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사회

검색결과 2,688건 처리시간 0.428초

대학생의 생애역량 강화를 위한 융복합형 교육시스템 모색 (A Study on a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Life Competencies)

  • 김부자;김준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173-180
    • /
    • 2014
  • 사회진출을 앞두고 고등교육을 받는 대학생 단계에서 가장 요구되는 생애역량은 직업역량 이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직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능력을 보유한 인재가 요구된다. 이제는 직업역량이 높은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대학 기능 중의 하나로 간주되므로 대학교육을 통해 직업역량을 높이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융복합형 교육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교육시스템은 융복합 전공교육, 교육과정의 융합, 교육공간의 융합, 교육방식의 융합, 교육기간의 융합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융복합 교육시스템을 통해 인지적 역량, 비인지적 역량, 글로벌 역량을 포함한 다양한 직업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개발유형 및 토지이용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Type and Land-use Model of Smart Green Multi Complex)

  • 박천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971-5978
    • /
    • 2013
  • 본 연구는 저탄소 사회실현 및 녹색성장을 주도하기 위한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조성을 위하여 복합단지의 개발유형을 검토하고 유형별로 토지이용의 모형을 설정함으로써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미래적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순서로는 이론고찰을 통해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개념과 개발측면에 대해 검토하고 복합단지의 개발유형을 단지규모와 기능배분 등 두 가지로 구분하여 설정함으로써 토지이용모형의 준거를 마련한다. 이를 토대로 국내에서 수용 가능한 복합단지 유형을 단지규모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하며,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개발유형별 토지이용 모형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을 이론과 사례단지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제시하고 유형별 토지 이용 모형을 구축함으로서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의 미래 개발방향을 국내의 시사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융합환경에서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 중심의 시장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On Issue and Outlook of wearable Computer based on Technology in Convergence)

  • 이성훈;이동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73-78
    • /
    • 2015
  • 현재 우리 사회는 다양한 기술요소들이 혼합되어 하나의 또 다른 산업 및 기술을 창출하는 융, 복합 사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융, 복합현상들은 이미 경제, 사회, 문화등 사회의 전 부문에서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컨버전스의 대표적 사례이면서도 차세대 모바일 대표 시장의 가능성이 매우 큰 웨어러블 컴퓨터와 관련된 내용을 기술하였다. 웨어러블 컴퓨터는 착용 가능한 컴퓨터로서 미국의 MIT가 최근 기술 동향을 통해 2013년 10대 기술로 스마트 워치를 선정할 만큼 스마트 폰을 대체할 대표적인 차세대 모바일 기술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컴퓨터에 필요한 필수적인 기술들에 대해 기술하고 관련 시장 및 미래, 이슈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다문화사회의 이주노동자의 정보리터러시 격차 (Information Literacy Gap of Migrant Worker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 이수상;장임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91-419
    • /
    • 2010
  • 이 연구는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정보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의 수준이 높은 집단과 그렇지 않는 집단을 비교분석하여 정보리터러시 격차(information literacy gap)를 야기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이주노동자와 NGO 실무자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정보리터러시 격차를 야기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작용을 발견하였다. 조사 결과, 이주노동자의 정보리터러시 격차는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한국어교육 및 정보활용교육의 차이, 정보기술에 대한 적응력, 사회활동에 대한 적극성, 사회연결망 등의 개인적 차이와 함께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정책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정보서비스를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