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강 장기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초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및 dextran 70 을 이용한 유착형성 방지에 관한 연구 I. 토끼에서 인공창상에 의한 유착형성과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및 dextran 70의 유착방지 효과 (Study on prevention of adhesion formation by use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dextran 70 I. Adhesion formation by artificial injuries and its preventive effect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dextran 70 in rabbits)

  • 이효종;최민철;강태영;박충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3-218
    • /
    • 1994
  • 복강장기의 유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끼의 공장에 인공창상을 일으키고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SCMC)와 dextran 70을 단일 혹은 합제로 사용하여 이들의 유착방지 효능을 조사하였고, 아울러 체중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이들을 사용하였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을 검토하였다. 인공창상에 의한 유착형성 유발빈도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토끼를 전신마취시킨 다음 개복수술을 시행하여 공장의 장막에 2cm 폭으로 3곳에 abrasion또는 electrocautery를 실시하였던 바, 이러한 인공창상들이 유의성있는 높은 유착형성율(abrasion, 70%; electrocatuery, 72.7%)과 심한 유착정도를 일으켰으며(abrasion, 1.80; electrocatuery, 2.44), 체중의 감소를 가져왔다(abrasion, -2.5%; electrocautery; 9.9%). Abrasion보다는 electrocatuery에 의한 자극이 더욱 심한 유착정도 및 체중감소를 보였으며 심할 경우 폐사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유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1, 2, 3%의 SCMC 및 6, 10%의 dextran 70 용액을 단일 또는 합제를 만들어 abrasion방법으로 공장에 인공창상을 일으킨 토끼의 복강내에 주입하고 수술 4주후에 복강을 열어 유착형성율을 조사하였던 바, 1% SCMC와 10% dextran 70의 합제(Synthetic soln)에서 가장 낮은 유착형성율(0%)을 보여 유착방지 효과가 가장 뚜렸하였다. 아울러 수술 4주일후 체중의 변화도 유의하게 일으키지 아니 하였다. 그러므로 유착방지제로서 synthetic solution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사려된다.

  • PDF

개의 복강(腹腔) Maduromycosis (Abdominal Maduromycosis in a dog)

  • 박응복;정창국;임창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74
    • /
    • 1982
  • 만성(慢性) 소화기장애(消化器障碍)로 수술(手術)을 받고 폐사한 3세의 개를 부검(剖檢)하여 복강(腹腔)에서 커다란 균종(菌腫)을 발견하였다. 이 개의 품종(品種)은 Labrador Retriever 종(種)이고 프랑스에서 난소적출(卵巢摘出) 수술(手術)을 하여 한국(韓國)에 데려왔다. 균종(菌腫)은 직경(直徑) 8~15cm, 두께 2~6cm에 달하는 종류(腫瘤)로서 비미부(脾尾部)의 복면(腹面), 공장(空腸), 회장(廻腸), 맹일결장(盲一結腸)의 일부 장벽(腸壁) 및 좌측 횡격막(橫隔膜)과 단단한 유착(癒着)을 일으키고 있었다. 균종(菌腫)의 단면(斷面)에서는 회갈색(灰褐色)에 육아조직(肉芽組織)에 율립대(栗粒大)의 황백색(黃白色) 농양과립(膿瘍顆粒)이 밀발(密發)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병소부위(病巢部位)의 조직학적(組織學的) 검사(檢査)에서 장벽(腸壁)의 내수주근층(內輸走筋層)의 극심한 대상성비대(代償性肥大), 균강(菌腔)과 관련된 복강장기(腹腔臟器)에서의 광범한 hemosiderin 침착(沈着) 및 비주동맥(脾柱動脈)의 혈전증(血栓症)과 그 중막(中膜)의 atheroma 성(性) 비후(肥厚)등을 관찰하였다. 이와 같은 만성병변(慢性病變)으로 인하여 이 개는 정상개의 반 밖에 자라지 않고 있었다. 균종(菌腫)내의 균괴(菌塊)를 현미경 관찰하여 균사(菌絲)와 후막포자(厚膜胞子)의 특징으로써 Ailescheria boydii 의 감염(感染)이 추정되었다.

  • PDF

난치성 복막암종증의 치료 전략에 대한 고찰 (Treatment Strategy of Intractable Peritoneal Carcinomatosis)

  • 정재규;임윤정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29-35
    • /
    • 2013
  • 복막암종증(Peritoneal carcinomatosis)은 복강내에 암세포가 파종되어 벽쪽 복막과 내장쪽 복막 표면에 악성세포가 축적되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것은 암성복수와도 관련 있다. 일반적으로 복막암종증은 원발암의 전이성 암과 유사하게 치료하나 같은 원발암의 다른 장기로의 전이암과는 달리 예후가 좋지 않다. 보존적 치료만 했을 경우 복막암종증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3-6개월이다. 복막암종증은 예후가 좋지 않고 치료 방법이 제한적이어서 일선에서 치료하는 내과 의사에겐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기도 하다. 최근에 이와 관련된 치료 방법이 많이 연구되어 육안적 병소제거술 및 복막절제술(cytoreductive surgery with peritonectomy)과 함께 조기 수술 후 복강내 화학요법(early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EPIC) 또는 수술 중 복강내 온열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HIPEC)을 시행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막암종증의 전반적인 특징, 증상, 예후 및 진단과 수술적 방법, 항암 화학요법 등의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Rat에서 carboxymethyl chitosan의 복강수술후 유착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arboxymethyl chitosan on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in the rat)

  • 장광호;권영삼;김정은;권은주;오태호;이근우;장인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635-643
    • /
    • 2000
  • 본 실험은 carboxymethyl chitosan(CMC)이 복강유착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총 44마리의 rat를 유착유도후 아무런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과 각각 1, 2, 3% CMC 용액 3ml로 처치한 3개 실험군 등 총 4군으로 나누었다. 유착은 회장의 장간막 반대측 장막부위를 노출시켜 수술도로 $0.5{\times}1cm$ 크기로 긁어 점상출혈을 유도하고, 우측벽측복막을 $0.5{\times}1cm$ 간격으로 창상을 유도한 후 두 창상을 봉합하였다. 2주후 halothane에 의한 안락사 후 유착정도를 computerized tensiometer로 측정하였다. 유착부 분리에 필요한 장력(Newton)은 대조군이 평균 $2.48{\pm}0.88$이었으며, 1% CMC 처치군은 $1.86{\pm}0.56$, 2% CMC 처치군은 $1.75{\pm}0.71$, 3% CMC 처치군은 평균 $1.55{\pm}0.60$로 3% CMC 처치군에서 유의적인 감소(p<0.01)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rat에서 복강수술후 CMC의 복강내 투여는 복강장기 유착방지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 PDF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연속된 77예의 경험 (Laparoscopy Assisted Total Gastr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77 Consecutive Cases)

  • 이중호;송재원;오성진;김성수;최원혁;정재호;형우진;최승호;노성훈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4호
    • /
    • pp.206-212
    • /
    • 2007
  • 목적: 조기 위암 환자에 대한 복강경 보조 원위부 위절제술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의 하나로 점차 많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은 위아전절제술에 비해 술기상의 복잡성 등의 이유로 그 빈도가 높지 않다. 이에 저자 등은 본 교실에서 시행한 복강경 보조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분석하여 술기상의 가능성과 안정성 및 수술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조기 위암으로 2003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수술 전 조기위암으로 진단받고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과 D1+$\beta$ 림프절 절제술 및 Roux-en-Y 재건술을 시행받은 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경과,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세였고 남자와 여자의 수는 각각 49명, 28명이었다. 평균 수술시간은 210분(범위 100-400)이었고 각 수술 시간은 수술 경험이 많아짐에 따라서 점 차 감소하였다. 수술 후 13예(16.9%)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사망한 예는 없었다. 장관 운동은 평균 수술 후 3.2일에 회복되었고, 수술 후 연식을 시작한 시기는 4.4일, 수술 후 평균 재원일은 10일이었다. 위의 절제연은 근위부 원위부 각각 평균 3.1 cm, 10.7 cm로 충분한 절제연을 확보하였으나 한 예에서 원위부 절제연에 현미경적 암세포의 침윤이 있었다. 림프절 절제 범위는 D1+$\alpha$가 2예(2.6%), D1+$\beta$가 55예(71.4%), D2가 20예(26.0%)이었고 평균 절제된 림프절 수는 41.8개이었다. 결론: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분석하였을 때 조기위암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이고 안전한 술식임을 확인하였다. 그 적용 범위의 확대를 위해서는 앞으로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과 개복 수술의 전향적인 비교 연구와 장기 생존율 등 종양학적인 치료결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미성숙 미니돼지에서 방사선과 초음파를 이용한 복부장기의 평가 (Evaluation of Normal Abdominal Organs by Diagnostic Imaging in the Premature Miniature Pig)

  • 장진화;정주현;오선경;최민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7-421
    • /
    • 2009
  • 4, 8, 12, 20 주령의 미성숙 미니돼지에서 방사선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복부 주요 장기의 형태학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방사선 검사는 전반적인 장기의 형태를 확인하는 데 이용되는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방법이다. 기본 복부방사선 사진에서 이용되는 평가해야 할 항목들은 우선 전반적인 복부세부음영의 정도, 간, 위, 비장, 신장, 방광, 장들의 위치, 크기, 형태, 변연, 후복강 평가이다. 초음파 검사는 이러한 주요 장기들의 내부 실질을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미니돼지는 개와 고양이와 비교했을 때 유사한 소견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Cyclohexane에 의한 흰쥐의 폐독성 (Effect of Cyclohexnae on the Lung Toxicity in Rats)

  • 전태원;이상일;윤종국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5-251
    • /
    • 2000
  • Cyclohexane에 의한 생체장기의 독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흰쥐에 체중 kg당 1.56 g의 cyclohexane을 복강으로 1일 1회 2일 간격으로 4회 투여한 다음 24시간 후에 처치하여 각 장기 (간, 신장, 비장, 심장, 소장, 위 및 폐)의 체중 당 장기무게 (%)와 조직세포중 glucose-6-phosphatase (G6Pase) 활성변동을 측정한 결과, 실험군의 체중 당 폐무게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 (p<0.001)하였고 이와는 반대로 G6Pase 활성은 유의한 (p<0.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폐를 제외한 장기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cyclohexane이 주로 폐조직에 독작용을 야기시킨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폐조직에서 malondialdehyde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p<0.05) 증가된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한편, cytochrome P450에 의해 나타나는 aniline hydroxylase 활성은 폐조직이 간조직에 비하여 대단히 낮았으며, 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 역시 간조직 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cyclohexane 투여로 인하여 ADH 활성은 간 및 폐조직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나 간조직에서 더욱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cyclohexane은 폐조직에 주로 독성을 나타내며 이는 간조직에서 대사된 cyclohexane의 독성 중간대사산물인 cyclohexanone이 혈류를 통해 폐조직에 분포되어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 PDF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도한 생쥐의 간과 체장에서 황백피와 두릅나무 추출물이 지질과 산화물 생성과 글루타티온 의존성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alia canescens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ICR Mice)

  • 서소영;김해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89-696
    • /
    • 1997
  • 황백피와 두릅나무(AP)의 혼합 추출물이 당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 streptozotocin으로 당뇨가 유도된 생쥐에게 혼합 추출물을 5일간과 10일간 복강투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50, 150, 250mg/kg B.W. AP추출물 투여군(DI1, DI2, DI3)의 몸무게는 당뇨 대조군(DIC)에 비해 유의적 (p<0.05)인 증가를 보였으며 , 간과 췌장의 무게는 DIC군에서 증가하였으나 AP추출물의 투여로 감소되었다. 특히, 10일 복강투여군에서 장기무게의 감소정도는 5일 복강투여 군에 비해 현저하였다. 혈장 포도당수준의 변화는 AP 추출물의 투여로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정도는 AP추출물의 양에 비례하는 수준이었다. 혈장 cholesterol(total, LDL, VLDL)과 TG수준은 AP추출물의 투여로 감소되었으나(p<0.05), 생쥐에는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이 없어 HDL cholesterol의 수준은 AP추출물의 투여 후에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TBARS 함량은 당뇨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AP추출물의 투여 후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정도는 10일 복강투여군에서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췌장조직에서 효율적인 감소 효과를 보였다. GPx의 활성도는 DIC군에서 유의적 (p< 0.05)으로 증가하였으며 AP추출물의 투여로 감소되었다. GR의 활성도는 유의적이지 않으나 GPx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황백피와 두릅나무추출물은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도한 생쥐에서 몸무게의 증가, 혈당 및 혈중 지질수준의 개선, 항산화 효과를 지니고 있음이 추정되었으며, 차후 이들AP추출물의 subfraction을 통한 계속적인 연구로 혈당강하 효과의 확인 및 효과 성분의 분리에까지 연구범위를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저지방 고품질 돈육 생산을 위한 돼지 복강 및 피하지방 항체 개발 (Development of Polyclonal Antibodies to Abdominal and Subcutaneous Adipocyte for Producing Fat-reduced High Quality Pork)

  • 최창원;백경훈;최창본;오영균;홍성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7-94
    • /
    • 2010
  • 본 연구는 저지방 고품질 돈육의 생산을 위해 돼지 복강 및 피하지방 감소를 위한 다클론 항체의 개발 및 실제 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항원으로써 돼지의 복강 및 피하지방세포 PMP를 분리하여 면양에 3회에 걸쳐 수동면역 주사하고, 면역 주사 전 및 후에 비면역혈청과 항체를 생산하였다. 돼지 AAb 및 SAb 항체의 역가와 생체 주요 장기 조직인 심장, 신장, 간장, 폐, 근육 및 비장세포의 PMP에 대한 타장기 교차반응성을 조사하였다. 돼지 부위별 지방 조직에서 지방세포를 분리하고 각각 primary 배양시킨 후 개발된 AAb 및 SAb를 주입한 뒤 media 내 LDH 방출 수준을 조사하였다. 희석배율 1:1,000배를 기준으로 비면역혈청은 항원-항체 결합반응이 거의 측정되지 않았고, AAb 및 SAb는 희석배율 1:16,000배까지 각각 항원-항체 반응이 감지되었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생산한 부위별 지방 감소 다클론 항체가 지방세포 PMP에 대해 강한 역가를 가진 항체임을 시사한다. 또한 AAb 및 SAb는 타 장기들과는 특이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두 항체들은 모두 항원으로 이용된 부위의 지방세포 PMP와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비면역혈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독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AAb 및 SAb는 높은 역가, 타 장기 안전성 및 in vitro 지방 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향후 영양생리 안전성 및 생체 지방 감소 효과 등의 추가 연구가 지속될 경우 저지방 고품질 돈육의 생산이 가능하리라고 판단된다.

표지방식을 이용한 흰 쥐 복강 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세포체와 신경섬유의 표지부위 (Localization of Sensory Neurons Innervating the Rat Intestine Using the Cholera Toxin B Subunit(CTB) and Wheat Germ Agglutinin-Horseradish Peroxidase(WGA-HRP))

  • 이동협;이창현;이무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75-96
    • /
    • 1998
  •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세포체 및 신경섬유의 표지부위를 관찰하기 위하여 복강내장을 부위별(위,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오름결장, 내림결장)로 나누어 2.5% WGA-HRP $30{\mu}l$와 0.5% CTB $20{\mu}l$를 장막과 근육층 사이의 4부위에 나누어 주입하였다. 그 후 48-96시간의 생존시간이 경과한 후 뇌줄기, 척수신경절과 미주신경절에서의 감각신경섬유와 신경세포체의 표지부위를 면역조직화학 염색법과 HRP 조직화학 기법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WGA-HRP에 표지된 감각신경섬유는 위와 맹장에서만 관찰되었으며, CTB에 표지된 감각신경섬유는 복강내장의 모든 장기에서 관찰되었다. 2.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섬유는 뇌줄기내 좌우 고립로핵의 교질부, 교질부의 등쪽내측부, 교차연결부, 내측부, 넷째뇌실벽, 맨아래구역의 앞쪽경계 및 중심관의 등쪽 정중선인 교차연결부에 국소적으로 강하게 표지되었다. 3. 척수신경절에서 위 (stomach)에 분포하는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관계없이 $T_2$에서 $L_1$까지 여러 신경절에 표지되었으며 이 중 좌우 $T_{8-9}$부위에 가장 많이 표지되었다. 4. 십이지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 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에 표지되었으나 다른 장기에 비하여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의 수는 적었다. 5. 공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에 표지되었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 $T_{12}$ 부위였으며, 우측은 $T_{13}$ 부위에 표지되었다. 6. 회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에서 $T_{11}$부위였고, 우측에서 $L_1$부위였다. 7. 맹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 세포체는 좌측은 $T_7-L_2$부위였으며 우측은 $T_6-L_1$부위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11}$이었으며, 우측은 $T_{11-12}$에 표지되었다. 8. 오름결장에서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측은 $T_7-L_2$부위에 표지되었고 우측은 $T_9-L_4$부위에 표지되어 좌우측 표지부위의 차이를 보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9$이었으며, 우측은 $T_{11}$에 표지되었다. 9. 내림결장에서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 세포체는 좌측은 $T_9-L_2$부위에 표지되었고 우측은 $T_6-L_2$부위에 표지되었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13}$이었으며, 우측은 $L_1$에 표지되었다. 10.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좌우 미주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위에서 가장 많이 표지되었으며 위를 제외한 나머지 장기에서는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의 수는 위에 표지된 수보다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의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섬유의 뇌줄기내 표지영역은 좌우 고립로 핵의 교질부, 교질부의 등쪽내측부, 교차연결부, 내측부, 넷째뇌실벽, 맨아래구역의 앞쪽경계 및 중심관의 등쪽 정중선인 교차연결부였으며, 감각신경세포체의 표지영역은 미주신경절과 척수신경절 $T_2-L_4$ 부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위를 제외한 나머지 장기들에서는 $T_6-L_4$부위에 표지되었으나 소장에서 대장으로 갈수록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원위부 가슴신경절에서 근위부 허리신경절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