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 구간

Search Result 1,77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Hydraul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Final Closing considering non-Darcy Flow (Non-Darcy 흐름을 고려한 최종체절 수리특성분석)

  • Choi, Hung Sik;Park, Jung Soo;Shin, Heung 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469-1473
    • /
    • 2004
  • Non-Darcy흐름에 따른 호안제체의 흐름과 배수갑문을 통한 유출입 특성을 고려한 체절구간의 수리특성분석 도형에 의한 해석결과는 실측자료와 비교적 잘 일치하여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실측치와 비교한 계산결과는 본간(1958) 식에 의한 계산이 나(1987)에 의한 방법보다 비교적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완전 또는 불완전 월류의 구분이 없이 잠수도에 의한 계산을 통해서 하나의 유량계수 관계곡선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나 식의 사용성을 보여 주었다. 본간 식과 나 식에 의한 계산 값이 실측치보다는 유출입 특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체절구간의 불규칙적인 단면 양상을 감안한 유량계수의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체절구간의 수리특성의 분석을 위해서 제체구간 유량의 고려는 Darcy 흐름에 기초하여 분석한 것이 지금까지의 분석이다. 제체를 통과는 유량과 개방구간을 통과하는 유량의 비가 체절구간이 좁을수록 크게 나타나 제체의 정확한 유출임 특성을 고려한 체절구간의 수리특성을 분석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n Reduction Effect of CO emission by Th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의 일산화탄소 배출저감효과 평가)

  • Kim, Jun-Hyung;Um, Ju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129-133
    • /
    • 2010
  • 본 논문은 차량의 공회전시 불완전연소로 인한 일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최대인 점에 착안하여 일반 네비게이션에서 제공하는 최단거리 모드로 주행했을 시와 '막힘없는 길 안내를 제공' 한다는 최신 공간정보기술인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를 적용했을 시의 공회전시간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을 비교 평가하여,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의 일산화탄소 저감효과를 추정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대구시내의 교통정체구역인 수성구청에서 성서초등학교에 이르는 약 12km의 구간을 선정하여 2주간 동일구간을 요일별 시간대별로 주행함으로써 최단거리 안내서비스 주행시와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를 적용한 경로주행시의 공회전시간을 기록하고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연료별 배출계수와 평균속도에 따른 일산화탄소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측정결과 공회전시간이 약 28%, 일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57%의 감축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Re-consideration of calculating the design flood level in the Han River Estuary (한강하류 감조구간에서 홍수위 산정 재고)

  • Kyong Oh Baek;Dong Yeol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3-123
    • /
    • 2023
  • 하천이 바다와 만나는 하구(河口, estuary)지역은 조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하천 수위의 낙폭이 크고, 하상(河床)의 변동 또한 심하다. 때문에 이러한 감조구간은 홍수위 산정에 있어서도 일반하천에 비해 보다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우리나라 4대강 중 한강을 제외한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은 하구언 설치로 인해 이미 하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상황이다. 반면 한강 하류 구간은 북한과의 접경지역이라는 지리적, 상황적 특수성으로 인해 하구언 설치가 불가능하였기에 지금까지 감조상태를 유지하고 있다(Park and Baek, 2017). 지금까지 계획홍수위 산정시 일반하천이든 감조하천이든 간에 그 고유의 특성을 고려치 않고 정상-부등류(steady-nonuniform flow) 모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었다. 하지만 2018년 개정된 하천설계기준에 따르면 감조하천 구간에서는 반드시 부정류(unsteady flow) 모의를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0년 고시된 한강(팔당댐~하구) 하천기본계획(변경) 보고서에는 부정류해석을 통한 홍수위 산정분이 수록되어 있다. 문제는 "한강하구는 서해조석의 영향을 받는 감조하천이기는 하나 계획홍수량 유하시 한강에 미치는 조위의 영향은 미미하므로..."라는 결론을 도출하면서 부정류해석 결과 대신 부등류해석 결과를 계획홍수위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의 종점 유도지점을 기점으로 조석을 하류단 경계조건으로 부여하는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여 한강하천기본계획(2020)의 홍수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산정한 홍수위가 하구에서부터 신곡수중보 하류구간까지는 하천기본계획의 그것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한강하류 구간은 계획홍수량 발생시에도 조석의 영향을 받는 감조구간이므로 고시된 계획홍수위의 재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 PDF

New Deadbeat Minimax Filters for Discrete State Models without A Priori Initial State Information (이산형 상태공간 모델에서의 무진동 최소최대 필터)

  • Han, Su-Hui;Gwon, Uk-Hy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11d
    • /
    • pp.624-628
    • /
    • 2000
  • 이 논문에서는 이산형 상태 공간 모델에서의 새로운 FIR 필터를 제안한다. 선형성, 무진동성, FIR 구조, 초기 조건과의 무관성등을 디자인 과정에서 고려해서 성능 지표를 최소화 하는 필터를 구한다. 성능지표로는 구간에서 외란 에너지와 현재 추정 에러의 최대 이득으로 생각하며, 이 지표는 일반적인 성능지표와는 다르다. 제안된 필터는 배치 형태로 먼저 구하고, 점화식 형태로 바꿀 수 있음을 보인다. 제안한 필터는 확률론적 시스템의 이동 구간 무편향 FIR 필터(RHUFF)와 유사함을 보인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am Flow by Discharge Ratio (유량비에 따른 하도흐름의 실험적 연구)

  • Kim, Gee-Hyoung;Choi, Gye-Woon;Cho, Jun-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377-382
    • /
    • 2005
  • 하도내에 설치된 3개의 구조물이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 원형하천의 합류부 하류의 유량이 $Q_{100}=12,090m^3/sec$인 경우에 대해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Q_s/Q_m$)가 0.99, 0.85, 0.72, 0.67, 0.57로 변화하는 경우의 유량을 실험유량으로 사용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하도의 구조물이 제거된 경우 합류부로 근접할수록 서서히 증가한 수위는 합류부를 지나면서 급격히 감소한다. 이때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Q_s/Q_m$)가 감소할수록 합류부에서 증가된 수위는 하류쪽으로 이동하며 합류부 이후에서의 감소폭이 작아지며 각 단면에서의 수위변화율은 합류부 상류 구간에서는 감소하고 합류부 하류 구간에서는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합류부에 가까울수록 횡단면에서의 수위차는 증가하여 합류부 중심 직하류 단면에서 최대를 보이는데 유량비가 감소할수록 합류부 횡단면에서의 수위차는 하류구간에서는 감소하며 합류부 상류구간에서는 증가한다. 합류구간의 유속변화에 있어서는 합류부에 가까울수록 평균유속이 감소하다가 합류부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합류부 중심 직하류 단면에서 평균유속이 최대를 나타내며 최대유속의 변화율은 합류부 하류구간보다 합류부 상류구간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합류지역의 주흐름구간은 합류점 이후 구간에서 합류점 부근의 평균 유속보다 큰 유속을 보이는 구간으로 유량비가 감소하면 주흐름구간의 폭이 증가하며 하도의 하류쪽으로 이동하기는 하나 유량비에 의한 영향은 크지 않다.

  • PDF

Analysis of Storage and Flood Control Effects by Underflow Type of Multi-stage Movable Weir (하단배출형 가동보의 다단 배치에 의한 저류 및 홍수조절 효과 분석)

  • Lee, Ji Haeng;Han, Il Yeong;Choi, Heung Si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4
    • /
    • pp.294-301
    • /
    • 2016
  • The underflow type movable weirs were arranged in a multi-stage way at a section of the Chiseong River, a tributary of Geum River, where flooding is observed frequently. The flood control and the movable weir management levels were compared with the occasions of installing the existing weir for analysis. The peak discharge decreased by a maximum of 97% for the underflow type movable weir, and the downstream flood elevation decreased by a maximum of 82%. The amount of storage also increased by a maximum of 463% by the distribution and storage functions of the multi-stage arrangement of the underflow type movable weirs.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management level of each movable weir for the target storage of the reach and the flood reduction level through the relationship among this storage, downstream peak flood elevation, and peak flow.

Adaptive Minimum Sleep Window Algorithm for Saving Energy Consumption in IEEE 802.16e (IEEE 802.16e에서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적응적 최소 수면 구간 결정 알고리즘)

  • Jung, Woo-Jin;Lee, Tae-Jin;Chung, Yun-Won;Chung, Min-Yo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9 no.4
    • /
    • pp.11-20
    • /
    • 2008
  • IEEE 802.16e has adopted sleep mode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of mobile nodes with high speed mobility. If the Base Station (BS) has no data to be sent to a 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at the instant of ending sleep window of the MSS, the MSS increases its sleep window interval by double until the window interval reaches to the maximum sleep window interval. Thus, during the operation of sleep mode, MSS repeatedly performs switch on/off action until there exist frames to be received from BS. The switch on/off operation significantly consumes energy of MSS. To effectively deal with the energy of the MSS,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which decides the minimum sleep window interval that will be used in next sleep mode based on the current sleep window interval.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EEE 802.16e sleep mode algorithm and our proposed algorithm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and blocking probability. Compared with the current sleep mode algorithm used in IEEE 802.16e, the proposed algorithm decreases the energy consumption by about 30% without increasing blocking probability.

  • PDF

Determination of Granitic Core Orientation Using Healed Microcracks (아문 미세균열을 이용한 화강암 시추코아의 방향 결정에 관한 연구)

  • 장보안;김영화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7 no.2
    • /
    • pp.151-159
    • /
    • 1997
  • Since healed microcracks in quartz grain of grantic rocks within the same mass have identical preferred orientations, the oreintations of granitic cores may be determined if the distinctive feature of healed microcracks can be used.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determining orientations of granitic cores using healed microcrack orientations were examined using samples from the borehole drilled to 200 m in depth at the Hongcheon. Eight sections whose core recoveries are 100% were selected. Two to six samples were collected in each section and orientations of healed microcracks in each sample were measured. Healed microcracks in samples from each section show almost identical orientations. The error range for sections with only one preferred orientations is within $\pm$5$^{\circ}$, indicating that correct orientations of core can be determined. However, orientations of cores in sections which have 2 or more healed microcrack orientations should be determined using orientations as well as distribution of peaks of orientations. The error range for this case is lager than former one and is within $\pm$15$^{\circ}$. The orientations of joint which is very impontant factor for designing tunnel and slope stability can be determined using healed microcrack orientation in cores.

  • PDF

공주 능치지역 천부 지하구조에 대한 지구물리학적 연구

  • Kim, Gi-Hyeon;Seo, Ma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4 no.2
    • /
    • pp.103-111
    • /
    • 2001
  • Geophysical survey was carried out to derive some information on the existence of near-surface anomalous body at Reung-Chi area in Kongju. Resistivity, seismic, magnetic and gravity method were applied. Geophysical survey that was applied was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seismic survey, magnetic survey, gravity survey. These surveys are analyzed to provide data of high resolu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sistivity survey, anomalies showing high resistivity anomaly than around appeared, and the one showing M-shape out of those explains the possibility that underground common or other underground structure or geographical anomalous zone could exist in the undergrou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seismic survey, it is clear that the low velocity layer is spread as far as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it is a phenomenon appearing while going through the underground space where it is lying in the underground. Area that shows unusual situation in interpretation of data on seismic waves are included into the area that once showed resistivity anomaly, the results of both seismic surveys come in accord. As a result of magnetic survey, a circle-shape of twin magnetic fields in the area where abnormalities are shown between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nd seismic survey is appeared. Given the area of gravity survey, abnormalities whose density is different from the one around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As a result of analogizing the data of underground of the subsurface based on analysis of data from each survey, it was interpreted that anomalous zone exists commonly in the research areas.

  • PDF

Geochemistuy of the Borehole Groundwater from Volcanic Rock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Yeosu Area (여수 북동부 화산암 지역 시추공 지하수의 지화학 특성)

  • 고용권;김경수;배대석;김천수;한경원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4 no.3
    • /
    • pp.255-269
    • /
    • 2001
  • The geochemical studies on groundwater in the borehole, which is straddled by multi-packer (MP) system, were carried out from a volcanic terrain in the Yeosu area. The pH of groundwater collected from selected sections in the MP-installed borehole is much higher (up to 9.6) than that of the borehole groundwater (7.0-7.9) collected using conventional pumping technique. Hydrochemistry shows that the groundwater has a typical chemical change with increasing sampling depth, suggesting that the groundwater is evolved through water-rock interaction along the fracture-controlled flow paths. The groundwater from the deeper part (138-175 m below the surface) in borehole KI is characterized by the Ca-C11 type with high Ca (up to 160 mg/L) and Cl (up to 293 mg/L) contents, probably reflecting seawater intrusion. The groundwater also has high sodium and sulfate contents compared to the waters from other boreholes. These observed groundwater chemistry is explained by the cation exchange, sulfide oxidation, and mixing process with seawater along the flow pa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