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지연금

Search Result 15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Pension Structure, Benefit Generosity and Pension Spending in the Retrenchment Period of Welfare States (복지국가 재편의 경로의존성 : 공적연금 제도 구조와 급여관대성 및 지출수준에 관한 비교연구)

  • Kim, Soo Wan;Baek, Seung h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2 no.1
    • /
    • pp.433-461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and determinants of public pension generosity and pension spending in welfare states during the last retrenchment period. Path-dependency thesis, industrialization theory and power resources model were examined with the twelve welfare states from 1980 to 2007.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s of benefit generosity and pension spending have been differently presented according to pension structure. Second, the cross-national pooled-time series analysis confirmed that pension structure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o determine the level of benefit generosity and pension spending.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population ageing on pension spendings were proved even without any changes of pension generosity. New social risks, however, have restrained the pension spending. Fourth, the power of the left party and labor union did not affect the pension policy, which implies that power resources theory cannot explain the development of pension policy in this retrenchment period.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Japan Relating to the Welfare Business Operation of Pension Accumulation (연금적립금의 복지사업 운용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 Chung, Ki-Ryo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35
    • /
    • pp.345-37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he improvement of national welfare by presenting of pension welfare business of Korea and Japan. The reason why I take the management of Japan's pension accumulation as the object of comparative study is that the history of pension system of Japan is relatively longer than that of Korea. First of all, National Pension Fund comes into use for public sector, financial sector, and welfare sector, The scale of pension management for welfare sector is 50 small. Therefore, the study for welfare business investment reflecting the intentions of pension entries and pensioners is needs of times.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welfare investment business and prospects welfare investment business of the future on the basis of Japanese experiences, and then suggests the direction of efficient propulsion of welfare investment business to the reasonable decision-makers. Especially this study redefine the concept of welfare investment business on the basis of pension entry's social benefits which are composed of pension entry's gains and pensioner's gain. Of course, welfare investment business has to be presupposed the stability of pension system and the continuous contribution to national economy. Thus, in order to efficiently perform welfare business, the policy-making for national welfare improvement has to be established after the good of business is set up like the results of this study.

  • PDF

사학연금 재정목표 및 재정지표에 관한 기초연구: 해외 직역연금 사례를 중심으로

  • Min, Gi-Chae;Go, Hye-Jin;Han, Gyeong-Hun;Ju, Bo-Hye;Kim, Ye-Seul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2
    • /
    • pp.131-17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재정목표와 재정지표에 따라 해외 직역연금을 유형화하고 한국 사학연금의 재정목표와 재정지표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국민연금으로부터의 제도적 독립 내지 통합 차원에 따라 직역연금의 재정목표와 재정지표를 유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직역연금 독립형(미국 캘리포니아 교직원연금, 대만 사학연금, 캐나다 군인연금)의 경우, 국민연금과 별도의 재정평가 기준이 활용되는 경향이 목도된다. 국민연금-직역연금 통합형(일본 사학연금, 오스트리아 공무원연금)의 경우 전체 국민연금의 재정평가기준 내에서 직역연금의 재정평가가 이루어진다. 해외 직역연금 사례 검토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를 정책적으로 제언한다. 첫째, 노후소득보장 체계의 전체적(holistic) 맥락에서 한국 사학연금의 명확한 미래 전략을 구상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이러한 미래 전략에 기초하여 한국 사학연금의 재정목표 및 재정지표를 설정하는 것을 정책적으로 제언한다. 사학연금의 재정목표와 재정지표 설정 시 사회보험의 특수성 반영, 재정목표와 재정지표 간 명확한 연계, 재정목표 미달성 보완책으로서 자동조정장치, 재정목표 수정, 구조적 개혁을 고려할 수 있다.

Why were National Welfare Pension Act of 1973 and the National Pension Act of 1986 Legislated?: From the Viewpoint of Response to the Demographic Bonus (1973년 국민복지연금법과 1986년 국민연금법은 왜 제정되었는가?: 인구학적 보너스에 대한 대응이라는 시점)

  • Park, Yitaek;Lee, Hun-Cha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8 no.4
    • /
    • pp.781-805
    • /
    • 2015
  • The National Welfare Pension Act of 1973 and the National Pension Act of 1986 were legislated for an anticipative response to future population ageing. But the enforcement of these acts gained momentum as they became effective tools to realize the present potential demographic bonu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history related to the enactment of these two acts, focusing on these acts' role in raising funds managed by the government (National Investment Fund and National Housing Fund). This article shows the historical origin of full-dress debates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National Pension Fund.

업계탐방 - 사학연금관리공단

  • O, Jeong-Gyu
    • 방재와보험
    • /
    • s.111
    • /
    • pp.66-67
    • /
    • 2006
  • 이번 탐방은 부산지부의 추천으로, 사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직원과 그 가족의 경제적 생활 안정과 복지증진을 위해 마련된 연금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해 설립된 사립학교교직원 연금관리공단(이하 사학연금관리공단)을 찾았다. 이 곳은 연금 등 각종 급여의 지급과 이에 소요되는 비용의 징수, 조성된 연금자산의 운용 및 교직원을 위한 복지후생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사학연금관리공단의 영남회관을 방문하여 회사 현황, 방화시설 현황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 PDF

사학연금 수급자의 기초연금 선택적용에 관한 연구

  • Yu, Byeong-Nam;Jeong, Yeong-Deuk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5
    • /
    • pp.137-190
    • /
    • 2020
  • 최근 특수직역연금 가입자도 기초연금을 적용받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기초연금제도 시행부터 특수직역연금 가입자는 원천적으로 기초연금에 대한 법 적용이 배제되어 왔었다. 빈곤상태에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층을 특수직역연금 수급권자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기초연금 대상자에서 제외하는 것은 노인의 생활을 지원하고 복지를 증진시킨다는 기초연금법의 도입 목적을 온전히 실현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모든 공적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실제 소득이 기초연금 기준액보다 미달할 경우에는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저소득의 특수직역연금 수령자들에게 보다 안정된 노후 보장을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직역연금 가입자 중에서 사학연금 가입자를 대상으로 기초연금 선택적용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공무원연금과는 달리 사학연금 가입자 중에서 일부 유치원 교사나 간호사 직군의 경우에는 소득이 그다지 높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계층은 기초연금 적용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유족연금 수급자의 경우에는 기초연금 선택적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해보는 정책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자 한다. 첫째, 사학연금 수령자 중에서 실제로 저소득자인 경우에는 기초연금을 적용하는 법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해외에서의 기초연금 적용은 모든 가입자를 대상으로 적용하고 있다. 해외 사례와 같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모든 공적연금 가입자에게 기초연금 적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유족연금 수급자 중에서 기초연금 지급액보다 낮은 연금액을 수령하는 자에게는 유족연금보다는 기초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한다. 넷째, 기초연금의 재원은 조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국민연금 수급자와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특수직역연금 가입자의 경우에도 기초연금을 적용하여 기본적 소득의 충족과 동시에 노후소득 보장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학연금 가입자를 대상으로 기초연금 선택적용에 대한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기초연금제도 적용은 우리나라의 사학연금 수급자의 노후소득 보장을 한층 강화하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며, 기초연금 선택적용에 대한 타당성과 도입방안 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in Korea : With the Gender-equality-perspective (국민연금제도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양성 평등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분석)

  • Jung, Jae-Ho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3
    • /
    • pp.31-50
    • /
    • 2005
  • The perspectives on the gender equality are various.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olicy and gender equality must be thought in the sense of the following question: What kind of gender equality pursue social policy? In spite of the mentioned question the mainstreaming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olicy and gender equality focuses on how a social policy leads to gender inequality. The debate about the perspective with which social policy pursues to conglomerate or abolish gender inequality is not popular. In this study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is analysed according to the gender neutral approach, the gender recognition approach, the gender reconstruction approach and the gender reinforcement approach. As a result,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has a character as a gender neutral approach. Therefore the critics on the National Pension System should focus on this perspective. In the future, when the pension credit system, the guarantee of right to pension in the case of divorce and the basic pension guarantee would be introduced,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could be featured as a field of social policy that has a gender recognition approach.

  • PDF

Labor-Market Activities of Uninsured Perso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forming the National Pension Scheme in Korea (국민연금 적용제외자의 노동시장 활동과 제도 개선에 대한 함의)

  • Woo, Haebo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1 no.1
    • /
    • pp.203-226
    • /
    • 2010
  •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is study examines the labor-market activities of uninsured persons and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for reforming the National Pension Scheme in Korea. First, despite the short observation period, the data show that pension status is not a static state and can be better understood in terms of dynamic processes. Second, in addition to frequent changes in income-earning activities, complex criteria for pension coverage cause substantial transitions in pension status. Third, a portion of uninsured persons involve in income-earning activities but they tend to face poor working conditions as well as unstable employment.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building solid foundations for developing a financially sustainable and reliable social protection system is more important than rapid increase in pension coverage.

The Welfare Investment of the National Pension Funds: Its Necessity and Policy Development (국민연금기금의 복지사업 당위성과 정책방향 연구)

  • Kim, Jin-So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8 no.3
    • /
    • pp.295-312
    • /
    • 2006
  • The use of the national pension funds to welfare has been criticized due to its low profitability, with concern about financial instability and the lack of funds. Despite the small amount of the funds employed to the welfare, therefore, it has been decreasing so far. It 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use of funds to the welfare sector failed to provide its valid reasons, and take the policy direction firmly. There are three main logical reasons for the welfare investment of national pension funds: Firstly, no state is capable to take the full responsibility for the entire social welfare, and therefore, the funds can be used for social welfare. Secondly, the funded system, contrasted with the case of pay-as-you-go system, has inevitably caused discriminations to the present elderly through excluding them institutionally from pension participation. At last, so as to its selective system, the minimum contribution period of 10 years brings about the equity problem between the people who can afford it and the people who hardly can. Therefore, investing a proportion of funds to the welfare is entirely reasonable in that it can alleviate the discriminations to the present elderly generation and the marginal participants, rather than to meet their social welfare needs. With regard to the policy decision, the profitability of the investment, and the choice of the welfare work, on the other hand, the policy direction should be given a sufficient consideration of a various policy factors such as the necessity of social consensus, independence of the welfare work in relations with other national welfare work, policy identity to judge whether the work is worth long-run or short-run, and the reliance of direct-operated work and indirect-operated work. As a result of all these efforts above mentioned, an investment to the welfare of the national pension funds could be vitalized, and gain public confidence.

  • PDF

The Effects of Livelihood Benefits and Basic Pension Receipts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Multimediation Effects of Health Status and Community Satisfaction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건강상태와 지역사회만족의 다중매개효과)

  • Hyoung-Ha Lee;Mi-Jin Kim;Gwang-Ja Go;Yeo-R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189-19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 건강상태, 지역사회만족,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통해 노인의 우울 감소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 패널데이터 중 노인 본인이 직접 응답한 2,493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은 노인의 건강상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지역사회만족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우울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지역사회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의 지역사회만족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노인의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과 우울사이에서 건강상태, 지역사회만족의 다중매개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