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가공

Search Result 996,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Fabrication of Organic-Inorganic Nanocomposite Blade for Dicing Semiconductor Wafer (반도체 웨이퍼 다이싱용 나노 복합재료 블레이드의 제작)

  • Jang, Kyung-Soon;Kim, Tae-Woo;Min, Kyung-Yeol;Lee, Jeong-Ick;Lee, Kee-Sung
    • Composites Research
    • /
    • v.20 no.5
    • /
    • pp.49-55
    • /
    • 2007
  • Nanocomposite blade for dicing semiconductor wafer is investigated for micro/nano-device and micro/nano-fabrication. While metal blade has been used for dicing of silicon wafer, polymer composite blades are used for machining of quartz wafer in semiconductor and cellular phone industry in these days. Organic-inorganic material selection is important to provide the blade with machinability, electrical conductivity, strength, ductility and wear resistance. Maintaining constant thickness with micro-dimension during shaping is one of the important technologies fer machining micro/nano fabrication. In this study the fabrication of blade by wet processing of mixing conducting nano ceramic powder, abrasive powder phenol resin and polyimide has been investigated using an experimental approach in which the thickness differential as the primary design criterion. The effect of drying conduction and post pressure are investigated. As a result wet processing techniques reveal that reliable results are achievable with improved dimension tolerance.

단섬유강화 금속복합재료의 계면분리 및 균열

  • Kim, Jin;Koh, Byeong-Cheon
    • Journal of the KSME
    • /
    • v.31 no.3
    • /
    • pp.293-299
    • /
    • 1991
  • 단섬유보강 금속복합재료의 2차가공은 금속복합재료의 넓은 범위 응용을 위해 필히 요구된다. 여러 가공방법 중 하나인 열간압출시 보강섬유파괴 및 계면에서의 접합분리 및 균열발생이 없는 제조공정의 최적화를 위해서 가공시 내부조직의 소성변형 기구 규명보다 압출력에 의한 응력분 포와 기지재료와 보강섬유 사이 계면 변화 및 기계적 특성 관계규명이 정량적으로 요구된다. 본 글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계면에서의 접합상태를 임의로 가정하여 압출조건에 따른 압 출후의 보강섬유 방향 및 계면균열 및 접합분리를 거시적으로 예측하고, advanced shear-lag을 이용하여 균열 전, 후의 응력. 변형관계를 미시적으로 규명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향후 현상적 모델인 shear-lag 모델을 수학적 모델인 균질화법에 도입하면 미시적. 거시적 거 동해석이 함께 요구되는 금속복합재료의 열간압출거동 해석을 일체적으로 행할 수 있어 효율적 이고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된다.

  • PDF

Comparison of Optimum Drilling Conditions of Aircraft CFRP Composites using CVD Diamond and PCD Drills (CVD 다이아몬드 및 PCD이 드릴을 이용한 항공용 CFRP 복합재료의 홀 가공성 비교)

  • Kwon, Dong-Jun;Wang, Zuo-Jia;Gu, Ga-Young;Park, Joung-Man
    • Composites Research
    • /
    • v.24 no.4
    • /
    • pp.23-28
    • /
    • 2011
  • Recently CFRP laminate joints process by bolts and nets are developed rapidly in aircraft industries. However, there are serious drawback during jointing process. Many hole processes are needed for the manufacturing and structural applications using composite materials. Generally, very durable polycrystalline crystalline diamond (PCD) drill has been used for the CFRP hole process. However, due to the expensive price and slow process speed,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diamond drill has been used increasingly which are relatively-low durability but easily-adjustable process speed via drill shape change and price is much lower.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of hole process between PCD and CVD diamond coated drills was done. First of all, CFRP hole process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equations of hole processing conditions (feed amount per blade, feed speed). The comparison on thermal damage occurring from the CFRP specimen was also studied during drilling process. Empirical equation was made from the temperature photo profile being taken during hole process by infrared thermal camera. In addition, hole processability was compared by checking hole inside condition upon chip exhausting state for two drills. Generally, although the PCD can exhibit better hole processability, hole processing speed of CVD diamond drill exhibited faster than PCD case.

Automotive Polymer Composite Materials -Sheet Molding Compound- (자동차용 열경화성 고분자복합재료 -SMC를 중심으로-)

  • 조봉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1996.06a
    • /
    • pp.63-73
    • /
    • 1996
  • CAFE(기업평균연비) 규제의 적극적 대응책의 하나로 차체 경량화가 주목받고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고분자 복합소재 중 특히 Exterior Body Panel에 많이 채택되고 있는 SMC(Sheet Molding Compound)에 대해 제조방법, 성형공정, 기술적 과제, 재활용, 적용 예 등을 살펴보았다. 1973년 GM의 Corvette로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SMC는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사용량이 계속 증가되고 있으며, 자동화가 용이하고 성형Cycle이 짧아 타 열경화성 고분자복합재료 성형방법에 비해 대량생산에 유리하며, 도장 특성이 우수하며 자 동차 부품용으로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다.

Characteristics of Surface Roughness by Compounding Electrolytic Machining in Ball End Milling (볼엔드밀 절삭에서 전해복합에 의한 표면거칠기 특성)

  • 이영표;박규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0.11a
    • /
    • pp.959-962
    • /
    • 2000
  • A new method compounding the electrolytic machining with ball end milling process to improve machined surface toughness was examined. From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uch smaller cutting force and finer surface roughness can be obtained in a certain condition of ball end milling and electrolytic machining conditions.

  • PDF

무심 연삭의 동시 연삭 및 복합 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

  • ;TUSKIS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32-32
    • /
    • 2004
  •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기계부품의 소형화, 고속화가 요구되는 세계적인 추세에서 정밀 가공기술은 기계 및 전자 부품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원통형상을 가지는 부품의 가공에서 무심 연삭(Centerless Grinding) 공정은 높은 생산성과 정확한 치수 형성의 능력이 있어서 중요한 생산공정으로 발전되어 왔다. 예컨대 각종 Pin, Compressor의 Crankshaft, 소형 축, 연료분사기 등은 무심 연삭 공정을 통하여 높은 정밀도를 얻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 생산 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고효율 연삭 공정을 위한 Shaft류의 외경과 단면의 복합공정 연삭 방법을 기술하였다.(중략)

  • PDF

광감변색 Microcapsule화와 기능가공

  • 김문식;박선주;박수민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4a
    • /
    • pp.48-49
    • /
    • 1995
  • 금년에 고도화 사회의 진전을 배경으로 여러분야에서 섬유고분자재료에 대하여 보다 기능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증중의 하나인 감성과 정서, 쾌적 기능의 요구와 더불어 기능성 물질의 합성과 추출, 섬유에의 복합화 기능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능성 물질의 섬유에의 복합화 가공은 섬유재료와 여러 공정 조건의 복합적 요소에 의하여 좌우되며 기능성 물질의 흡착, 포괄방법에서 일반적으로 흡진, 혼합방사, microcapsule에 의한 봉입처리를 후가공법으로 행해오고 있고 특히 기능성 물질의 안정적 측면에서 microcapsule에 의한 기능성 부여에 대한 연구가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