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용도

Search Result 29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Study on the Comparison of Building Use Classification between Building Act and Installation.Maintenance & Safety Management of Fire-Fighting System Act (건축법과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간 건축물 용도분류체계 비교 연구)

  • Hwang, Eun-Kyo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4
    • /
    • pp.112-119
    • /
    • 2009
  • Building use classification is classified the building types according to the similar structure, the goal of the use, and its shape. The important reason of building use classification is that building restrictions are applied according to building use classifications. But there are a lot of confusion because the building use classification is regulated not only by the Building Act but also by the several individual Act. Particularly in the large-scaled, high-raised and complex building construction, it is very important to remain the consistency of the building use classification between the Building Act and the Fire-Fighting System Act for safety of occupant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s the improve direction of the building use classification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uilding Act and the Fire-Fighting System Act.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rivate Parking Information Algorithm (복합용도 초고층빌딩에 대한 개별주차정보제공 알고리즘 개발)

  • Kim, Young-Sun;Nam, Baek;Lee, Choul-Ki;OH, Young-Ta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2 no.5
    • /
    • pp.13-21
    • /
    • 2013
  • Super high-rise buildings of combined use such as large shopping malls and multiplex etc. have larger parking facilities than general buildings and are characteristic of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entrance and the exit connecting internal external space of the parking lot. These features cause a congestion of internal traffic by increasing car driving distance in the parking lot, and vehicle idling increases by drivers wander the parking lot in order to find parking space. In addition, they make drivers suffer from lots of difficulties due to parking including increasing their walking line after park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individual parking information provision algorithm to specify the optimal parking place for driv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visiting a building and the drivers' moving path, and selected new construction site for the second lotte world in order to evaluate the algorithm developed and performed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it was analyzed that in the case of applying the individual parking information provision algorithm compared to the existing parking information provision algorithm, moving distance in the parking lot decreases around 7.43~83.4%, and that in the case of $CO_2$ emission, it decreased about 47.7% on average, which indicates that the efficiency resulted from application of the individual parking information provision algorithm is very high as the application effects are tested.

Plasma Surface Modification of Glass Fiber and Fabrication of the Glass Fiber/Fluoro-Polymer Composite (유리섬유의 플라즈마 표면개질과 유리섬유/불소고분자 복합재료의 형성)

  • 이승구;박영민;최성신;김동철;주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85-488
    • /
    • 2002
  • 최근 산업용 유리섬유는 고부가가치 응용분야로 대형 막구조(membrane structure)와 의공학 부품, 인쇄회로기판 등에 응용되고 있으며, 광통신의 주체인 광섬유로 활용되며 점차 그 용도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근래에 관심을 모으는 유리섬유 복합재료를 이용한 대형 막구조물은 경제성과 건축의 용이성 및 신속성 면에서 기존 건축구조보다 유리하고, 내구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그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중략)

  • PDF

후막형 폴리머PTC의 전기적 특성

  • 강영구;유동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92-195
    • /
    • 2003
  • 최근 첨단기술 집약형 자동화 시스템과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산업은 고도화, 정밀화되고 있다. 특히 안전분야 중 기능성 고분자 재료의 응용 분야로서 carbon black, carbon fiber, graphite, 금속 분말 등의 전도성 충전재를 고분자 matrix에 혼입하여 전도성 복합재료를 성형가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이용한 복합성형체는 과전류 차단, 회로 보호, 전자파 차폐효과 등의 특성을 이용한 electrical hazard 감소 효과, 제어설비, 자동화 설비, 제조설비 등 각종 산업설비의 정밀제어, 과전류차단 및 외란 방지 등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Spinning with Monofilament of Glass Fiber

  • 김영근;이재락;장행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Conference
    • /
    • 1999.11a
    • /
    • pp.189-193
    • /
    • 1999
  • Glass fiber의 국내ㆍ외 현황은 최종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유리섬유를 선별, 적절히 그의 물성을 이용하는데 있으며 아울러 꾸준히 이용도를 넓히고 개척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섬유의 종류도 최고 10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는데 국내는 아직 E-glass fiber만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시장성 및 활용도가 외국에 미치지 못해 섬유 종류의 다변화가 요구되지 못하며 방사기술의 낙후성도 문제가 있지 않나 추론하고 있다. 특히 spinning system 차이로 인해 현재는 multi-PCB용 유리섬유는 전량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촬영계 및 미소 렌즈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2
    • /
    • pp.28-36
    • /
    • 2006
  • 소자의 추세로는 고정밀도화 및 소형(소경)화 및 복합화가 키워드라고 할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이들 키워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독자적인 설계 기술과 독자적인 제조 기술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기존의 가공법이라도 양성해 온 노하우나 기술을 바탕으로 고정밀화와 소형화 및 환경 대응을 위한 대처 방안이 중요하며, 또한 그 이전에 요구되는 소자의 고기능화 및 복합화에 대하여 종래의 생각에 구애받지 않는 새로운 소자 설계 기술이나 그를 유지할 가공법에 대한 개발이 중요하다. 본 고에서는 제품이나 용도의 관점에서 최근의 유리 렌즈가 요구되는 양상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유리 렌즈 제조 추세를 제안하기로 한다.

  • PDF

복합 Filler 충진 전기전도성 폴리머 소재

  • 강영구;송종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9-33
    • /
    • 2002
  •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EMI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반도체 소자나 정밀기기의 ESD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전도성 고분자는 유해전자파의 차폐나 정전기 방지를 위한 특수용도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중략)

  • PDF

섬도를 달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염색성

  • 정동석;정민식;이명선;류주향;이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350-353
    • /
    • 1998
  • 최근 폴리에스테르(PET) 섬유는 각각의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그에 적당한 섬도를 가진 것이 사용되며, 특히 극세섬도 PET 섬유의 제조시 폴리머의 개질, 방사, 연사, 제직, 염색가공 등 각각의 분야의 기술을 복합함에 따라 신감성, 고부가가치를 부여하는 신합섬이 등장하여 최근 수년간 차별화 상품으로서 이용되어 왔다.(중략)

  • PDF

지능형 건물(IB:Inteelligent Building)의 계획과 운영관리⑬

  • Lee, Sun-Hyeong;Im, Sang-Chae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50 no.6
    • /
    • pp.17-19
    • /
    • 2003
  • 지능형 건물 인증제도의 적용대상은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크게 주거용 건물과 비주거용 건물로 나눌수 있으며 건축시점에 따라 신축건물과 기존 건물로 나누어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시행주체에 따라 공공발주 건물과 민간발주 건물로 나눌 수 있으며 건물의 규모 및 집합형태에 따라 적용대상을 단일건물, 복합건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PDF

A Performanc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a 400RT Vertical type Geothermal System installed in a Complex Building Before Occupancy (복합용도 건물에 적용된 400RT급 수직형 지열시스템의 입주전 성능평가)

  • Hwang, Kwang-Il;Shin, Dong-Keol;Kim, Joong-Hun;Shin, Seung-Ho;Jung, Myoung-Kwa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8 no.3
    • /
    • pp.7-14
    • /
    • 2008
  • 400RT geothermal system which is the biggest capacity among on-operations at present in Korea is measured and evaluated on 23rd${\sim}$26th Jan. 2008 during those days building is not allowed owners and/or tenants to move in. The geothermal system is consist with vertical-typed 112 geothermal heat exchangers which are installed circle-like 1 row with 4m interval, and has 16 units of 25USRT geothermal-source heat pump(GSHP)s. And each 5 units of circulation pump are running for geothermal heat exchangers and hot water supplie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The temperatures at G.L. -70m of 2 boreholes are varied quite similarly.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let and outlet of geothermal pipes is $4.1^{\circ}C$, and that of hot water supply is $3.2^{\circ}C$, of Zone 3's each 4 GSHPs when being operated. Despite temperature fluctuations by heating loads,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main pipes of inlet and outlet of geothermal heat exchangers is measured as $4.1^{\circ}C$. This study propose "Geothermal System COP" which includes not only consumed electric power by compressor but also circulation pumps and auxiliary utilities. By comparing the geothermal system COP with GSHP's performance specification, it is clear that the performances of GHSPs of this site are satisfied with the spec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