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 구조물

Search Result 2,808,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Performance Evaluation of Weir Structures Under Blast Loads (폭발하중에 의한 다기능-수중보 구조물 거동평가)

  • Jeon, Jun-Tai;Jung, Woo-Young;Ju, Bu-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68-169
    • /
    • 2015
  • 최근 위험물질에 의한 폭발 및 테러의 위험성 증가로 인하여 사회간접자본 시설물인 댐/보, 원자력 발전소, 병원 구조물과 같은 주요 시설물의 폭발 안전성 평가 연구가 이슈화 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가스폭발에 의한 다기능 보 구조물의 거동을 평가하고 안전성을 분석 하고 자 한다. 본 연구에서 폭발 해석에 필요한 하중 조건 산정은 PHAS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변 온도 및 공기 특성 등을 고려한 약 5톤의 가스 폭발 조건을 구축 하였다. 또한 다기능 보 구조물의 거동 분석을 위해 구조물-지반 상호 작용을 고려한 2차원 유한 요소 모델을 구축하여 폭발에 의한 구조물 거동을 평가 하였다. 다기능 보 구조물의 수치해석 결과 보 구체와 Stilling Basin구조물 사이의 연결부에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 PDF

Survey on the status of discarded structures for securing continuity of the river aquatic ecosystem - Focus on Wangsukcheon in the Han river area (하천 수생태계 연속성 확보를 위한 용도폐기 구조물 현황 조사-한강권역 왕숙천 수계 중심으로)

  • Lee, Sang-Hoon;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7-447
    • /
    • 2021
  • 인간이 농업 등으로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하천에 인위적으로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들 구조물은 대부분이 농업용 보로 과거 농업중심의 사회에서 논과 밭 등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하지만 농촌의 도시화 및 농지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농업용 보는 사용량이 감소하였으며, 최근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많은 보들이 용도폐기 되었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매년 용도폐기된 구조물을 확인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리스트를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의 용도폐기 된 보 중 한강권역 왕숙천 수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폐기보에 대한 위치 확인을 위하여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제공받은 폐기보 현황자료(보명 및 하천명, 주소)를 바탕으로 우리가람길라잡이, 국가어도정보시스템, 웹지도 등을 활용하여 위치 및 존재 여부 파악하였으며, 현장조사를 위하여 위치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현장조사가 용이하도록 별도의 웹자료를 구축하였다. 현장조사는 구조물의 주변의 토지이용현황, 구조물의 존재여부, 구조물의 규모 실측(길이/높이/폭 등), 어도의 유무, 바닥보호공의 유무, 구조물 훼손 정도 등을 파악하였다. 왕숙천 수계의 보는 왕숙천 본류구간에는 4개의 폐기보가 있으며, 용암천은 9개, 사능천은 2개 학림천은 1개로 총 16개의 폐기보가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

  • PDF

플로팅 구조물의 전이보 시스템 접합부 실험

  • Song, Hwa-Cheol;Jeon, Min-Jun;Kim, Se-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250-252
    • /
    • 2013
  • 최근 플로팅 구조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다양한 형태의 플로팅 구조물이 계획 및 제작되고 있다. 플로팅 구조물은 파랑이나 조류 등에 의한 부가모멘트가 크게 작용한다. 이것은 접합부에 영향을 미쳐 상부구조물의 사용성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탑앤시트 앵글 반강접 접합부를 가진 전이보 시스템의 구조적 성능 및 거동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a hydraulic structure controlling bidirectional flow (양방향 흐름 제어를 위한 효과적인 수평적 수리 구조물 설계)

  • Son, Seokmin;Hwang, Jin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78-178
    • /
    • 2022
  • 일반적으로 하천은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지만, 하구에서 일어나는 해안으로부터의 염수의 역류 혹은 상류에서 홍수 발생 시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역류 등 주 흐름을 거스르는 흐름이 종종 발생하는데 이는 예상치 못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최대한 방지해야 한다. 즉, 양방향 흐름이 일어나는 지역을 단방향 흐름으로 바꿔줄 수 있는 수리 구조물의 설치가 필요하다. 역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보가 있는데, 보는 충분한 수위 확보뿐만 아니라 하구에서 역류하는 해수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다만, 상류와 하류를 수직적으로 분리함에 따라 물고기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는 등 생태계를 단절시키는 부작용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최근 정부의 정책에 따라 세종보, 죽산보 등의 보 해체 결정이 이루어지면서 이를 대체할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수직적인 구조물이 아닌 수평적인 수리 구조물을 고안함으로써 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장 효과적으로 양방향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물 설계 모형을 탐구해보았다. 구조물 설계 아이디어는 심장의 판막에서 고안하였다. 판막은 특정한 방향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관으로, 비슷한 방식으로 하천에도 특정 각도를 갖는 구조물의 설치를 통해 단방향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실제 하천 규모에서의 실험은 불가능하다고 판단, 전산 유체 프로그램 OpenFOAM을 이용하여 가상 수로의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얇은 판 형태의 흐름 제어 구조물을 수로 측면에 각각 설치 후, 같은 조건에서 정방향 흐름과 역방향 흐름에 대해 각각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이때, 두 흐름의 하류 유량 크기의 차이를 단방향 흐름을 정량화하는 수치로 산정한다. 시뮬레이션은 구조물과 흐름 방향이 이루는 각도, 구조물의 개수 및 간격, 구조물의 비대칭성 등 여러 가지 조건을 바꿔가면서 진행하고, 유속 분포 및 후류의 크기 등의 수리학적 현상을 파악하여 계산 결과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류의 유량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수리 구조물의 조건을 결정하고, 해당 구조물의 실제 적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 PDF

A Comparison of Seismic Capacity for The Frames with Vertical Irregularities (수직 비정형 골조의 내진성능 비교)

  • Kwag, Jin-I;Cho, So-Hoon;Kang, Dae-Eon;Kim, Jong-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259-262
    • /
    • 2010
  • 최근 건물형상의 다양화로 인하여 수직부재의 불규칙성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전통적인 보-기둥 형식의 골조에서 변형된 보와 기둥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는 경사기둥의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내진설계방법은 강도에 근거를 둔 설계법으로서 구조물이 탄성상태에서 저항해야 하는 부재력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또는 그 이상의 지진하중이 구조물에 가해지는 경우에 구조물은 비선형 거동을 하게 되는데 구조물이 비선형 거동을 할 때에는 탄성상태와는 다른 힘의 흐름을 나타내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12층 철골 모멘트 골조 구조물에 대하여 횡력에 저항하는 정형화된 골조와 경사기둥을 이용한 골조의 내진성능 및 비선형 거동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강기둥-약보로 설계된 정형화된 구조물에서는 보의 소성힌지가 계속적으로 발달하면서 구조물이 저항하는데 반하여 경사기둥을 가진 구조물은 비탄성 상태에서 경사기둥에 인접한 기둥부재로 하중이 집중되면서 정형골조에 비하여 붕괴 메카니즘이 훨씬 작은 변위에서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Finite Element Eigen Analysis of Undamped Beam Structure with Composite Sections (복합단면을 갖는 비 감쇠 보 구조물의 유한요소 고유치 해석)

  • Park, Keun-Man;Cho, Jin-Rae;Jung, Weui-Bong;Bae, Soo-Ryong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0 no.6
    • /
    • pp.691-697
    • /
    • 2007
  • Numerical eigen analysis of beam-like structure can be easily and effectively done by various conventional beam theory-based methods. However, in case of the structures composed of composite-sectioned beams,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al numerical methods requires one to derive both equivalent material and geometry properties. In the present paper, these equivalent properties are derived by the transformed section method and the test FEM program is coded. The numerical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ANSYS 3-D model.

Vibration Intensity Analysis of Penetration Beam-plate Coupled Structures (관통보와 평판의 연결 구조물에 대한 진동인텐시티 해석)

  • 홍석윤;강연식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1
    • /
    • pp.73-81
    • /
    • 2002
  •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energy through beam-plate junctions in vibration intensity analysis called power new analysis (PFA) has been studied. PFA is an analytic tool for the prediction of frequency averaged vibration response of built-up structures at medium to high frequency ranges. The power transmission and reflec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emi-infinite beam and plate are estimated using the wave transmission approach. For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coefficients to practical complex structures, the numerical methods, such as finite element method are needed to be adapted to the power flow governing equation. To solve the discontinuity of energy density at the joint, joint matrix is developed using energy flow coupling relationships at the beam-plate joint. Using the joint matrix developed in this paper, an idealized ship stem part is modeled with finite element program, and vibration energy density and intensity are calculated.

Simulation for the Analysis of the Beam-Decking Connector Model for the Wood Dome Structure (목조 돔 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보-데크 연결 모델의 정식화)

  • 김재열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4
    • /
    • pp.34-40
    • /
    • 1997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돔형 구조물의 해석에 있어서 보-데크 연결 모델을 정식화하는데 있다. 목조 돔 구조물의 데크지붕 효과는 Wu(1991), Telang(1992) 등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데크지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트러스 브레이싱법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 TB법은 좁은 간격으로 박혀있는 못 들의 효과를 적절히 설명해 내지 못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Tsang(1991), Kavi(1992) 등이 Dolan(1989)의 이론을 응용한 보-데크 연결법(BDC)을 도입하여 해석하였다. 이 BDC모델은 보 요소의 이 보 요소에 강체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 요소가 보요소의 각 절점을 공유하게 되므로, 아무리 많은 스프링을 가정하더라도 자유도수는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돔 구조와 같은 대형 구조물을 해석할 때 컴퓨터 용량과 계산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PDF

Efficient Seismic Analysis of Building Structures with Eccentric Beams (보의 편심효과를 고려한 건축구조물의 효율적인 지진해석)

  • 안상경;이동근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2
    • /
    • pp.203-211
    • /
    • 2001
  • 고층구조물의 해석에 사용되는 ETABS와 같은 상용프로그램은 해석의 단순화를 위하여 강막가정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강막가정은 일반적으로 바닥판의 휨 강성과 보의 편심효과를 무시하게 된다. 이러한 가정은 골조구조물의 정적해석에 대해서는 정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동적해석의 경우에는 바닥판의 휨 강성과 보의 편심효과가 구조물의 횡 방향 거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바닥판의 영향과 보의 편심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유한요소의 특성상 바닥판과 보를 여러 개의 요소로 나누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해석과 구조물의 모형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분구조기법과 대형요소를 사용한 효율적인 모형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각 층에 대하여 강막가정을 적용하여 층 당 3개의 자유도만을 고려하는 막대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모형화기법의 정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응답을 비교하였다.

  • PDF

Accuracy analysis of a hydroelastic model of a floating beam (부유식 유탄성 보 모델의 수렴성 연구)

  • Kim, Ki-Tae;Lee, Phill-Seung;Park, Kwang-Chu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31-6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규칙 파랑 중에 있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탄성 거동을 해석 하고, 수치모델의 수렴성을 살펴본다. 부유식 구조물은 보로 모델링 하며, 유체는 이상유체로 가정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보 모델의 경우 Euler-Bernoulli 보 모델과 Timoshenko 보 모델로 나누어 그 특성을 비교 해 본다. 문제의 해석법에 있어서 부유식 구조물의 경우는 유한요소법을, 유체의 경우는 경계요소법을 이용하여, 상호 연성된 방정식을 이끌어 낸다. 상호 연성된 방정식을 토대로 Euler-Bernoulli 보 모델과 Timoshenko 보 모델의 거동 특성을 살펴보고 제시된 수치 모델을 기준으로 수렴성을 분석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