도 고분자 복합재료의 재료 설계 및 전각흡수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전송선로 이론을 도입하여 다층구조 전파흡수체의 반사감쇠량 계산에 필요한 이론식을 제시하고, 각 층의 재료정수 및 두께의 함수로 계산한 전파흡수능 결과에 근거하여 각 층의 재질에 적합한 복합재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결과는 페라이트 충진재를 사용하지 않은 3층 구조 (표면층/중간층/배면층)의 전파흡수구조재를 설계하였다는 점이다. 표면층 재료로는 저유전율 특성의 유리섬유 복합재료를 사용하고, 중간층 및 배면층에는 유전상수 및 도전손실이 큰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4~12 GHz 주파수 범위에서 10 dB 이상의 전파흡수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흡수층/반사층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의 전파흡수구조재에서는 흡수층에 페라이트 충진재의 사용이 필수적이었다. 반사층 재질로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사용하고, 횹수층 유리섬유 복합재료에 페라이트 충진재를 약 40 wt% 첨가함으로써 4~12 GHz 주파수 범위에서 10 dB 이상의 전파흡수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