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7초

복부 연조직 농양 환자에서 농양 배양을 혈액배양병으로 했을 때의 성과 1예 (Diagnostic Performance of Blood Culture Bottles for Abscess Culture in Patient with Abdominal Soft Tissue Abscess)

  • 조교진;장철훈;황재연;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2호
    • /
    • pp.118-123
    • /
    • 2021
  • 세균 감염에서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려면 배양검사가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복부 연조직 감염의 농양을 혈액배양병을 사용하여 시행한 배양검사에서 Actinomyces radingae와 Clostridium ramosum이 배양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전에 건강하였던 13세 남자 환자가 배꼽주변에 발생한 통증, 발적 및 발열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환아는 복부 수술 및 외상의 병력은 없었다.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배꼽주위에 농양을 동반한 피부 연조직염이 확인되었고 선천성 기형은 없었다. 초음파 유도 흡인을 하여 8.5 mL의 화농성 농양이 흡인되었고, 농양은 혈액배양병을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농양 배양검사에서 A. radingae와 C. ramosum이 확인되었다. 감염증의 원인이 드문 세균일 가능성이 있는 경우 농양 배양을 할 때 일반적인 농양배양의 방법 보다는 혈액배양병을 사용하는 것이 원인균이 분리될 가능성을 높이고 더 빨리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한 소아에서 발생한 Prevotella intermedia에 의한 간농양 1예 (A Case of Pyogenic Liver Abscess Due to Prevotella intermedia in an Immunocompetent Child)

  • 김형석;은병욱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3호
    • /
    • pp.165-172
    • /
    • 2023
  • 건강한 소아에서 화농성 간농양은 선진국에서는 드문 질환이지만 진단과 치료가 늦어진다면 치명적일 수 있는 질환이다. 전세계적으로 화농성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Staphylococcus aureus이며 국내의 경우 Klebsiella pneumoniae가 가장 흔하지만, 혐기균에 의한 화농성 간농양도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발열과 우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응급실에 온 14세 남아가 우상복부 압통을 보이고 백혈구 상승, 빈혈, 간효소치 상승을 보여 조영증강 복부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결과 간농양을 진단하였다. 환자는 2주간의 경피적 도관 배액술과 4주간의 항생제 치료 후 완쾌되었다. 간농양 배양검사에서 혐기균이자 구강 상재균인 Prevotella intermedia가 확인되었으나 감염의 근원이 치아조직 감염이라는 증거를 찾지는 못하였다. 본 증례와 같이 건강한 소아에서도 화농성 간농양이 발생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진단적 접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질자궁수종 신생아 2례 (Two Cases of Hydrometrocolpos in Neonate)

  • 박민영;손보라;김소영;김영유;김현희;이원배;성인경;전정식;임수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2호
    • /
    • pp.278-283
    • /
    • 2002
  • 저자들은 출생시 복강내 큰낭종성 종괴에 의한 복부팽만을 주소로 입원한 환아들에서 초음파검사,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형광경 등을 이용한 조영술로 질자궁수종과 신수종을 비롯한 동반된 여러 합병증을 진단하였으며 경피적 도관을 질자궁수종내에 삽입, 유치함으로써 지속적인 배액을 유지하여 감압 치료를 하면서 외래에서 추적 관찰 중으로 8개월 현재 8.15 kg으로 양호한 건강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질 재건술을 시행할 예정이다.

오른쪽 서혜부 탈장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대망의 염전 및 경색 (Omental Torsion and Infarction Secondary to Omental Hernia in the Right Inguinal Canal)

  • 이유현;임재훈;하헌균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1003-1007
    • /
    • 2020
  • 대망의 서혜부 탈장에 의한 이차성 대망 염전은 급성 복통의 원인으로써 드물게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만성 복통의 원인으로써 이차성 대망 염전이 섬유성 벽을 가진 거대하고 단단한 종괴로 발견되는 것은 이전까지 보고되지 않았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74세 남자 환자가 한 달간 지속된 만성적인 하복부 복통과 우하복부에 만져지는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시행한 서혜부 초음파상에서 양쪽 서혜부 탈장이 관찰되었다. 컴퓨터단층촬영상에서 오른쪽 서혜관으로 대망의 일부가 빠져나갔고 그 축을 중심으로 대망 염전이 있었다. 염전 줄기의 원위부 대망은 우하복부와 골반강에 걸쳐 단단한 섬유성 벽을 가진 약 30 cm 정도의 거대한 종괴를 형성하였다. 환자는 복강경하 장막 절제술 및 양쪽 탈장 수술을 시행 받은 뒤 퇴원하였다.

요로결석 위치 진단에 대한 복부자세 변화에 따른 연구 (A Study on the Diagnosis of Urinary Stone Location by Abdominal Positioning Variations)

  • 김동진;채종상;유채민;이배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1호
    • /
    • pp.7-12
    • /
    • 2018
  • Patients who visit the emergency room with urinary stones have difficulty lying down in a supine position due to severe pain when performing the KUB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methods to reduce the patients' pain and image distortion, and obtain medical images with high diagnostic values. After checking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 and cause of death, the target group consisted of 121 patients who had clearly distinguished stones from computed tomography. Patients with stones in the ureteralvesical junction were excluded. Qualitative imag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stone in the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evaluated the rate of visual discrimination of stones possible through KUB and abdominal plain X-ray. Quantitative image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KUB, abdominal plain X-ray images. The transverse process of the first lumbar vertebrae served as the standard point, and the length from this point to the lower part of the stone was measured. Results from looking at the rate of visual discrimination of stones possible through KUB and abdominal plain X-ray showed: 94 patients (77.6%) for KUB images and 91 patients (75.2%) for computed tomography images. The standard deviation for KUB and abdominal X-ray was 3 (2.4%).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ocation from KUB images and abdominal plain X-ray images, the stone position was 10.1 mm in the kidney, 10.5 mm in the ureteropelvic junction, and 9.7 mm in the ureters. It was shown that the stone moved 10 mm on average with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P<0.05). In cases where the pain is so severe that it is impossible to perform the test in the supine position, an alternative may be to check the stone position by performing a modified KUB test by having the patient stand in a vertical position. In the future, this will provide convenience to both the examiner and the patient when performing the examination, and it will contribute with its reproducibility.

소아에서 발생한 급성 대장 게실염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Acute Colonic Diverticulitis in Children)

  • 심재훈;송금호;심은정;조도준;김덕하;민기식;유기양;이혜란;이관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095-1100
    • /
    • 2003
  • 목 적 : 대장 게실염은 일반적으로 주로 노인층에서 발생하고 젊은 연령층에서는 드물게 발생하지만, 급성 충수 돌기염으로 오진되어 불필요한 수술을 받기도 하는 질환이다. 그러나 소아에서 대장 게실염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발생한 대장 게실염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5년간 한림대학교 의료원 산하 한림대학교 성심병원과 강동성심병원에서 대장 게실염으로 진단되어 치료받은 18세 이하의 환자, 총 15명을 대상으로 성별 및 연령 분포, 증상 및 징후, 추정 진단명, 게실염의 진단 방법, 게실염의 발생 위치 등의 임상 양상과 치료 방법, 경과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성별 및 연령 분포: 전체 15명의 평균 나이는 15세였고, 최연소는 8세이었으며 남녀 비는 1.5 : 1이었다. 2) 임상 증상과 징후 : 환자의 입원 당시 주증상으로는 우하복부 통증이 12명(80%)으로 가장 많았고 주증상과 동반된 임상 양상으로는 오심, 구토 등이 주로 있었다. 3) 입원 당시 추정 진단명 : 급성 충수 돌기염이 13명(87%)으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난소 낭종 파열 1명, 급성 신우신염 1명씩 있었다. 4) 진단 방법 : 대장 게실염을 진단한 방법으로는 복부 초음파 10명, 대장 조영술이 3명, 수술 소견으로 확인된 경우가 1명이었고, 1명에서는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진단되었다. 5) 대장 게실염의 위치 : 모두 우측 대장에 발생하였고, 이 중 상행 결장에 단발성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9명으로 가장 많았고 (60%), 상행 결장과 맹장에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3명이 있었으며 맹장에 단발성으로 발견된 경우는 3명이 있었다. 6) 치료 및 경과 : 14명의 환자가 항생제를 포함한 보존적 치료를 받았고 1명의 환자가 수술적 치료를 받았는데, 보존적 치료를 받은 14명 중 2명에서 반복적인 복통이 있었고 이 중 1명은 재입원하였고 다른 1명은 재발된 복통으로 인해 응급실을 방문하여 보존적 처치 후 귀가하였다. 수술 받은 환아 1명에서 복통의 재발은 없었다. 7) 대장 게실염의 빈도 : 같은 연구 기간 동안에 18세 이하에서 급성 충수 돌기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는 총 1,272명이었고 따라서 급성 대장 게실염은 급성 충수 돌기염 1,000명당 11.7명의 빈도로 발생하였다(약 1.2%). 결 론 : 우하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의 경우 급성 대장 게실염을 감별진단으로 고려해야 하고 급성 충수 돌기염과 감별하기 위해 복부 초음파 검사나 컴퓨터 단층 촬영 등의 방사선학적인 진단 기술을 이용하여 세밀히 진단한 후 그 치료 방법을 정하는 것이 합당하며 소아에서 발생하는 급성 대장 게실염은 보존적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Nutcracker Syndrome를 위해 왼콩팥정맥에 삽입한 스텐트의 우심실 이동 - 1예 보고 - (Intracardiac Migration of a Renal Stent from the Left Renal Vein to the Right Ventricle during the Treatment of Nutcracker Syndrome - A case report -)

  • 김재범;최세영;박남희;금동윤;박훈;황은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100-103
    • /
    • 2010
  • 저자들은 nutcracker syndrome을 치료하기 위해 삽입한 스텐트가 심장내 우심실로 이동하는 드문 합병증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29세 여자환자가 측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좌콩팥정맥이 복부대동맥과 상장간막동맥 사이에서 눌리는 것(nutcracker syndrome)이 발견되었다. Nutcracker syndrome을 치료하기 위해 자가확장 스텐트를 좌콩팥정맥에 삽입하는데 다음날 스텐트가 심장 내 우심실로 이동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경피적 스텐트 제거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심장수술로 제거하였다. 수술 후 6개월째 아무런 복부나 심장 증상없이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분절형 다낭성 이형성신 영아 보고 1례 (A Female Infant with Segmental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 이준호;김문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1호
    • /
    • pp.25-28
    • /
    • 2013
  • 분절형 다낭성 이형성신은 PubMed의 자료 수집에 따르면 산전에 발견된 19명을 포함해 35명의 소아 환자와 1명의 성인 환자의 증례가 보고 되었다. 분절형 다낭성 이형성신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며 비전형적으로 나타날 수 있어 진단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분절형 다낭성 이형성신의 37번째 케이스를 보고하는 바다. 본 연구에서 환아의 산전 초음파에서 발견된 다낭성 복부 종양은 신장 초음파와 컴퓨터 단층촬영에 의해 분절형 다낭성 이형성신으로 진단되었다. 영상 검사를 통해 분절형 다낭성 이형성신의 최종 진단이 내려진다면 진단적 생검을 위한 수술은 불필요할 것이다.

우심실로 전이된 내장 외 연부조직 평활근육종: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Unusual Cardiac Metastasis of Nonvisceral Soft Tissue Leiomyosarcoma in the Right Ventricle: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박상민;김희경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219-224
    • /
    • 2021
  • 평활근육종은 평활근육세포에서 기원하는 연부조직 육종이다. 평활근육종은 자궁에 흔하게 발생하지만 후복막강, 복강 그리고 혈관조직에도 발생할 수 있다. 자궁 또는 혈관에서 기원하는 평활근육종이 심장에 전이된 증례는 많이 보고되었으나, 내장 외 연부조직에서 생긴 평활근육종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심장으로의 전이는 더욱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좌측 측복부에서 우심실로 전이된 평활근육종의 심초음파 소견과 조영증강 컴퓨터단층촬영소견을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선천성 하대정맥 중단 환자의 후방 대정맥-우심방 우회 수술 치료 증례 (Dorsal Cavoatrial Bypass for Congenital Interruption of IVC)

  • 최주원;홍준화;손동섭;조대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525-528
    • /
    • 2010
  • 선천성 하대정맥의 중단은 간울혈과 간변성을 유발하며, 비장비대와 복수와 복통, 하지부종이 동반된다. 49세 여자환자가 자궁근종과 월경과다, 그리고 철결핍성빈혈로 본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수술 전 복부컴퓨터단층촬영검사 및 복부 및 흉부 대정맥조영술을 시행하여 하대정맥의 중단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우측 후측방 개흉술을 시행하여 흉강 내로 접근하였고, 횡격막을 절개하여 후복막 접근을 이용하여 하대정맥을 박리하여 16 mm PTFE graft를 이용하여 우회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graft의 꺾임 현상이 관찰되어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을 시행받았으며, 이후 환자는 특별한 문제 없이 회복되었다. 하대정맥의 선천성 중단이 관찰되는 환자에게서는 PTFE 인조혈관을 이용한 후방 대정맥-우심방 우회수술이 적절한 선택이며, 후측방 개흉술을 통한 복막뒤공간 접근법이 적절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