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원유형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9초

묵논에 형성된 자운늪의 유형분류 및 기능 평가 (Wetland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an Abandoned Rice Paddy Ja-un Wetland)

  • 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5-70
    • /
    • 2003
  • This research aims to classify wetland types and evaluate functions of a wetland created by abandoned rice paddies. The case study area is Ja-un wetlan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this study, wetland typ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basic elements of wetlands such as hydrology, vegetation, and soil condi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upon field surveys, drawing maps and publication, and modified-RAM which can evaluate the general functions and conservation values of wetlands. The analysis shows that several types of wetlands were identified, such as Palustrine/ Perennial/ Hydrophytes, Palustrine/ Perennial/ Openwater, Palustrine/ Seasonal/Herbal, Palustrine/ Seasonal/ Shrub and Scrub, Palustrine/ Seasonal/ Hydrophye, and Riparian/ Seasonal/ Shrub and Scrub in the Ja-un wetland. The average level of functions of the wetlands is very "HIGH", and it is recommended that prompt conservation measures should be taken.

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산림지역 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Development of Forest Ecosystem Evaluation Considering Biotope Type)

  • 김정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8-5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biotope types and to develop assessment for forest ecosystem evaluation method. Vegetation types divided into 27 types. Considering the vegetation types, vegetation structures, DBH, potentials, and disturbance, it was decided to apply 58 biotope types and survey site's biotopes were divided into 24 biotope types. Assessment indicators were naturaliness, diversity, rarity, stability, potential, and disturbance. The areas given the first grade in ecological value included 9.2% of the site's total land. Areas with the second grade accounted for 43.0% of the total land. Areas with the third grade made up 47.8% of the site and mostly they were areas with dominance of fired area and artificial forest. To plan to build naturally-development for Site, there should be plans to conserve areas with the first grades. For the areas with the second, and third grades, plans for ecological land use based o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 terms of securing biodiversity are needed.

개발사업 유형별 환경친화적 입지 및 검토기준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Location & Review Criteria by Development Project Types)

  • 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4-46
    • /
    • 2009
  • and to provide (case example-focused) guidelines for environment-friendly oriented plans.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 total of 2,465 development projects covering $173km^2$ were undertaken in Gyeonggi province in last three years.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16 development projects in four types, about 20 alternative environment-friendly location were suggested. Thirdly, 56 environment-friendly criteria were suggested for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items by setting at least three alternatives. Going forward, if discussion case examples by project type, environment-friendly location criteria by project type, and environment friendly review criteria by assessment item suggested in this study are fully utilized when initiating or approving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in the future, environment-friendliness will be enhanced in development projects.

댐 저수지 내 습지 유형 및 기능평가 연구 - 보령호를 중심으로 -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a Dam Lake - In the Case of the Boryung Lake -)

  • 양병호;조운식;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80-91
    • /
    • 2005
  • This research aims to classify wetland types and evaluate functions of a dam lake. The case study area is Boryung lake in Boryung City.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upon field surveys, drawing maps and publication, and modified-RAM which can evaluate the general functions and conservation values of wetlands. Eight functions of 2-12 variables each are analyzed for assessing the wetland func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several types of wetlands were identified, such as Palustrine/ Perennial/ Hydrophytes, Palustrine/ Perennial/ Openwater, Palustrine/ Seasonal/ Herbal, Palustrine/ Seasonal/ Shrub and Scrub, Palustrine/ Seasonal/ Hydrophye, and Riparian/ Seasonal/ Shrub in the Boryung lake. The average level of functions of the wetlands is very "HIGH", and it is recommended that prompt conservation measures should be taken.

비탈면 녹화공법의 유형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f Improvement Method and Analysis of Type of Revegetation Measures of Rock Slopes)

  • 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22-29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develop revegetation methods and to classification of cutting-rock slopes revegetation typ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pre-experienced data, reports and journal. Also research result was reflected from field research for the conditions of construction, vegetation types and field conditions. As the result of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verage rates of cutting-rock slopes were period of construction, revegetation methods, slope gradient and slope length. Classification of cutting-rock slopes revegetation type was fourth from material of revegetation measures and spray type. It is recommended to adjust the proposed factor as environment, field condition and characteristic related with revegetation measures on slopes for the presentation of revegetation standard.

도시녹지의 포장유형이 감성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and Cover Types on Sensibility Image in Urban Greenspace)

  • 주창훈;박봉주;김원태;윤용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
    • /
    • 2009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 of measuring sensibility image through an experiment with human bodies and indexing human feelings according to land cover types. The temperature by land cover types formed the lowest temperature in planted areas and the highest temperature in paved areas. The wind velocity is stronger in bare grounds, the surface of water and building areas than planted areas, grassland and paved areas. In the case of using a globe thermometer, a solar controled device confirmed the planted areas. In summer, an increase of thermal sensation are indicated a decrease of amenity, and the sensation which has high correlationship is in order by amenity, thermal sensation, airflow sensation and humidity sensation.

한탄강 댐 저수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 산정 (Evaluation of the Habitat Suitability of the Hantan Dam Reservoir)

  • 강형식;방석배;박대룡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517-517
    • /
    • 2017
  • 본 연구는 저수지 주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를 산정하여 댐 건설 전후의 생태환경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생태적 가치에 대한 평가 모델 고려 인자로는 고도, 경사 및 각과 같은 물리적 요인, 산림 지형, 식생 유형, 연령층, DBH 등급과 같은 초목 요인들, 그리고 생태 자연상태, 식생 보존 분류 및 야생 생물 출현 지점과 같은 서식지 요인을 이용하였다. 각 요소의 생태학적 기능을 고려한 평가기준을 정량화하여 개발된 모델은 한탄강 댐 저수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댐 건설 이전의 생태 가치가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댐 건설 이후에 물리적 요소는 83.9, 초목요소는 92.4, 그리고 서식처 요소는 84.5로 저하되었다. 전반적인 생태 가치는 건설 후 86.9 %, 13.1 % 감소하였다. 또한, 평가 요소를 쌓은 방법을 통해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댐 저수지에 생태 복원 계획을 수립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강원도 삼척 검봉산 일대 산불 피해복원지 식생 구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f Burned Area in Mt. Geombong, Samcheok-si, Kangwon-do)

  • 성정원;심윤진;이경철;권형근;강원석;정유경;이채림;변세민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3호
    • /
    • pp.15-24
    • /
    • 2022
  •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되는 대형 산불의 원인은 건조주의보, 영동지역에서 불어오는 강한 바람, 소나무의 단순림, 임도 유무와 상태 등을 들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2000년 동해안 산불로 삼척시는 전체 피해면적의 약 70%인 17,000ha 이상의 산림이 소실되었다. 이후 삼척의 산불 피해지역은 인공복원와 자연복원을 구분하여 식생 분석을 통해 산림복원(회복) 정도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지인 삼척 검봉산 일대는 기존 소나무가 우점하는 곳으로 2001년 복원을 위해 소나무, 곰솔, 굴참나무 등을 조림하였고, 일부는 자연복원을 하였다. 복원 이후 21년 지난 현재 삼척 검봉산 일대 산불피해 복원지역의 식생은 크게 굴참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곰솔-소나무 군락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피해지 식생회복은 굴참나무, 소나무, 곰솔 등 조림으로 현재 식생은 산불발생 이전의 임상으로 회복되고 있다. 특히, 산불의 유형 중 지표화 피해지역은 하층 식생의 피해가 크다. 기존의 소나무는 결실된 종자를 비산하여 치수를 발생시켜 자연복원의 속도를 높이고 굴참나무를 활용한 인공복원은 맹아를 발달시켜 본인의 영역을 확장하는 전략을 지니고 있다. 단, 입지적 환경이 동일하다는 전제 조건에서 숲에서 재생 기작이 진행되는 자연 복원보다는 인공복원이 회복시간과 종다양성이 높은 측면에서는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을 지을 수 있다. 한편, 산불 발생 초기 굴참나무 조림은 4년 이후 아교목층(4m 이상)까지 부피 생장을 하고 종자 발아에 따른 개체수도 늘어난 모습을 보였다. 현재 소나무와 굴참나무, 신갈나무 군락지 간 수관 경쟁으로 소나무가 도태되는 천이 촉진 현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굴참나무-소나무군락은 교목층에서는 조림 수종인 굴참나무가 높은 상대우점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아교목층은 자연 이입종인 신갈나무와 산불 이전 우점종인 소나무가 높은 우점치를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소나무나 곰솔이 우점하는 군락에 비해 복원 후 자연 이입종인 신갈나무에 의한 우점도가 높아 향후 혼효림으로 발달할 것으로 보이며, 이후 신갈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측된다. 소나무-신갈나무군락은 조림 수종인 소나무와 자연 이입종인 신갈나무가 경쟁하고 있는 군락이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산불 지역의 자연 회복지는 초기에 신갈나무와 쇠물푸레나무가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하였으나, 본 군락은 교목층과 아교목층 모두 소나무가 우점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산불 이전 식생이었던 소나무군락을 형성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동해안은 과거 헐벗은 상태로 장기간 노출된 곳으로 유기물층이 없는 곳이 많다. 또한, 이곳에 광물질 토양이 노출된 나지에 소나무 종자가 비산하여 발아되고 숲을 형성하게 되지만 토양 비옥도가 개선되지 못한다면 자연 천이가 아닌 소나무림으로 장기간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곰솔-소나무군락은 곰솔이 교목층과 아교목층 모두 우점하고 있다. 곰솔-소나무군락은 단순림으로 다른 조사지역과 비교할 때 종다양도가 낮은 특징을 나타내며, 경쟁 수종이 없어 곰솔-소나무림의 형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산불이 수목의 전소된 상태에서 소나무림 하층에 싸리 등 단일종으로 우점되는 경향이 있어 종다양도가 낮으며, 토양면 노출이 심각하다. 특히, 여름철 집중 강우에 따른 표토 유실이 진행되어 매토종자와 같은 자연복원 보다는 인공복원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함께 급경사 지역이나 동해안 해안에 가까운 구릉성 지대에는 토양이 척박하기 때문에 향후 복원을 위한 식물종 선정 시 참나무류 보다는 소나무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산불 피해지역 복원지에 대한 식생 구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체적인 식생 구조 특성을 파악함에 있어 피해지와 참조생태계가 대변될 수 있는 비피해지(대조구) 식생 구조의 비교·분석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산불피해지의 지표화, 전소화 피해지 등 유형별 효과적인 복원사업과 시행착오를 줄이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불암산도시자연공원의 환경생태 현황 조사.분석을 통한 생태적 측면에서의 공원관리계획 수립 (Foundation of Park Management Plan to Consider Ecological Aspects Based on Environment.Ecology Research and Analysis in Bulamsan Urban Nature Park)

  • 이수동;최진우;이경재;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0-187
    • /
    • 2006
  • 본 연구는 불암산도시자연공원의 친자연적인 공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로 자연생태계 현황, 과도한 이용과 공원시설물 조성에 따른 훼손 및 주변생태계의 영향 등 환경생태 현황을 정밀하게 조사분석하여 친자연적인 공원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고 공원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현황 조사, 분석, 생태적 평가, 공원관리계획 수립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조사분석 단계에서는 일반적 개황, 자연환경, 자연생태 등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생태적 평가에서는 조사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생태계의 기반이 되는식물생태계를 유형화한 비오톱유형, 야생동물 서식처, 자연경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리계획 수립에서는 친자연적인 공원관리를 제안하고자 평가자료를 활용하여 양호한 생태계 및자연경관 보존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생태계 및 자연경관 보존계획에서는 생태계 및 자연경관보존지역, 생태계 보호지역, 생태계 복원지역(이용가능)을 지정하였고, 훼손지 복원 및 복구계획에서는 훼손된 숲생태계 유형에 따라 식생복원 목표로 제안하였다.

다양한 이론적 도시규모에서의 습지 보전을 위한 게임 이론 적용 (Game Theory Application in Wetland Conservation Across Various Hypothetical City Sizes)

  • 임란영;김지윤;도윤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20
    • /
    • 2024
  • 습지의 보전 및 복원은 지속 가능한 인간 사회와 환경을 위한 필수적 과제로, 생물다양성 유지, 자연재해 저감, 기후 변화 완화 등 중요한 혜택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습지 복원 및 조성을 위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전략적 상호작용과 이익을 게임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정책 결정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대도시, 중소도시, 소도시의 세 가지 도시 유형에 대해 가상의 상황을 설정하고, 정부, 개발회사, 환경단체, 지역 주민 등의 이해관계자를 정의하였다. 각 이해관계자별 전략적 선택 사항을 도출하고, 습지생태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보수행렬을 설정하였다. 이후 비협력적 게임 이론을 적용하여 내쉬 균형과 파레토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대도시에서는 '습지 보존'과 '친환경 개발', 중소도시에서는 다양한 전략들, 그리고 소도시에서는 '친환경 개발'이 이해당사자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해결책으로 나타났다. 파레토 효율성 분석 결과, 각 도시 유형별로 습지 관리와 관련하여 이해당사자들 간의 최적의 해결책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도시 유형별로 습지 보존, 친환경 개발, 습지 복원 사업이 각각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정책 입안자들은 환경 보호와 도시 개발의 조화를 이루는 규제와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지역 사회의 참여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고려해야 한다. 이해당사자별 역할과 전략을 통해 습지 보존과 지역 경제 발전을 동시에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전략별 장단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정책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