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상품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7초

유/무기 하이브리드 기술을 이용한 서방형 가공제 합성 연구(2)

  • 박성민;권일준;김상욱;문두환;윤남식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99-99
    • /
    • 2011
  •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천연 기능물질을 이용한 고기능 및 고부가가치 상품개발이 여러 산업분야에서 일반화되는 추세이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캡슐은 원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을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제품에 부여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을 오랜 기간 동안 외부로 방출하거나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캡슐은 의약분야 제초제, 멸충제, 곰팡이 방지제, 살균제로 적용되는 농약분야, 식품 분야, 화장품 분야 등의 전반에 걸쳐 응용 및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나노 합성기술과 유/무기 하이브리드를 이용해 서방화 관련 기술을 개발하여 보습성, 항균, 노화방지, 외부 유해물질로부터의 피부보호 특성을 가진 인체 친화형 복합기능성 섬유 가공조제를 개발하여 다양한 섬유소재에 적용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기존 선진국 제품의 기능을 뛰어넘는 원천기술, 즉 새로운 가공제 합성과 응용성, 그 성능평가와 동시에 최적의 처리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섬유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미터 직경을 갖는 침상형의 주형(hydroxyapatite)을 이용하여 중공 나노구조체를 제조 한 후 이에 천연고분자를 혼합하여 초음파처리 후 유/무기 하이브리드 기술을 이용한 서방성 가공제를 합성하였다. 중공의 나노구조체 확인은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였으며, 주형의 나노구조체는 주사전자현미경(FE-SEM)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나노구조체의 새로운 합성방법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국내 보관형 물류창고의 입지선정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cation Selection Elements of Distribution Center in Korea)

  • 박우석;박진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7-218
    • /
    • 2016
  • 국내 물류창고는 기업에 있어 재고관리 및 상품배송을 위한 전략적인 요충지로써 발전해 왔다. 물류창고는 역할에 따라 보관형 물류창고와 택배와 같은 통과형 물류창고, 이를 복합한 물류창고가 존재한다. 현재 국내 물류창고의 입지를 고려할 때 임대료 또는 지가와 같은 가격적인 요소와 물류적 기능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 가격적인 요소의 경우 평가요소가 명확하나 물류적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요소는 현재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보관형 물류창고 입지선택에 있어 물류적 기능을 고려한 입지요소들의 우선순위를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하려 한다.

  • PDF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해외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Foreig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 이동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259-264
    • /
    • 2014
  • 디지털 컨버전스는 정보통신 영역에서의 단위 기술들의 융합을 통하여 나타나는 새로운 상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컨버전스 시대상황에 맞추어 정부에서는 10개 산업 군을 포함하는 "2025년 ICT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시티의 하나의 구성요소인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러한 스마트 모빌리티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도로, 차량, 신호시스템 등 기존 교통시스템의 구성요소에 전자, 제어, 통신 등의 첨단기술을 접목시켜 교통시설의 효율을 높이고 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교통시스템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일상적인 생활 공간속에서 접하고 있는 지능형 교통시스템에 대한 해외 각국의 사례들에 대해 기술하였다.

스마트폰 기반 캐쥬얼게임 개발 사례를 통한 캐릭터 수익모델 개발 연구 -크레이지 몽키 개발사례 분석 (Smartphone-based casual games, character development practic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business models - In the case of developing games(Craze Monkey))

  • 이종호;이동열;이완복;유석호;경병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91-396
    • /
    • 2013
  • 캐릭터 산업은 여타의 문화콘텐츠 산업과 같이 미디어라는 기술적 환경을 토대로 한다. 캐릭터의 생명력을 연장시키고 브랜드로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인 미디어의 선택과 활용이 필요하다. 게임 캐릭터가 타 미디어 콘텐츠 보다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이유를 분석하고 그 보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게임을 사례를 들어 게임 캐릭터의 브랜드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차후 게임캐릭터 수익모델 연계 방식을 제시하였다.

세미나 - 수산가공선진화단지 포장디자인 지원방안 (Packaging design in Advanced complex of processed marine products)

  • 이현규;이진호
    • 월간포장계
    • /
    • 통권251호
    • /
    • pp.112-123
    • /
    • 2014
  • 세계적인 어획량 감소와 부패하기 쉽고 보관이 어렵다는 수산물의 특성에 따라 수산물의 적절한 가공과 이에 따른 수산물의 포장은 수산물의 상품성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최근 새롭게 부각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부산의 수산가공선진화 단지는 수산가공업의 경쟁력 제고 및 활성화를 목적으로 정책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수산가공선진화 단지는 식품 위생 안전시설(HACCP)을 통한 수산식품의 신뢰성 확보, 원재료 및 제품의 공급 체계 확보를 통한 비용절감 및 물류 효율화 등 수산가공업체의 운영 환경구축과 함께 가공수산물의 포장디자인 관련 연구 지원시설인 포장디자인센터도 단지 내에 구축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산가공선진화 단지 내 구축될 포장디자인센터의 역할과 거시적 운영목표를 설정하고 효율적인 운영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포장디자인센터는 공공의 자산으로서 수산가공선진화단지의 입주기업 뿐 아니라 지역의 수산물 가공산업 전반에 대한 발전을 이끌어야 하며, 디자인산업과의 융합으로 새로운 디자인 수요를 창출하고 특성화하여 지역디자인산업의 진흥을 목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산업화, 지식화, 융합화, 차별화의 4가지의 비젼을 운영 컨셉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포장디자인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전략적 추진사업으로 6가지 사업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자인산업과 가공수산물산업의 융 복합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국 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산업간 융합을 통한 새로운 활력 창출의 성공적인 모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원고는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통권 제28호에 실린 논문에서 발췌했다

  • PDF

국가간 비교를 통한 시장 성장 예측에 관한 연구: 한ㆍ중 휴대폰 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Market Prediction Modelling: A Case of the Cellular Phone Market of Korea and China)

  • 황재훈;이종오;김원태;전성우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2년도 추계 컨퍼런스: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및 정보기술 컨퍼런스
    • /
    • pp.51-59
    • /
    • 2002
  • 오늘날 비즈니스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타이밍이며, 이의 예측 정확성이나 대응력에 따라 비즈니스의 성패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의사결정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많은 기업에서는 글로벌 선도시장의 흐름이나 선진기업의 성공전략에 대한 벤치마킹을 수행한다. 모바일 산업에 관한 한 한국은 글로벌 선도시장으로, 한국의 휴대폰 시장 변천을 분석하고 구매요인 및 요인간 관계를 규명하여 지표화할 수 있으면 여타 국가에서 시장주도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테크놀로지 수용에 대한 기존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정보기술 제품이나 서비스의 수용 여부 및 시장 성장 예측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개발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목적이다. 개인차원의 기술 수용 모형인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및 여러 수정모형에서 규명된 다양한 변수들은 실증적인 연구의 결과로서 중요성은 갖으나, 여전히 연구 및 실무 관점에서는 특정 상황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의 제시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비교 대상국으로 선택한 중국은 그 국토만큼, 인구만큼, 문화만큼 다양하고 복합적인 시장이며, 동시에 누구나 공감하는 거대한 잠재시장이므로, 한국시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시장에 대한 향후 성장을 지표로 예측할 수 있다면 국내 기술 및 상품 수출의 기회를 보다 더 수익성있게 포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연구의 의의, 대표적인 일부 변수의 평가와 연구방법에 대한 제안에 국한하여 설명한다.

  • PDF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노력의 영향요인 연구 : 반도체 웨이퍼 가공라인 사례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the Efforts for Embedded Software Maintenance : A Case from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Line)

  • 조남형;김치린;김미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211-221
    • /
    • 2017
  • 반도체 산업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통해 운영 통제되는 자동화설비를 통해 첨단상품을 생산한다. 반도체를 생산하는 로봇과 각종 설비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는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 제고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반도체 장비의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할 때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활동영역이다. 그러나 이 분야에 대한 학술적 관심사는 그리 높지 않는데,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웨이퍼 생산장비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관련 문제로 보고된 사건을 대상으로 502개의 데이터를 무작위 추출방식으로 수집하여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결론으로 실무적인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SNS 데이터 기반 지역 트렌드 분석 (SNS data based regional trend analysis)

  • 조재현;문남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03-405
    • /
    • 2018
  • 도시 속 상업 공간에서는 공간적 위치에 따른 지리적 이점이나 판매하는 상품뿐만 아니라, 해당 공간 속에서 소비자가 느낄 수 있는 문화와 감성이 소비자가 소비를 유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ICT 서비스 환경이 자리를 잡아 감과 동시에 제4차 산업 혁명이 도래하고 있는 현대 정보화 환경 속에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심리나 감성, 정서에 들어맞는 공간에 방문하며 소비하고 SNS를 통해 공유한다. SNS는 Social Network Service의 줄임말로 너무나 일반적으로 우리 일상에 들어와 있는 개념이다. SNS의 시작은 마케팅의 한 분야로 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SNS를 이용한 홍보마케팅은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고객들의 주관적인 개개인의 욕구 충족과 감성을 중시하게 됨으로써 예전보다 더 복합적이며 정교해졌다. 본 연구는 SNS 데이터를 블로그, 카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서 지역 명칭을 키워드로 1년간 콘텐츠를 크롤링하며,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한다. 마지막으로 딥러닝 알고리즘인 RNN 중 LSTM을 사용하여 감성 분석 학습 모델을 만들어서 지역별 콘텐츠의 주요분야, 긍/부정을 판별한다. 이렇게 분석한 데이터를 이용해 각 지역만의 특색과 인기 분야, 비인기 분야, 더 나아가 유망한 분야를 알아본다.

설명 가능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주가 전망 예측 (A Stock trend Prediction based on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 김지현;이연수;정수민;조설아;안정은;김현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97-800
    • /
    • 2021
  • 인공지능을 활용한 주가 예측 모형을 실제 금융 서비스에 도입한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주식 데이터는 일반적인 시계열 데이터와 다르게 예측을 어렵게 하는 복합적인 요소가 존재하며 주식은 리스크가 큰 자산 상품 중 하나이다. 주가 예측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선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모델을 해석 가능한 형태로 제시해 신뢰성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주가 전망 결정 방법에 따른 예측 결과를 비교하고, 설명 가능성을 부여해 모형 개선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주가 전망을 장기적으로 결정할수록 정확도가 증가하고, XAI 기법을 통해 모형의 개선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 모형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합리적인 투자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퍼지이론을 활용한 인천 해양관광단지 성공요인의 인식차이 분석에 대한 연구(인천 골든하버를 중심으로) (Perceptual Differences of Success Factors for a Maritime Tourism Complex Using Fuzzy Theory (Focusing on Golden Harbor, Incheon))

  • 차영두;공정민;여기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16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해양산업이 국가산업으로 인식되며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해양산업 중 가장 각광 받는 분야는 해양레저 산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우수한 문화와 다양한 관광자원으로 많은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그 중 중국인 관광객인 유커의 경우 2007년 106만명을 시작으로 2015년 598만명까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인천시는 골든하버라는 이름의 복합리조트를 조성하기 위해 약 1조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했으며, 향후 해양관광단지 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 관광객과 인천항만공사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해양관광단지의 성공요인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중국인 관광객 대상 퍼지분석 결과, 서비스 친절도(0.823)가 가장 높은 순위의 중요도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안전성(0.823)과 편의성(0.773), 다양한 관광상품(0.755)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사 대상 설문으로 골든하버의 운영사인 인전항만공사 직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중요요인으로 다양한 관광상품(0.852), 접근성(0.850), 출입국심사(0.810), 편의성(0.793)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