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용도

Search Result 29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FFT 필터링 기법을 적용한 저에너지 충격시험기의 충격신호 분석

  • 김준영;윤성호;권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4a
    • /
    • pp.29-29
    • /
    • 1999
  • 낙하추 방식의 저에너지 충격시험기는 일정한 질량을 가진 충격체를 금속재/복합재 구조재에 낙하시켜 줌으로써 인위적인 충격에너지를 금속재/복합재 구조재에 가하여 주는 장치로서 금속재/복합재 구조재의 충격으로 인한 손상 거동과 충격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 PDF

복합섬유의 고속용융방사에 대한 수치모사 - HDPE/PET 복합섬유 -

  • 구본규;김경효;조현혹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01-105
    • /
    • 1998
  • 복합방사에 의해 복수의 성분을 단섬유내에 함유하고 있는 섬유를 복합섬유라 하며 복합섬유에는 천연섬유인 양모섬유가 있고, 합성섬유로는 sheath/core형, side-by-side형, 해도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섬유가 있다. 최초로 side-by-side형의 비스코스 섬유가 1937년에 발명 되었고, 이후 1960년대부터는 나일론 복합섬유가 양말ㆍ메리야스류, 부직포 제조의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최근에 와서는 극세섬유나 권축섬유 등 특수한 기능을 가진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sheath/core형을 비롯한 많은 형태의 복합섬유가 다양한 고분자의 조합으로 제조되고 있다[1].(중략)

  • PDF

Development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Process for Risk-based Configuration Factors in Mixed Used Developmen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복합용도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리스크 기반 변화요인 측정 및 평가 프로세스 개발)

  • Son, Myung-Jin;Hyun, Chang-Tae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3 no.6
    • /
    • pp.94-106
    • /
    • 2012
  • In recent years, the risks and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mixed used developmen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hich have actively been implemented at home and abroad have been on the rise due to the uncertainties of the initial business plan, difficulty of financing, increase in total cost and schedule delay. To cope with rapid social and economic changes and optimize benefits, a risk-based configuration management process that considers life cycle is required, along with accurate planning in the early stage of the busin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hat can respond to the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the configuration factors in relation to the business process. However, the focus of previous studies on configuration management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was mainly on humanities and the sociological aspects such as organization, leadership, ideology and similar concepts.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on the process and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s for configuration factors required in decision-making on the risks and changes that can occur in the actual project implementation phase.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defined risk-based configuration factors and developed a process and MECA/3DAM/CII methodology to measure and evaluate these factors so as to carry out systematic configuration management of mixed used developmen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복합성유의 고속방사에 있어서 섬유구조형성(III) - PET/PE 복합의 효과 -

  • 김경효;조현혹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11-214
    • /
    • 1998
  • 복합섬유의 용도는 그 기능에 따라서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자기접착성을 살려서 부직포의 재료로 사용되는 예가 많다. 즉 sheath/core형 복합섬유 중 sheath 성분에 core 성분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머를 사용하여 열융합에 의한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한 섬유가 전형적이다. 한편, 고속방사법은 방사과정 중에 섬유의 구조 형성을 현저하게 진행시키는 방사법이지만[1, 2], 복합섬유의 고속방사에 있어서는 각 구성성분이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세화ㆍ고화가 진행되므로 개개의 폴리머를 단독으로 방사하는 경우와는 다른 구조형성기구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명확한 상호작용은 보고된 바가 없다. (중략)

  • PDF

Study on Horizontal RSET Evacuation safety verification process Based ASET in Underground Link Multi-Complex building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ASET 기반의 수평 RSET 피난안전성 검증 프로세스 연구)

  • Song, Chang-Young;Song,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46-149
    • /
    • 2015
  •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건립이 급증함에 따라 건축물의 피난 성능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복잡 다양해진 피난유도에 대한 피난시설 배치와 RSET(Required Safe Egress Time)이 필수적으로 관련 지침에 명시되고 있다. 그러나 RSET에 대한 신뢰성 검증 및 용도별 수용인원 산정 방법이 주관적인 관점에 의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런 검증 자료의 검토기준이 정량적이지 않아 안전성 확보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가장 적합한 검증을 위해 방재 선진국의 ASET 기준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지하연계 건축물 등에서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ASET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ASET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피난안전구역 및 준하는 구역의 현실 가능성을 분석하고 국내 외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피난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통해 건축물의 용도에 따른 수용인원 산정기준의 현실적 방안과 피난경로 설정의 Logic을 감안하여 피난의 안전 및 최단시간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지하연계복합 건축물에서 요구하는 피난성능과 수용인원의 최적화된 RSET을 정량적으로 도출함에 따라 피난 안전성에 대한 검증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 PDF

Historical Review on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and Mixed Land Uses of Korean Zoning System - From Chosun Planning Ordinace of 1934 to City Planning Law of 1962 (우리나라 용도지역제의 용도순화 및 용도혼합 특성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조선시가지계획령에서 도시계획법에 이르기까지 -)

  • Jun, Chae-Eun;Choi, Mack Joong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 /
    • v.53 no.6
    • /
    • pp.5-18
    • /
    • 2018
  • While the zon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rationale of separated and specialized land uses to prevent negative externalities in the modern industrial era, the emergence of office-based new industries in the post-industrial era rather encourages mixed land uses to create agglomeration economies. This study aims to find historical basis to justify the reform of zoning system to promote both specialized and mixed land uses. When the zoning 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by Chosun Planning Ordinance enacted in 1934, Special District within Manufacturing Area, and later within Residential, Commercial, and Mixed Areas respectively was institutionalized for specialized land uses, though it was not actually designated. When City Planning Law was enacted in 1962, Special District was substituted by Exclusive Areas (Exclusive Residential Area, Exclusive Manufacturing Area). Meanwhile Undesignated Area was designated for mixed land uses by Chosun Planning Ordinance, and later it was converted mostly into Mixed Area and partially into Green Area. Finally Mixed Area was substituted by Semi-Areas (Semi-Residential Area, Semi-Manufacturing Area) by City Planning Law in 1962. These demonstrate that Korean zoning system needs to revive the tradition that clearly promoted both specialized and mixed land uses.

Evaluating Spatiality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Building Site ("대" 지목에 의거한 온실가스 분포의 공간성 평가)

  • Kim, Jun-Hyun;Um, Ju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94-102
    • /
    • 2010
  • These days the land category is the most specific basis of legal for land use or land use form that is determined by the main use of land. Even if same land building site, it is used very various like a detached house, a row house, a multiplex house, a villa, an apartment, a mixed-use Apartments, commercial building, fallow land etc. There is a need of variety analysis in order to apply greenhouse gas emission or statistics assessment for standard of class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carbon dioxide by for different government agencies of maps by land use time, season, elevation, space, area of floating population. As a result, The emission characteristic was high l.78 times, on average of l.35 times in winter compared with summer, when the temperatures increased 11C, the carbon dioxide is 22ppm high in the afternoon, A commercial building is high 4.04 times compare with detached house.

  • PDF

서울시 주상복합건물의 지역별 주거 특성

  • 정은진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8-172
    • /
    • 2003
  • 근대 도시의 지역지구별(zoning)는 도시의 토지이용을 기능별로 분리하고 이들을 교통망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용도 분리는 직ㆍ주 분리 현상, 도심 공동화 현상, 도시 교통 문제, 환경 오염 둥의 문제들을 불러일으키게 되었고, 이에 대해 도시계획가들은 토지 이용의 극단적 기능 순화가 원인이라 보고 복합적인 토지 이용을 주장하게 되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Double Covering Two Way Complex Yarn Products(I) -Dry Heat Shrinkage and Bending Properties of the Two Way Fabric Woven by Spandex-Core/Nylon-Covering Complex Yarn- (Double Covering Two Way 이질 복합사 제품개발(I) -스판덱스-코어/나일론-커버링 two way 복합사 직물의 건열수축 및 굽힘 특성)

  • 이춘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88-391
    • /
    • 2002
  • 의류용 소재의 다양화와 소재의 복합화에 따라 최근 여러 가지의 합성섬유 관련소재가 선을 보이고 있다. 그 중 double covering two way 이질 복합사 제품은 high touch 및 fashion 용 차별용도의 최적소재를 도출하여 기존의 제품과는 차별화 할 수 있다는 점과, 기존 제품과는 그 물성이 전혀 다른 새로운 소재의 제품을 생산함에 따라 품질 고급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난연 및 다기능성 복합성형체 제조 및 그 특성

  • 김정훈;강영구;김동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65-70
    • /
    • 2002
  • 난연$\cdot$다기능성 복합성형체는 기계부품, 구조물, 차량, 선박, 항공기 및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안전성이 확보된 신소재 개발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진은 난연특성, 정전기 방지특성, 내식특성의 기능성 복합성형체 개발을 수행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Recycled PE, Phenolic resin 및 PPS resin과 같은 재활용 제품에 고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용도에 따라 alumina, silica, flyash 등의 무기질 filler를 최대 70wt(%) 이상으로 고충진한 복합 폴리머 성형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