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paroscopy Assisted Total Gastr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77 Consecutive Cases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연속된 77예의 경험

  • Lee, Joong-Ho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ong, Jye-Won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Oh, Sung-Jin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ung-Soo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Won-Hyuk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eong, Jae-Ho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yung, Woo-Jin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Seung-Ho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Noh, Sung-Hoon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중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송재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오성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성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최원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정재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형우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최승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노성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Purpose: The number of laparoscopy assisted distal gastrectomies (LADG) is gradually increasing for the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EGC) patients as a surgical modality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on laparoscopy-assisted total gastrectomy (LATG), mainly because this procedure is performed relatively infrequently, and the procedure is more complicated than LAD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echnical feasibility, safety, and surgical results of LATG with lymphadenectomy through a review of our experienc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03 to June 2007, 77 LATG with Roux-en-Y esophagojejunostomy were performed for patients with a preoperative diagnosis of EGC.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surgical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ere 49 males and 28 females in the study with a mean age of 61 years (range $30{\sim}85$ year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210 minutes (range $100{\sim}400$ minutes) and the operation time was gradually decreased as the case numbers increased. There were 13 operative morbidities (16.9%) and no operative mortalities. The restoration of bowel motility was noted at 3.2 postoperative days; a soft diet was started at 4.4 postoperative days and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10 days. There were 20 mucosal lesions, 32 submucosal lesions, 15 proper muscle lesions, 7 subserosal lesions and 3 serosal lesions. A total of 20 patients were treated by D2 lymph node dissection, 55 patients were treated by D1+$\beta$ lymph node dissection, and two patients were treated by D1+$\alpha$ lymph node dissection. The mean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was 42 (range $11{\sim}86$). Lymph node metastases were noted in 12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LATG could be applied safely and effectively for patients with EGC. However, a prospective study comparing laparoscopy-assisted versus open gastrectomy for short-term and long-term surgical outcome is needed.

목적: 조기 위암 환자에 대한 복강경 보조 원위부 위절제술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의 하나로 점차 많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은 위아전절제술에 비해 술기상의 복잡성 등의 이유로 그 빈도가 높지 않다. 이에 저자 등은 본 교실에서 시행한 복강경 보조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분석하여 술기상의 가능성과 안정성 및 수술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조기 위암으로 2003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수술 전 조기위암으로 진단받고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과 D1+$\beta$ 림프절 절제술 및 Roux-en-Y 재건술을 시행받은 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경과,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세였고 남자와 여자의 수는 각각 49명, 28명이었다. 평균 수술시간은 210분(범위 100-400)이었고 각 수술 시간은 수술 경험이 많아짐에 따라서 점 차 감소하였다. 수술 후 13예(16.9%)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사망한 예는 없었다. 장관 운동은 평균 수술 후 3.2일에 회복되었고, 수술 후 연식을 시작한 시기는 4.4일, 수술 후 평균 재원일은 10일이었다. 위의 절제연은 근위부 원위부 각각 평균 3.1 cm, 10.7 cm로 충분한 절제연을 확보하였으나 한 예에서 원위부 절제연에 현미경적 암세포의 침윤이 있었다. 림프절 절제 범위는 D1+$\alpha$가 2예(2.6%), D1+$\beta$가 55예(71.4%), D2가 20예(26.0%)이었고 평균 절제된 림프절 수는 41.8개이었다. 결론: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분석하였을 때 조기위암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이고 안전한 술식임을 확인하였다. 그 적용 범위의 확대를 위해서는 앞으로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과 개복 수술의 전향적인 비교 연구와 장기 생존율 등 종양학적인 치료결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