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호관찰

검색결과 812건 처리시간 0.037초

비정상 트래픽 공격 유형 분석

  • 전용희;장종수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0-89
    • /
    • 2007
  • 네트워크 트래픽에서 비정상(anomaly)을 탐지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지만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다. 비정상 유형을 관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트래픽 플로(traffic flow)를 감시한다. 트래픽 플로는 여러 가지 네트워크 트래픽의 형태를 제시한다. 이런 트래픽 플로의 집합에 대한 분석은 매우 복잡한 문제이고, 또한 트래픽 플로 수집을 위해서는 많은 자원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 트래픽 유형을 공격 형태 및 트래픽 플로 두 가지의 다른 측면에서 제시하고 그 특성을 기술한다. 그리고 앞으로 나타날 새로운 웜 공격 유형에 대하여도 제시한다.

향상된 투과도를 갖는 태양전지용 보호유리 형성과 태양전지에의 적용

  • 한강수;안정현;이헌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1-142
    • /
    • 2008
  •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의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에 나노임프린트 기술을 적용하여, sub-micron급 모스아이 패턴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모스아이 패턴은 250nm의 주기와 약 100nm의 높이를 갖는 원뿔 모양의 배열로써, 투과도의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양면에 패턴을 형성하였으며, 그 결과 예상과 같이 더 높은 효율의 반사 방지 및 투과 특성이 관찰되었다.

  • PDF

물리치료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 실천행위 (Behavior for Protecting Patient Medical Record of Physical Therapists)

  • 이인희;박희준;신아미;손창식;김윤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5-2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의 치료를 위해 환자와 임상에서 많은 시간을 환자와의 많은 대화 및 소통하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여 의료정보에 대한 보호실천행위와 실천의도, 실천태도 등을 조사해 봄으로서 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관심을 모으고자 하였다. 8개 병원에 종사하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거쳐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업무의 특성상 항상 의료정보 누출의 위험에 놓여 있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의료정보보호 행동을 관찰하고 의료정보 보호 행동과 행동의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령이 증가하고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의료정보 보호 실천 활동에 연관성이 높은 실천의도와 태도가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현재 의료정보 실천 활동정도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며, 이를 개선하고자하는 노력이 교육 등을 통해서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밤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Extracts from Leaves of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in Human Dermal Fibroblast)

  • 최선일;이종석;이사라;이혜진;김병직;여주홍;정태동;조봉연;최승현;이진하;김종예;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3-248
    • /
    • 2017
  • 현재 식품공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록된 국내 산림지역 자생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국내 자생식물 45종을 선별하였고, 본 연구팀의 선행연구에서 45종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다른 종들과 비교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밤나무 잎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 밤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관찰하였다. 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밤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특히 $100{\mu}g/mL$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항산화 물질인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H_2$-DCFDA 염색을 통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밤나무 잎 추출물이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를 저감을 확인하였고, 세포 보호효과와 마찬가지로 농도 $100{\mu}g/mL$에서는 ascorbic acid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SA-${\beta}$-galactosidase 염색을 통하여 관찰한 세포노화 억제 효과는 ROS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밤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노화 억제를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밤나무 잎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노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으며, 이는 천연물에서 유래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 첨가제로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연성 소자 적용을 위한 $SiO_x$ 보호막의 특성 평가

  • 정유정;정재혜;윤정흠;이성훈;이건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52-452
    • /
    • 2010
  •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주목 받고 있는 유연성 정보표시 소자 개발에 대한 요구도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유연성 정보표시 소자로서 플라스틱 기반 유연성 소자가 특히 주목 받고 있으나, 이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플라스틱 기판에 적용 가능한 보호막 형성 기술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플라스틱 필름의 경우 높은 산소 및 수분 투과율 때문에 유연성 디스플레이의 응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플라스틱 기반 유연성 소자의 장수명화를 위해서는 수분과 산소의 투과를 방지하는 passivation layer 형성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polyethylene terephethalate (PET) 기판상에 증착된 $SiO_x$ 보호막의 합성에 있어서 중간층 유무에 따른 투습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기화된 HMDSO (Hexamethyldisiloxane)와 Ar 및 $O_2$ 혼합기체를 이용하여 PECVD 방법으로 $SiO_x$ 박막을 합성하였다. 15 nm 두께의 $Al_2O_3$를 중간층으로 사용하여 중간층 유무에 따른 초기성장 거동 변화가 $SiO_x$ 박막의 투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iO_x$ 박막 구조와 화학적 조성은 각각 FE-SEM과 FT-I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AFM을 이용하여 $SiO_x$ 박막 표면 미세 형상을 관찰하였다. 투습률은 MOCON사(社)의 Permatran-W 3/33 M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반복 굽힘 시험기를 이용하여 $SiO_x$ 보호막의 동적 투습 특성을 조사하였다. $Al_2O_3$ 중간층 유무에 따라 $SiO_x$ 박막의 투습률 (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은 ${\sim}10^{-1}g/m^2/day$(300 nm-thick $SiO_x$/PET)에서 ${\sim}5{\times}10^{-3}g/m^2/day$(300 nm-thick $SiO_x$/15 nm-thick $Al_2O_3$/PET)으로 변화하였다. 300 nm-thick $SiO_x$/15 nm-thick $Al_2O_3$/PET 시편의 경우 곡지름 50 mm에서 1,000회 반복 굽힘 후에도 투습률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SiO_x$ 박막의 투습 특성 변화는 $Al_2O_3$ 중간층 유무에 따른 초기 성장 거동의 변화로 해석된다. FE-SEM 및 AFM 표면 미세 구조 관찰을 통한 초기 성장 거동 변화 조사 결과, $Al_2O_3$ 중간층 없이 PET 기판위에 $SiO_x$ 박막 증착한 경우 3 차원 성장을 하는 반면, PET기판위에 $Al_2O_3$ 중간층 형성 후 $SiO_x$ 박막 증착하는 경우 2 차원 성장을 하게 됨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플라스틱 기반 유연성 표시 소자에 적용하기 위한 $SiO_x$ 보호막 합성 에 있어서 초기 성장 거동의 변화가 투습 특성에 민감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Gerbil의 전뇌허혈에 대한 대황의 신경보호효과 (Neuroprotecticve Effect of Rhei Rhizoma on Transient Global Ischemia in Gerbil)

  • Bum-Hoi, Kim;Hyuk-Sang, Jung;Ran, Won;Ji-Ho, Park;Chul-Hun, Kang;Nak-Won, Soh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74-84
    • /
    • 2002
  • 목적 : 본 실험에서는 gerbil을 이용한 전뇌허혈 동물모델에서 뇌허혈손상 직후 지연성 뇌손상에 대한 대황의 방어효과와 Apoptosis 과정중의 Bax와 Bcl-2 단백질에 대한 조절작용을 관찰하고, TUNEL 염색법을 통하여 대황이 gerbil hippocampus CAl영역의 pyramidal neuron의 세포사에 미치는 영향과 PCl2세포를 이용한 세포배양 모델에서의 대황의 신경방어 효과를 관찰하였다. 방법 : Mongolian gerbil의 총경동맥을 5분간 폐색하여 가역성 전뇌허혈을 유발시킨 후 대황의 전탕액을 하루에 한번 경구 투여하였다. 대황의 신경 보호 효과는 수술 7일 후에 cresyl violet으로 염색하여, 살아있는 신경 세포의 수를 세어 측정하였다. 또, 수술 3일 후에는 면역조직화학적 방범을 통하여 Bax. Bcl-2단백질의 발현과 대황의 신경보호 효과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가역적 전뇌허혈이 일어난 동물군의 경우 hippocampus의 CAl 영역에서 살아있는 신경세포의 수는 $51.0{\pm}2.5개{\;}/mm$에 불과하였으나, 그에 비해 수술 후 7일간 대황을 투여한 동물군은 $106.2{\pm}2.5개{\;}/mm$로 살아 있는 신경세포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Apoptosis를 촉진하는 단백질인 Bax의 발현은 3일간 대황을 투여한 동물군의 경우 hippocampus의 CAl 영역에서 현저하게 저해되었고, Apoptosis를 억제하는 Bcl-2 단백질의 발현은 변화가 없었다. TUNEL assay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대황 투여군의 apoptotic 신경세포사가 감소하였으며 이는 Bax protein의 발현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대황이 Bax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상대적으로 Bax/Bcl-2 자연적 세포사를 억제하여 Mogolian gerbil의 가역성 전뇌허혈 모델에서 신경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덕유산 국립공원내 조류상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Avifauna in Tokyusan National Park)

  • 이우신;박찬열;조기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3-220
    • /
    • 1994
  • 본 연구는 덕유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 조류군집을 파악하고, 이의 보호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구역으로는 주 등산로 2개소를 선정하여, 1993년 2월 20일과 7월 22일 2회에 걸쳐 야생조류에 대해 선조사법에 의해 실시되었다. 조사지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5목 17과 34종이었고 이 중 천연기념물 제 323호인 새매, 황조롱이와 희귀조류인 큰오색딱다구리, 홍여새가 관찰되었다. 해발 1,000m 이상의 초원지역은 갈색양진이의 겨울철 월동지로, 붉은뺨멧새의 여름철 번식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 지역에 대한 보호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무주구천동 계곡은 계곡성 조류에게 20년 전에는 양호한 서식지였으나, 인간의 이용밀도의 증가로 인해 계곡성 조류가 다수 감소한 실정이므로 이 지역에 대한 관리가 요망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UI(driving under the influence) Alcohol Treatment Program

  • Park, Hyun-Sun;Kim, Hyun-Joo;Choi, Chang-Sue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215-223
    • /
    • 2019
  • 음주운전은 책임감과 판단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사고를 일으키기 쉽다. 한국은 우발적인 음주사고에 대해 실형을 추구하고 있다. 음주 운전자에 대한 집행유예는 전체의 70% 이상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보호관찰기간 중에 보호관찰소에 왔던 사람들은 비자발적이었고, 변화에 대한 동기유발이 거의 없었으며, 그들에게 제공된 대규모의 집단적인 단기교육은 재발방지에 한계가 있었다. 소규모의 그룹과 장기교육에 추가하여 우리는 3개월 내에 음주습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집중적인 단기 개입을 시도하였다. 결국, 음주통제의 효과성은 미래 음주운전자들에게 제공될 프로그램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차이를 만들면서 나타날 것이다. 음주운전은 교통사고 원인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고 있으며, 그것은 세계의 많은 나라들처럼 음주운전을 막고 처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납으로 유발된 생쥐 간독성에 대한 활성탄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Activated Charcoal on the Mouse Hepatotoxicity Induced by Lead)

  • 정민주;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4호
    • /
    • pp.235-250
    • /
    • 2006
  • 본 연구는 급성 납 독성에 대한 활성탄의 방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0g내외의 생쥐를 대상으로 대조군, 납(60mg/kg) 투여군, 납 투여 후 활성탄(40mg/kg) 투여군으로 구분하여 구강투여 한 후 간장, 신장손상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화학적 및 조직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혈액중 aspartate ami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그리고 glucose(Glu)의 수치는 활성탄 투여군이 납 투여군보다 감소되었다. 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간장에서 납 투여군은 간세포의 핵이 함입되어 불규칙했으며 미토콘드리아와 조면소포체의 수조가 팽대되고, 리보솜의 탈락이 관찰되었다. 활성탄 투여군은 핵이 대조군과 같은 형태가 관찰되었고, 전자밀도가 높은 미토콘드리아가 분포되어 있었으며, 리보솜이 부착된 상태로 층판구조를 형성하는 조면소포체가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 활성탄이 납 중독된 생쥐에서 납을 흡착시킴으로서 손상된 간장에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MPTP로 유발된 파킨슨병 Mouse 모델에 대한 봉약침의 농도의존적 효과 (Dose-dependent Effects of Bee Venom Acupuncture on MPTP-induced Mous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 전형준;김용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5호
    • /
    • pp.59-68
    • /
    • 2010
  • 목적 : 최근 한의학에서 널리 사용되며, 신경계 질환에도 응용되고 있는 봉약침의 농도의존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표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의 동물모델을 통해 세포보호효과와 세포사멸 및 신경염증 기전을 관찰하였다. 방법 : C57BL/6 mice에 신경독소인 1-methyl-4-phenyl-1, 2, 3, 6-tetrahydropyridine(MPTP)를 4번 복강내 주입하여 중뇌의 흑질 도파민 신경세포를 파괴하여 Parkinson 질병동물 모델을 만든 후, 2개의 군에는 마지막 MPTP 투여 2시간 후에 1차, 그 후로 48시간이 지날 때마다 양측 신수에 각각 0.06mg/kg 농도와 0.6mg/kg 농도의 봉약침을 시행하여 총 4회 시술한 후, 도파민 세포를 측정하는 TH 면역조직 화학법을 통해 세포의 보존 정도를 관찰하고, 세포사멸과 관련된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Caspase 3, 신경염증과 관련된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iNOS의 발현여부를 면역 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 관찰결과 MPTP 투여 후 MPTP 투여군의 흑질의 도파민 세포 수는 감소하였으나 0.6mg/kg 봉약침을 투여한 경우에는 유의성 있게 세포 수가 유지되었다. Caspase-3와 iNOS 발현억제 실험에서 0.6mg/kg 봉약침군은 MPTP 투여군과 0.06mg/kg의 봉약침군과 비교하여 Caspase-3, iNOS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결론 : 봉약침은 MPTP 투여로 인한 신경세포 손상에 대하여 농도에 따라 세포사멸 기전과 신경염증 기전을 억제함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추후 적절한 경혈점 및 최적의 봉약침 농도를 찾는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