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사열 차단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Development of the Sunshade hat with a large brim (Part II) - Human trial test at outdoors - (양산형 일광차단모의 개발(제2보) -실외 인체착용시 복사열 및 자외선의 차단효과-)

  • 최정화;김경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8 no.3_4
    • /
    • pp.414-421
    • /
    • 2004
  • To reduce farmer's stress from solar radiation and ultraviolet radiation(UV), the sunshade hat with a large brim and special structure for ventilation was developed and tested with manikin heads outdoors at previous study(Kim and Choi, 2002). To evaluate the protection efficiency of the sunshade hat, human trial test was performed at outdo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kin temperatures(7 sites), heart rate, temperature inside the hat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side clothing on the back in wearing developed sunshade ha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wearing the controlled hat. In subjective sensation, subjects answered to feel significantly hotter, more humid and more uncomfortable in wearing the controlled hat. But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ha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earing developed hat. In rectal temperatu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hats.

A Study on the Radiation Heat Transfer Effect near a Refrigerator Gasket (냉장고 가스켓 주위의 복사열전달 효과에 관한 연구)

  • Ha, Ji-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3
    • /
    • pp.1605-1610
    • /
    • 2015
  • The present study has been accomplish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radiation heat transfer in the heat transfer analysis of refrigerator gasket, which has near 30% of refrigerator heat loss. The numerical heat transfer analysis has been conducted with the simplified modeling of refrigerator gasket. From the present CFD analysis, heat loss at the gasket is $25.6W/m^2$ for the case without radiation effect and that for the case with radiation effect is $55.0W/m^2$, which is 2.2 times greater heat loss. The radiation protection layers were installed in the gasket from 0 to 7 and the case with 7 layers has 33% reduction effect of heat loss compared with the case without any radiation protection layer. Additionally, it is better effect of radiation heat loss reduction that the radiation protection layers would be placed to the outer or inner side of gasket rather than placing to the center of gasket.

Protection Efficiency from Solar Radiation and Ultraviolet Radiation by Fabrics (소재에 따른 자외선.복사열 차단력)

  • 김경수;최정화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0 no.10
    • /
    • pp.77-85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various fabrics in protecting from solar radiation and ultraviolet radiation(UV). Six kinds of fabrics were selected and examined in singles or doubles. It was studied how the materials and the thickness of air layer between the fabric and the floor affected the protection efficiency of fabrics from sunlight. The results were as followes; 1) Protection from solar radiation: In the case of over 2 cm air layer, doubled fabric composed of aluminum coating-nylon and white or black polyester/cotton(T/C) was the most protective(p<0.001). In the case of 0 cm air layer, the case without fabric and white T/C were more effective(p<0.001). And the thicker the air layer the more effective the protection. 2) Protection from UV : Doubled fabric composed of aluminum coating-nylon and black T/C was the most protective(p<0.001) and the thinner the air layer the more effective the protection(p<0.001).

A Study on the Thermal and Flow Characteristics of Wind and Radiant Heat Shield for Offshore by using Mesh Screen (메쉬 스크린을 적용한 해양구조물용 방풍 및 복사열 차단막 열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 Yi, Chung-Seob;Chin, Do-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1 no.3
    • /
    • pp.166-173
    • /
    • 2012
  • This study is about comparison of thermal and flow characteristics on the wind & radiant heat shield with STS mesh type screen for offshore.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ransmission coefficient in the mesh and then analyse the flow characteristics about wind & radiant heat shield. The experiment method of solar radiation has been used as thermal radiation source to get the performance of radiant heat shield measurement. The sensor radiation device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reduction of solar radiation with various size of cells and at a distance of 0.5m and 1m from the cold face of the wind & radiant heat shield.

위성광학탑재체 우주환경시험용 진공챔버 개발

  • Lee, Sang-Hun;Jo, Hyeok-Jin;Seo, Hui-Jun;Mun, Gw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147-147
    • /
    • 2013
  • 인공위성이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공간은 고진공 환경과 태양 복사열에 의한 고온 환경 및 극저온이 반복되는 가혹한 환경으로, 위성체는 이러한 가혹한 우주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주요부품의 기능장애가 초래되기도 하며 이는 결국 임무의 실패로 이어지도 한다. 따라서 10E-06 torr 이하의 고진공과 $-180^{\circ}C$의 극저온 환경으로 일컬어지는 우주환경을 지상에서 모사하여 위성체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열진공 시험장비를 이용한 열진공시험을 수행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인공위성의 탑재체인 광학카메라의 국산화 개발을 위하여 우주공간의 고진공과 극저온 상태를 모사할 수 있는 ${\varphi}4m{\times}L10m$ 규모의 광학탑재체 전용 열진 공챔버를 국산화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탑재체 진공시험은 진공환경의 조성과 함께 외부진동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보유한 광학탐재체용 진공챔버에서 진공 유지와 진동 차단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Heat Shield and Breathable Water-Resistant Design for Manufacturing that are Expressed Multifunctional Building Housewrap (열차폐 및 투습방수성이 발현되는 다기능성 건축용 하우스 랩의 제조설계)

  • Kwon, Oh-Kyung;Kim, Seok-Hoon;Park, Sun-Hwa;Jeong, Won-Wook;Bok, Jin-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15
    • /
    • 2011
  • 본 연구는 기존의 하우스 랩이 가지는 방풍, 방수 기능 외에 복사열 차단성, 열반사성, 통기성, 투습성, 난연성, 방수성 및 단열성 등의 다기능성이 발현되는 우수한 건축용 하우스 랩을 제조하는 목적으로 시스-코어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층, 통기성 합성수지 필름층, 니들펀칭 복합 부직포층 및 고분자 필름이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된 내식성 알루미늄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핫-멜트 라미네이팅에 의하여 합지 된 다기능성 하우스 랩 및 그의 따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니들펀칭 부직포 내부에 포함 된 아라미드 섬유에 의해 우수한 난연효과를 가지며, 통기성 필름에 의하여 투습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니들펀칭 부직포층에 다량의 공기가 함유되어 보온성이 우수하고, 내식성 알루미늄 필름층이 가진 빛에 대해 우수한 방사성으로 복사열을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나타내는 하우스 랩을 제조하였다.

  • PDF

Atmospheric DMS in the Western Korean Sea: Preliminary Measurements from the Duk Juk Island (황해지역에서 관측한 DMS의 농도 - 덕적도를 중심으로)

  • 김기현;이강웅;김지영;송기범;배귀남;김용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319-322
    • /
    • 1999
  • 최근 전지구적인 규모로 일어나고 있는 기상이변과 엘리뇨(El Nino)와 같은 현상들은 대기중 탄산가스농도의 증가와 그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중의 하나로 추정되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위시한 여러 온난화가스들은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태양의 복사열을 흡수하여 대기권 밖으로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온난화 현상은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대표되는 인간의 산업활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띠는 것으로 밝혀졌다 (김&이, 1999).(중략)

  • PDF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Measurement of Covering Materials with Thermal Screens for Greenhouse using the Hot Box Method (핫박스를 이용한 온실 피복재 및 보온재의 조합에 따른 관류열전달계수 측정)

  • Diop, Souleymane;Lee, Jong-Won;Na, Wook-Ho;Lee, Hyun-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4 no.5
    • /
    • pp.1-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상용되고 있는 온실 피복재 및 보온재의 조합에 따른 관류열전달계수를 핫박스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온실용 일중 및 이중 피복재와 이중 보온재의 조합에 대하여 야간천공복사 차단여부에 따른 관류열전달계수를 핫박스를 이용하여 실외에서 측정하였다. 처리조건은 일중피복, 이중피복, 이중피복과 이중 마트보온재 및 이중피복과 이중 다겹보온재의 조합조건과 천공복사 유무에 따른 조건이며 총 8가지이다. 제작된 핫박스는 상시 변화하는 외부의 기상조건하에서도 내부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일정하게 잘 유지할 수 있었다. 온실 피복재 및 보온재의 관류열전달계수를 측정하는 실내용 측정장치는 반드시 야간천공복사를 모의할 수 있는 측정장치가 되어야 할 것이다. 야간복사를 차단함으로서 온실의 열 손실을 줄여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피복방식에 대해 야간복사 차단장치 유무에 관계없이 높은 풍속에서의 관류열전달계수가 낮은 풍속에서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기법을 사용하면 국내에서 생산되는 피복재 및 보온재의 관류열전달 특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성광학탑재체 궤도시험을 위한 진동차단장치

  • Lee, Sang-Hun;Jo, Hyeok-Jin;Seo, Hui-Jun;Mun, Gwi-Won;Choe, Seok-Wo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46.4-47
    • /
    • 2009
  • 인공위성은 지상에서 설계 제작된 후에 발사체에 탑재되어 궤도에 진입되어 위성에 부여된 고유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위성체가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공간은 고진공 환경과 태양 복사열에 의한 고온 환경 및 극저온이 반복되는 가혹한 환경으로 특징지어진다. 때때로 위성체는 이러한 가혹한 우주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주요 부품의 기능장애가 초래되기도 하며 이는 결국 임무의 실패로 이어지도 한다. 따라서 고진공과 극저온 환경으로 일컬어지는 우주환경을 지상에서 모사하여 위성체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열진공 시험장비를 이용한 열진공시험을 수행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인공위성의 탑재체인 광학카메라의 국산화 개발을 위하여 우주공간의 고진공과 극저온 상태를 모사할 수 있는 $\varphi4m\timesL10m$ 규모의 광학탑재체 전용 열진공챔버를 국산화 제작하였다. 관측 위성용 광학카메라는 초고정밀 장비로서, 이를 테스트하기 위한 광학탑재체용 진공챔버는 특히 진동환경에 매우 민감한 하여 10-7 grms 이하의 진동레벨을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진공용기는 지진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시스템외부진동과 진공펌프 및 기타 장비들로부터의 내부 진동환경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가진 주파수가 구조물 자체의 고유진동수와 일치될 경우 공진이 발생하여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외부 진동 및 챔버 자체 진동이 광학계에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차단장치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광학탑재체 궤도환경시험용 챔버에 대한 진동차단장치의 개발 및 활용 예를 논의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